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2018년에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한국의 산지승원’ 중 한 곳인 충남 공주시 마곡사의 역사와 문화유산, 마곡사를 기반으로 한 화승들의 근대 불화 제작 활동과 그 계보 및 그들이 창작해 온 불화 작품들의 현황을 연구 조사한 글들을 모았다. 마곡사의 가람배치 특성에서부터 유물, 그리고 마곡사를 근거지로 하여 활동한 의병장 영규 외에 김시습, 독립운동가 만공스님, 김구 등의 이야기도 전해 준다. 특히 오늘날에는 금어원을 중심으로 한국 불화의 중핵의 자리를 지켜나가고 있는 마곡사의 화승 전통과 계보를 정리하여, 세계문화유산으로서 양과 질 모든 측면에서 그 가치를 수호, 계승, 성장시키며, 나아가 불교 수행과 교화의 일환으로서, 그리고 그 결실로서의 불화의 의의와 미래상까지 이야기한다.
Contents
제1장 │ 총론
제2장 │ 유네스코 세계유산과 한국의 세계유산
1.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 한국의 유네스코 유산
제3장 │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의 세계유산적 가치와 특성
1.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의 세계유산 선정 과정
2. 세계유산 선정 기본 항목
3.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의 특성
제4장 │ 마곡사의 어제와 오늘
1. 마곡사의 창건과 중창
2. 마곡사의 주요 전각
3. 마곡사의 가람배치
4. 마곡사의 한국불교사적 위치
제5장 │ 마곡사의 불화와 근대 화승의 기록
1. 마곡사의 불화
2. 화승의 계파와 금호약효의 화맥 전승
3. 마곡사 근대 화승의 기록
제6장 │ 마곡사 불교유산의 보존관리와 과제
1. 불교유산의 보존관리
2. 마곡사 불교유산 보존관리와 과제
3. 글을 맺으며
부록
1. 화승 진호병진 스님 인터뷰
2. 진호병진 스님 수행 약력
3. 취성원경 스님 수행 약력
Author
임창옥(정우)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마곡사 말사 공주 동불사 주지소임
중앙승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졸업
동국대대학원 불교미술사 석사 수료
중앙승가대학교 대학원 문학석사(20세기 초 현왕탱화 연구)
중앙승가대학교 대학원 문화재학 박사 수료
법계: 사미계수지(1991), 순천송광사에서 비구계수지(2005), 서울조계사에서 종사 품수(2020)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마곡사 말사 공주 동불사 주지소임
중앙승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졸업
동국대대학원 불교미술사 석사 수료
중앙승가대학교 대학원 문학석사(20세기 초 현왕탱화 연구)
중앙승가대학교 대학원 문화재학 박사 수료
법계: 사미계수지(1991), 순천송광사에서 비구계수지(2005), 서울조계사에서 종사 품수(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