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전환기 평택과 평택인의 삶

$32.40
SKU
979116629201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8/20
Pages/Weight/Size 152*225*24mm
ISBN 9791166292019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이 책은 지역사로서 평택의 지리학적 형성, 사회역사적 변천 과정, 평택 사람들의 삶을 바탕으로 하여 그 안에서의 민족운동, 지역사회 동향, 일제강점기 일본인 사회 등 다양한 주제를 망라하여 특히 근대 이후 오늘에 이르는 ‘평택’과 ‘평택인’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일제강점기 평택 지역 3·1운동과 천도교의 역할, 진위청년회 조직과 활동을 분석한다. 그리고 평택의 대표적 민족운동가들의 생애와 활동을 살핀 이후, 경제, 교육, 체육, 언론 등 사회 각 분야에서의 근대전환기 평택 지역의 사회 동향과 인물 동향을 다룬다. 특히 평택 지역의 일본인 사회와 그들의 삶을 다룸으로써, 식민지 시기 일본인과 조선인의 관계와 그들의 영향을 조명한다. 보론으로 평택 지역 근대현대사 연구 현황과 과제를 다루어 앞으로의 평택 연구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토대를 구축하였다.
Contents
서문

제1부 평택지역과 민족운동

01 평택지역 3·1운동의 재검토와 전개 양상
02 평택지역 3·1운동과 천도교
03 일제강점기 진위청년회의 조직과 활동

제2부 근대 평택인과 민족운동

01 이택화의 생애와 민족운동
02 이병헌의 생애와 민족운동
03 이석영과 독립운동에 대한 고찰
04 안재홍의 민족운동과 옥고 기록 분석
05 아나키스트 원심창과 주중대사 암살사건

제3부 근대전환기 평택지역의 사회동향

01 근대 평택의 행정구역 변화와 평택의 정체성 모색
02 근대 시기 ‘안성천’의 명명과 이칭들
03 평택 일대 청일전쟁과 ‘안성천’ 지명의 형성
04 근대 스포츠의 수용과 평택지역의 체육활동

제4부 근대전환기 평택지역 일본인 사회와 그들의 삶

01 평택지역의 일본인과 일본인 사회

보론/ 01 평택지역 근대현대사 연구 현황과 과제
02 해방 후 원심창의 민단활동과 평화통일운동
Author
성주현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위원, 청암대학교와 숭실대학교 연구교수로 지냈고, 현재 1923 제노사이드 연구소 소장, ㈜신인간사 대표다.

저서로는 『근대전환기 문화들의 조우와 메타모포시스』(공저, 보고사, 2021), 『근대전환기 서구문명의 수용과 민족운동』(선인, 2020), 『동학과 동학농민혁명』(선인, 2019), 『근대 신청년과 신문화운동』(모시는사람들, 2019), 『일제하 민족운동 시선의 확대』(아라, 2014), 『식민지시기 종교와 민족운동』(선인, 2013)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천도교소년회의 지역 조직과 활동」(『방정환연구』5, 2021), 「근대전환기 호열자의 유행과 천도교의 대응」(『세계역사와 문화연구』 56, 2020), 「衡平社と天道敎」(『部落解放硏究』 212, 2020) 등이 있다.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위원, 청암대학교와 숭실대학교 연구교수로 지냈고, 현재 1923 제노사이드 연구소 소장, ㈜신인간사 대표다.

저서로는 『근대전환기 문화들의 조우와 메타모포시스』(공저, 보고사, 2021), 『근대전환기 서구문명의 수용과 민족운동』(선인, 2020), 『동학과 동학농민혁명』(선인, 2019), 『근대 신청년과 신문화운동』(모시는사람들, 2019), 『일제하 민족운동 시선의 확대』(아라, 2014), 『식민지시기 종교와 민족운동』(선인, 2013)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천도교소년회의 지역 조직과 활동」(『방정환연구』5, 2021), 「근대전환기 호열자의 유행과 천도교의 대응」(『세계역사와 문화연구』 56, 2020), 「衡平社と天道敎」(『部落解放硏究』 212, 2020)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