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는 이렇게 말했다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 대한 철학적·문학적 해석
$50.76
SKU
979116684086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4/25
Pages/Weight/Size 152*225*40mm
ISBN 9791166840869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세심하고 풍부한 해설로 만나는
니체의 대표작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는 니체의 철학적 사유가 문학적 방식을 통해 전달되는 책이다. 문체와 형식에서 기존의 철학 이론서와는 다르다. 아포리즘과 메타포, 비유와 상징으로 가득한 이 책은 니체 철학을 충분히 숙지하고 있는 사람이 아니면 이해하기 어렵다. 한편 니체가 스스로 “인류에게 주는 가장 큰 선물”이라고 말할 정도로 중요한 책이기도 하다. 니체는 이 책에서 ‘힘에의 의지’, ‘영원회귀 사유’, ‘위버멘쉬’, ‘신의 죽음에 대한 선언’ 등을 주제로 건강한 인간, 건강한 세상의 모습을 제시한다.

저자 백승영 교수는 한국어 니체 전집(고증판 KGW)의 편집위원이자 번역자이며, 긴 시간 니체 철학을 연구해 왔다. 니체의 이론철학, 실천철학에 이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 대한 해석서를 내놓았다. 그는 문학적, 철학적 해석으로 니체 철학, 즉 ‘긍정의 철학’에 접근하는 길을 보여준다. 무엇보다 깊은 성찰이 돋보이는 세심하고 풍부한 해설이 눈길을 끈다. 니체 철학 읽기를 시도하는 모든 이에게 가장 적절한 선택이 될 것이다.
Contents
책머리에 4
해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는 어떤 책인가 11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33

◇ 차라투스트라의 서설 35
1절 차라투스트라의 하강: 패러디의 시작 36
2절 신의 죽음에 대한 고지와 소통의 실패 45
3절 차라투스트라의 두 번째 메시지: 위버멘쉬 57
4절 위버멘쉬를 다른 방식으로 설명하다: ‘줄 타는 춤꾼’이라는 메타포 70
5절 인간말종 74
6절 사이비 자유정신의 추락 83
7절 차라투스트라의 불완전한 지혜, 책임회피 88
8절 차라투스트라의 세 가지 유혹과 극복: 예수의 세 가지 유혹과의 대비 90
9절 차라투스트라의 새로운 진리 98
10절 창조자로 만드는 영원회귀 사유 104

◇ 차라투스트라의 말 106
1장 세 변화에 대하여 107
2장 덕에 관한 강좌에 대하여 118
3장 배후세계론자들에 대하여 127
4장 신체를 경멸하는 자들에 대하여 137
5장 환희와 열정에 대하여 146
6장 창백한 범죄인에 대하여 152
7장 읽기와 쓰기에 대하여 165
8장 산허리의 나무에 대하여 176
9장 죽음을 설교하는 자들에 대하여 184
10장 싸움과 전사에 대하여 195
11장 새로운 우상에 대하여 203
12장 시장의 파리떼에 대하여 217
13장 순결에 대하여 227
14장 벗에 대하여 237
15장 천 개의 목표와 하나의 목표에 대하여 248
16장 이웃사랑에 대하여 259
17장 창조자의 길에 대하여 265
18장 늙은 여자들과 젊은 여자들에 대하여 272
19장 독사의 묾에 대하여 299
20장 아이와 혼인에 대하여 328
21장 자유로운 죽음에 대하여 334
22장 선사하는 덕에 대하여 346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2부 361

1장 거울을 든 아이 365
2장 지복의 섬에서 374
3장 동정하는 자들에 대하여 384
4장 사제들에 대하여 396
5장 덕 있는 자들에 대하여 406
6장 잡것에 대하여 417
7장 타란툴라에 대하여 425
8장 유명한 현자들에 대하여 433
9장 밤의 노래 440
10장 춤의 노래 449
11장 무덤의 노래 457
12장 자기극복에 대하여 465
13장 고매한 자들에 대하여 477
14장 교양의 나라에 대하여 492
15장 때 묻지 않은 인식에 대하여 499
16장 학자들에 대하여 508
17장 시인들에 대하여 518
18장 큰 사건들에 대하여 530
19장 예언자 540
20장 구원에 대하여 548
21장 인간적 영리함에 대하여 563
22장 가장 고요한 시간 572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3부 581

1장 방랑자 590
2장 환영과 수수께끼에 대하여 598
3장 원치 않은 지복에 대하여 613
4장 해 뜨기 전에 621
5장 왜소하게 만드는 덕에 대하여 632
6장 올리브산에서 643
7장 지나쳐 가기에 대하여 650
8장 배신자들에 대하여 660
9장 귀향 670
10장 세 가지 악에 대하여 679
11장 중력의 정신에 대하여 693
12장 낡은 서판과 새로운 서판에 대하여 703
13장 건강을 되찾는 자 741
14장 크나큰 동경에 대하여 758
15장 또 다른 춤의 노래 763
16장 일곱 개의 봉인(혹은: 긍정과 아멘의 노래) 770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4부 및 최종부 779

1장 꿀봉헌 787
2장 절박한 외침 793
3장 왕들과의 대화 799
4장 거머리 812
5장 마술사 819
6장 실직 829
7장 가장 추악한 자 841
8장 자발적 거지 852
9장 그림자 863
10장 정오에 870
11장 환영인사 875
12장 만찬 887
13장 좀 더 높은 인간에 대하여 893
14장 우울의 노래 908
15장 학문에 대하여 911
16장 사막의 딸들 틈에서 918
17장 깨워 일으킴 926
18장 나귀의 축제 935
19장 밤에 방랑하는 자의 노래 944
20장 조짐 958

참고문헌 965
찾아보기 980
Author
백승영
서강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와 석사과정을 마친 후, 독일 레겐스부르크 대학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이자, 서울대학교와 홍익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한국 니체학회의 편집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니체,디오니소스적 긍정의 철학』등이 있으며,『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도덕의 계보』『우상의 황혼』『유고』를 디지털 텍스트 형태로 제공했다. 그 밖에 『니체가 뒤흔든 철학 100년』『철학, 죽음을 말하다』『승계호의 해석혁명』『오늘 우리는 왜 니체를 읽는가』등의 공저가 있다. 역서로는 니체의 『바그너의 경우, 우상의 황혼, 이 사람을 보라, 디오니소스 송사, 니체 대 바그너』『유고(1887년 가을~1888년 3월)』『유고(1888년 초~1889년 1월 초)』가 있다. 이밖에도 형이상학, 인식론, 도덕론, 예술론 및 법론에 이르는 철학적 주제들에 관한 척학 논문과 글을 발표했으며, 제24회 열암학술상 및 제2회 출판문화대상을 받았다.
서강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와 석사과정을 마친 후, 독일 레겐스부르크 대학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이자, 서울대학교와 홍익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한국 니체학회의 편집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니체,디오니소스적 긍정의 철학』등이 있으며,『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도덕의 계보』『우상의 황혼』『유고』를 디지털 텍스트 형태로 제공했다. 그 밖에 『니체가 뒤흔든 철학 100년』『철학, 죽음을 말하다』『승계호의 해석혁명』『오늘 우리는 왜 니체를 읽는가』등의 공저가 있다. 역서로는 니체의 『바그너의 경우, 우상의 황혼, 이 사람을 보라, 디오니소스 송사, 니체 대 바그너』『유고(1887년 가을~1888년 3월)』『유고(1888년 초~1889년 1월 초)』가 있다. 이밖에도 형이상학, 인식론, 도덕론, 예술론 및 법론에 이르는 철학적 주제들에 관한 척학 논문과 글을 발표했으며, 제24회 열암학술상 및 제2회 출판문화대상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