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불교와 유교 도교 (상)

$34.50
SKU
979116684036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8/13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91166840364
Categories 종교 > 세계종교
Description
이 책은 유불도 삼교 교섭사에 착목해 그 분야를 개척하였으며 광범위한 중국불교사 중에서 불교와 유교 및 도교의 교섭관계를 살펴본 것이다. 사실상 근대 이전 동아시아의 정신문명을 견인했던 유불도 삼교가 어떤 경위를 거치고 상호 영향을 미치며 공존해 왔는지를 명쾌하게 설명해 주고 있다. 구체적인 내용을 개략해 보면, 우선 서론에서는 불교를 중심으로 삼아 불교 전래 이후의 중국철학사를 불교의 전역(傳譯), 연구, 건설, 실행, 계승시대로 각각 구분하며 각 시대의 의의를 서술한다. 이어서 글 전체를 전편과 후편으로 구분하고, 전편에서는 유교와 불교의 교섭에 대해 서술하는데 사상적으로 유불교섭에서 특기할 만한 것은 송대에 성립한 성리학이었다는 평가를 토대로 송대 유학을 기점으로 삼아 이전과 이후까지 연달아 서술하고 있다. 그리고 후편에서는 도교와 불교의 교섭에 대해 서술하는데 도교가 어떤 식으로 발전해 갔는지를 불교와의 교섭관계를 통해 파악하면서 통시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더욱이 시대별로 논설, 시문, 서간 등 다양하게 여러 사상가들의 글을 직접 발췌하며 전거로 제시하는 등 서술의 내용이 사실적이면서도 풍부하게 구성되어 있다. 중국불교사를 단지 불교 내부의 사상적 변화에 대한 천착에 함몰시키지 않고, 보다 일반화해서 시대의 변화에 따른 삶의 가치와 방향 등에 관한 인간의 보편적 물음에 답해 왔던 여러 사상가들의 고민과 그들이 해결책으로서 제시했던 대안들을 알 수 있게 해 준다는 데 의의가 있다.
Contents
역주자 서문 · 5
저자 서문 · 7
일러두기 · 22

Ⅰ. 서론: 중국불교사 일반과 유도(儒道) 이교(二敎)

1. 서문 · 27
2. 불교 전역(傳譯)시대 · 28
3. 불교 연구시대 · 31
4. 불교 건설시대 · 36
5. 불교 실행시대 · 40
6. 불교 계승시대 · 46

Ⅱ. 전편: 유불(儒佛) 이교(二敎) 교섭사

상: 송유(宋儒) 이전의 유불 교섭사 · 55

제1장 훈고(訓?)시대: 왕충(王充)의 『논형(論衡)』에 나타난 한(漢) 말기 사상 · 57

1. 숙명적 인생관 · 60
2. 성설(性說) · 67
3. 본체설(本體說) · 73
4. 도덕(道德)의 본원(本源) · 76
5. 자연무위(自然無爲) · 77
6. 천(天) · 78
7. 영혼의 멸불멸(滅不滅) · 80

부설(附說) · 82
1. 모자(牟子) 「이혹론(理惑論)」에 관해 · 82
2. 오(吳) 강승회(康僧會)의 유불조화설(儒佛調和說) · 82

제2장 불유(佛儒)시대 · 84

제1절 동진(東晋)시대 · 84
1. 화호(化胡)사상과 삼성화현설(三聖化現說) · 84
2. 불교에 부가된 여러 문제 · 87
3. 도안(道安)과 습착치(習鑿齒) · 89
4. 손성(孫盛)의 「노담비대현론(老聃非大賢論)」, 「노자의문반신(老子疑問反訊)」 · 90
5. 손작(孫綽)의 「유도론(喩道論)」 · 95
6. 예경(禮敬) 문제, 혜원(慧遠)의 「사문불경왕자론(沙門不敬王者論)」 · 98
7. 내외(內外) 문제, 사태(沙汰) 문제 · 105
8. 불멸(不滅) 문제, 응보(應報) 문제 · 109
제2절 유송(劉宋)시대 · 119
1. 혜림(慧琳)의 「백흑론(白黑論)」(「균선론均善論」) · 119
2. 종병(宗炳)과 하승천(何承天)의 논란 · 123
3. 종병(宗炳)의 「명불론(明佛論)」 · 128
4. 하승천(何承天)의 「달성론(達性論)」과 이에 대한 안연지(顔延之)의 비평 · 134
5. 하승천(何承天)과 유소부(劉少府)의 논란 · 137
6. 모자(牟子)의 「이혹론(理惑論)」 · 139
제3절 남제(南齊)시대 · 153
1. 범진(范縝)의 「신멸론(神滅論)」 · 153
2. 소침(蕭琛)의 비평 · 157
3. 양(梁) 무제(武帝)의 신명성불의(神明成佛義) · 158
제4절 북제(北齊)시대: 안지추(顔之推)의 「가훈(家訓)」 · 160
제5절 수(隋)시대: 문중자(文中子) 왕통(王通) · 166

제3장 각성시대 · 171

1. 서언(緖言) · 171
2. 당(唐) 이전의 삼교(三敎), 당대(唐代)의 불교 대관(大觀) · 173
3. 한퇴지(韓退之)시대의 사조 및 『원도(原道)』, 『원성(原性)』 · 176
4. 이고(李?)의 참선(參禪) · 187
5. 양숙(梁肅)의 『지관통례(止觀統例)』 및 담연(湛然) · 198

중: 송유(宋儒)와 불교 · 203

제1장 송유(宋儒)와 불교 대관(大觀) · 205

제1절 송학(宋學)의 발흥 · 205
제2절 송유(宋儒)의 학설 · 214
1. 우주론(宇宙論) · 214
2. 성론(性論) · 219
3. 실제론(實際論) · 229
4. 불교의 불성론(佛性論) · 237
제3절 송유(宋儒)의 학불(學佛) · 243
1. 주자(周子) · 243
2. 장자(張子) · 246
3. 정명도(程明道) · 248
4. 정이천(程伊川) · 252
제4절 송유(宋儒)의 배불론(排佛論) · 258
1. 장횡거(張橫渠) · 258
2. 정명도(程明道) · 261
3. 정이천(程伊川) · 264
4. 주자(朱子) · 265
제5절 송유(宋儒)와 불교의 관계 · 271
1. 지심견성(指心見性) · 272
2. 승원(僧院)의 청규(淸規) · 273
3. 간명(簡明)과 탈속(脫俗) · 274
4. 기봉(機鋒) 및 문자(文字) · 275
5. 유교자의 출가 · 280
6. 유불의 조화 · 282

제2장 주렴계(周濂溪)와 불교 · 288

1. 주자(周子)와 불교의 교섭 · 288
2. 본체론(本體論) · 293
3. 심성론(心性論) · 299
4. 수도설(修道說) · 304

제3장 장횡거(張橫渠)와 불교 · 310

1. 장자(張子)와 불교의 교섭 · 310
2. 본체론(本體論) · 313
3. 우주론(宇宙論) · 321
4. 심성론(心性論) · 328
5. 수도설(修道說) · 331
6. 장자(張子)의 불교 비평 · 335

제4장 관락(關洛) 이외의 사상가 · 348

1. 왕안석(王安石) · 348
2. 진형중(陳瑩中) · 357
3. 장천각(張天覺) · 367
Author
도키와 다이조,강규여
도쿄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17년부터 1929년 사이 중국을 여러 차례 왕래하며 불교, 유교, 도교에 관한 문화사적을 답사하여 세키노 다다시[?野貞]와 공저로 『중국불교사적[支那?敎史蹟]』(1923), 『중국문화사적[支那文化史蹟]』(1939)을 짓는다. 이 외에도 『불전집성(佛典集成)』(1924) 등 불교와 관련한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도쿄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17년부터 1929년 사이 중국을 여러 차례 왕래하며 불교, 유교, 도교에 관한 문화사적을 답사하여 세키노 다다시[?野貞]와 공저로 『중국불교사적[支那?敎史蹟]』(1923), 『중국문화사적[支那文化史蹟]』(1939)을 짓는다. 이 외에도 『불전집성(佛典集成)』(1924) 등 불교와 관련한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