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후생의 인문도시 당진학

$17.28
SKU
979116629044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17 - Thu 05/2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14 - Thu 05/1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6/30
Pages/Weight/Size 152*225*30mm
ISBN 9791166290442
Categories 인문 > 주제로 읽는 인문학
Description
지속가능한 이용후생의 미래 당진

충남 당진 지역을 ‘이용후생의 도시’라는 관점에서 역사적·인문학적으로 조사·연구한 성과를 담은 책이다. 연구자들은 3년여에 걸쳐 ‘전통시대의 당진’, ‘근현대 시기의 당진’, 그리고 ‘미래의 당진’이라는 세 단계의 시간 축과 문화유적, 인물, 사건이라는 범주와 130여 차에 걸친 시민강좌라고 하는 공간 축에 걸쳐 탐구하였다. 선사시대 문화, 고려시대 복지겸에서부터 근대의 박지원과 김대건 신부에 이르는 시대별 대표 인물, 동학농민혁명이나 3·1운동과 같은 역사적 사건, 시대별·권역별 문화유산의 현황, 그리고 이러한 인문 자산을 ‘재생’하여 그려보는 당진의 미래상까지 종횡으로 훑어가며, 이를 ‘이용후생’의 관점에서 일관되게 논구해 나간다. 그 결과로 ‘당진의 지역학’뿐만 아니라 지역화와 지구화의 양 측면을 포괄하면서, ‘지속가능한 이용후생의 미래 당진’과 동아시아, 나아가 지구 속의 당진을 모색하는 데로 이어진다.
Contents
총론: 왜 이용후생의 인문도시 당진인가/ 안외순
1. 이용후생과 당진
2. 책의 구성과 소개
3. 맺음말

제1부 전통시대 인문도시 당진의 이용후생의 역사
당진의 선사 문화/ 안덕임
1. 머리말
2. 구석기시대
3. 신석기시대
4. 청동기시대
5. 초기철기시대
6. 맺음말

고려의 건국과 치국, 그리고 당진/ 김영수
1. 서론
2. 복지겸(卜智謙)의 정치 활동
3. 박술희(朴述希)의 정치 활동
4. 결론

당진의 유학 전통과 구봉 송익필/ 박학래
1. 들어가는 말
2. 당진 지역 유학 전통의 수립과 전개
3. 구봉 송익필의 학문과 이용후생의 전통
4. 맺음말

면천 군수 박지원의 목민 활동/ 김문식
1. 박지원의 면천 군수 부임
2. 이방익 표류기의 저술
3. 천주교인에 대한 설득
4. 면천군의 환경 정비와 정리곡 관리
5. 목민서 「칠사고」의 편찬
6. 『과농소초』「한민명전의」의 저술」

제2부 근대 저항과 계몽적 이용후생의 인문도시 당진
성(聖) 김대건 신부와 당진의 천주교, 그리고 이용후생/ 안외순
1. 서론
2. 당진 솔뫼와 한국 천주교의 못자리, 그리고 김대건 가문
3. 성 김대건 신부의 생애, 그리고 이용(利用)과 후생(厚生)의 마음
4. 맺음말

당진 지역의 동학농민전쟁/ 장수덕
1. 머리말
2. 합덕민란의 발발과 동학의 확산
3. 동학농민전쟁사에 빛나는 승전곡전투
4. 내포 동학농민군 최고의 수접주 이창구
5. 맺음말

당진의 3·1운동/ 김남석
1. 머리말
2. 당진의 지역적 배경
3. 3·1운동의 전개
4. 당진 3·1운동의 성격
5. 맺음말

심훈의 저항과 계몽, 이용후생의 한 방식/ 유진월
1. 서론
2. 일제강점기와 저항 의식
3. 저항과 계몽의 이용후생
4. 결론

제3부 빙해(氷海)에서 평화의 관문도시 당진으로
당진의 문화유산 현황과 활용 정책/ 남광현
1. 당진의 역사적 정체성과 문화유산 현황
2. 문화유산 진흥정책과 도시 이미지 개선 필요성
3. 문화유산 정책의 기본 방향
4. 스타문화재 육성과 지속 가능한 문화유산 체계 마련
5. 맺음말

인문도시 당진의 도시재생사업/ 박현옥
1. 서론
2. 인문도시 당진 2018~2020
3. 국내외 도시재생사업과 사례
4. 당진시의 도시재생 관련 사업
5. 결론 및 제언
Author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안외순,안덕임,김영수,박학래,김문식,장수덕,김남석,유진월,남광현
한서대학교 글로벌언어협력학과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와 동 대학원 석/박사과정을 마쳤고, 한국의 전통시기의 마지막 국면이자 근대로의 첫 이행기인 대원군 집정기 국가와 권력의 성격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한국정치사상, 한국정치외교사, 동아시아 정치사상. 주요 저역서로는 『정치이론과 현대국가』(D. 헬드 저, 역서, 학문과사상사, 1996), 『김택영의 조선시대사 한사경』(김택영 저, 공역, 태학사, 2001), 『동호문답』(이이 저, 역서, 책세상, 2005), 『정치, 함께 살다』(글항아리, 2016) 등이 있다.
한서대학교 글로벌언어협력학과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와 동 대학원 석/박사과정을 마쳤고, 한국의 전통시기의 마지막 국면이자 근대로의 첫 이행기인 대원군 집정기 국가와 권력의 성격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한국정치사상, 한국정치외교사, 동아시아 정치사상. 주요 저역서로는 『정치이론과 현대국가』(D. 헬드 저, 역서, 학문과사상사, 1996), 『김택영의 조선시대사 한사경』(김택영 저, 공역, 태학사, 2001), 『동호문답』(이이 저, 역서, 책세상, 2005), 『정치, 함께 살다』(글항아리, 2016)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