우리는 모두 내로남불을 행한다. 따라서, 우리는 타인들의 내로남불만이 아니라, 타인과 나 자신 모두의 내로남불을 감시하고 따져 묻는 비판 정신을 유지해야 한다. 편안함은 물론 좋은 것이지만, 철학은 마냥 편안함만을 추구하지 않는다. 긴 안목으로 볼 때, 비판받지 않는 편안함, 곧 지나친 편안함은 결국 더 많은 문제를 불러오기 때문이다. 나는 ‘철학이 건강한 불편함을 지향한다’고 믿는다. 내가 쓴 이 책은 바로 이렇게 철학이 지향하는 건강한 불편함을 가져오기 위한 작은 시도이다.
누가 전체를 볼 수 있는가? 이 사람이 살고 있는 시대는 ‘신이 죽었다는 소식’이 아직 도착하지 않은 시대인 것이다. 우리 중 누구도 ‘숲’을 볼 수 없다. 숲, 곧 전체를 볼 수 없고, 모든 사람이 오직 나무들만을 볼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인식은 부분적 인식, 곧 치우친 인식, 편파적 인식이다. 어떤 인식이 아니라, 모든 인식, 곧 ‘인식’ 그 자체가 편파적이다. 너와 그들만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불가피하게’ 편파적이다. 어떤 인간도 이러한 사실의 예외가 될 수 없다.
Contents
들어가면서: 나와 ‘다른’ 생각을 하는 사람들과 ‘함께’
1장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 일관성의 결여
1. ‘내로남불’ 담론을 낳은 21세기 대한민국 사회
2. 공정과 정의에 대한 관심의 표현으로서의 ‘내로남불’ 담론
3. 내로남불 행위와 내로남불 비판 담론
4. 내로남불, 이웃과 강자·약자의 구분
2장 이웃, 강자, 약자, 그리고 나: 내로남불의 네 가지 대상
1. ‘이웃’의 내로남불을 향한 비판
1) 내로남불의 부도덕성
2) 내로남불 비판과 칸트의 도덕법칙
3) 내로남불 비판 담론의 정치적 층위
4) 내로남불이라는 내로남불?
5) 상대주의의 문제
6) 각자의 ‘상대적’ 관점을 넘어서는 ‘객관적’ 관점은 불가능할까?
2. ‘강자’의 내로남불을 향한 비판
1) 권력의 남용에 대한 비판
2) 공정한, 진영으로부터 자유로운 비판?
3. 더 특별한 이웃, ‘약자’의 내로남불을 향한 비판
4. ‘나’의 내로남불을 향한 비판?
3장 니체에 이르는 길: ‘신은 죽었다’
1. “신은 죽었다”: 자기비판으로서의 그리스도교 비판
1) 하나의 유일한 ‘정답’이 있는 세계의 종말
2) ‘정답’은 ‘본질’의 존재를 가정한다
3) 우리는 어떻게 진실을 ‘아는가’?
2. 홉스의 리바이어던: 결국 누군가는 정해야 한다!
3. 존 로크: 계약과 ‘혁명’의 논리
1) 『통치론』: ‘오직 나 스스로의 양심에 따라’
2) 『관용에 관한 편지』: 우리 중 누가 결정할 수 있다는 말인가?
4. 칸트: 나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
5. 존 스튜어트 밀: 내가 ‘내 삶’을 결정할 자유
6. 니체: 각자가 믿는 ‘신들’만이 존재하는 세계
나오면서: 내로남불, ‘신이 죽은’ 시대의 인식 조건
Author
허경
고려대학교 불어불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 철학과에서 윤리학·프랑스철학을 전공하여 「미셸 푸코의 ‘윤리의 계보학’에 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마르크 블로흐 대학교 철학과의 필립 라쿠라바르트 아래에서 「미셸 푸코와 근/현대성」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응용문화연구소, 철학연구소에 연구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는 대안연구공동체 ‘철학학교 혜윰’의 교장을 맡고 있다. 저작으로 『미셸 푸코의 『지식의 고고학』 읽기』, 『미셸 푸코의 『광기의 역사』 읽기』, 『미셸 푸코의 『임상의학의 탄생』 읽기』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질 들뢰즈의 『푸코』, 미셸 푸코의 『문학의 고고학』, 『담론의 질서』 등이 있다.
고려대학교 불어불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 철학과에서 윤리학·프랑스철학을 전공하여 「미셸 푸코의 ‘윤리의 계보학’에 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마르크 블로흐 대학교 철학과의 필립 라쿠라바르트 아래에서 「미셸 푸코와 근/현대성」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응용문화연구소, 철학연구소에 연구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는 대안연구공동체 ‘철학학교 혜윰’의 교장을 맡고 있다. 저작으로 『미셸 푸코의 『지식의 고고학』 읽기』, 『미셸 푸코의 『광기의 역사』 읽기』, 『미셸 푸코의 『임상의학의 탄생』 읽기』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질 들뢰즈의 『푸코』, 미셸 푸코의 『문학의 고고학』, 『담론의 질서』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