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살림, 철학에게 길을 묻다

지구 살림의 길, 철학이 답하다
$19.44
SKU
979116629010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Mon 05/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Mon 05/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1/05
Pages/Weight/Size 152*225*20mm
ISBN 9791166290107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인간과 동물, 그리고 식물은 물론이고 그 전체와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그 전부의 생명과 생활과 생태의 근거가 되는 지구 자체의 위기까지가 직접적, 현실적, 치명적 위협이 되고 있는 오늘의 생명 위기 시대를, 존재의 근본을 궁극적으로 회의하는 철학자들의 지혜로써 진단하고, 그만큼의 대안을 또한 철학의 빛 속에서 찾아보고자 하는 책이다. 야생동물, 공장식 축산업, 실험동물, 동물권 등으로 생명의 문제를 진단하고, 마음 생태, 자연 생태, 사회 생태의 세 범주로 생태 문제를 분석하며, 탄소중독적 문명의 지표인 TV, 자동차, 아파트, 육식 등으로 생활의 문제를 해부하되, 각각의 문제들을 플라톤에서 홉스, 데카르트, 라이프니츠, 칸트, 헤겔, 마르크스, 니체, 호르크하이머 등을 거쳐 머레이 북친과 들뢰즈.가타리, 피터 싱어 등에 이르는 20명의 철학자들의 철학 속에 재배열함으로써, 세계 철학사를 ‘생태철학사’로 재구조화한 ‘앞으로의 세계 철학사’이기도 하다. 2013년 출간된 『갈라파고스로 간 철학자』의 개정증보판이다.
Contents
1부 : 동물, 생명 그리고 철학

01_ 플라톤의 이데아와 동물 실험실
동물 실험의 천국, 대한민국에서 │이데아 세상, 폐쇄된 실험실 환경 │실험동물에 대한 최소의 윤리 │플라톤이 생각한 이데아, 플라톤이 생각지 못한 이데아 │라투르의 반실재론과 사회적/생태적 연결망 │보이지 않는 것의 윤리와 미학

02_ 데카르트의 자동기계와 공장식 축산업
21세기 동물들의 아비지옥 │자동기계들에게 자비도 없다 │기계 혹은 자동 현상에 대하여 │아우슈비츠와 자동기계들 │동물, 기계, 인간의 경계 │생명의 숨결을 위하여

03_ 라이프니츠의 단자론과 동물권
인권을 넘어서 생명권의 시대로 │단자론이 복권한 동물영혼론 │개체중심주의와 생태중심주의 사이에서 │단자에는 창이 없다 │동물복지와 동물권 간의 기나긴 논쟁 │생명의 권리와 자유를 위하여

04_ 피터 싱어의 공리주의와 동물 해방
고통을 느끼는 동물들 │피터 싱어의 ‘공리주의’와 동물 │종 차별주의인가? 종간 차이인가? │ ‘유정성’의 두 가지 노선 │동물에 대한 학대 금지를 넘어 동물 해방으로

05_ 들뢰즈·가타리의 동물 되기와 야생동물 보호
자연은 원래 야생동물의 영토였다 │한 마리 개냐 여러 마리 늑대냐 │동물원과 | 지구 살림, 철학에게 길을 묻다 야생동물을 문명화하기 │동물 되기 │동물의 언어화될 수 없는 기호작용 │욕망의 야생성 복원하기

2부 : 세 가지 생태학

06_ 가타리의 에코소피와 근본생태주의
근본생태주의란 무엇인가? │가타리의 ‘세 가지 생태학’과의 조우 │도롱뇽 소송, 마음의 운동 │마음의 생태학 │영성의 탈근대적 변형, 주체성 생산 │가타리의 ‘에코소피’와 별이 빛나는 밤

07_ 머레이 북친의 반자본주의와 사회생태주의
사회생태주의란 무엇인가? │북친의 근본생태주의 비판 │부안 반핵코뮌 │사회 변혁과 함께하는 생태주의 │반자본, 반국가, 반권위의 코뮌주의 전망들 │생태운동과 사회적 관계의 변화

08_ 칸트의 선험적 종합명제와 환경관리주의
환경관리주의란 무엇인가? │칸트와 코페르니쿠스적 전회 │태안 사태와 환경관리주의의 혁신 │‘선험적 종합’ 명제의 생태적인 함의 │인식론적 구성주의 │생태계 파괴에 맞선 인간의 개입과 관리

3부 : 탄소중독적 문명

09_ 홉스의 물체론과 아파트 문명
아파트를 넘어 마을로 │홉스가 본 이기적 개인들 │마을은 지금 여기에 │물체론과 아파트 구조-환상 │인민전쟁과 리바이어던 │아파트를 뛰쳐나온 사람들

10_ 비릴리오의 전쟁기계와 자동차 문명
속도라는 파시즘 │비릴리오가 본 ‘속도의 정치’ │도심에 자전거가 달리고 있다 │속도와 무기, 그리고 시간의 바리케이드 │속도 문명의 최종 결론, 핵 국가 │속도가 놓친 느림과 여백의 가능성

11_ 기 드보르의 스펙타클의 사회와 TV 문명
거짓을 말하는 바보상자 │기 드보르와 상황주의 인터내셔널 │자유라디오 운동 │이미지와 물신성 │관조를 뛰어넘는 구경거리의 논리 │TV 문명 너머로

12_ 호르크하이머의 도구적 이성과 육식 문명
육식 문명의 그림자 │호르크하이머와 도구적 이성 비판 │채식운동의 발흥과 발전 │자연 지배와 인간 지배의 관계 │근대 이성과 파시즘을 넘어서 │육식을 넘어 생명과의 공존으로

4부 : 에너지, 석유정점


13_ 니체의 초인사상과 핵에너지
문명의 세기를 가른 후쿠시마 사건 │핵, 나치가 받아들인 초인 사상 │탈핵과 생명평화운동 │주인의 도덕, 노예의 도덕 │반시대적 고찰 ‘시간의 상실’ │핵을 넘어 생명과 평화의 세상으로

14_ 푸코의 권력의 미시물리학과 화석 에너지
화석연료 정점의 무력화와 셰일오일 │에너지는 미시권력이다 │오일 봉쇄와 식량 위기에 대한 쿠바의 대응 │미시권력과 배치 │생명정치와 화석연료 │화석 에너지 이후의 전환사회는 가능한가?

15_ 라이히의 오르곤과 재생 에너지
햇빛발전소, 미래로 돌아가다 │라이히, 생명 에너지의 뿌리를 찾아서 │재생 에너지의 여러 가지 쟁점들 │‘바이온’과 에코 시스템 그리고 재생 에너지 │죽음의 방사능 에너지에 맞선 생명의 오르곤 에너지 │태양과 바람의 나라를 향하여

5부 : 성장의 한계

16_ 프로이트의 무의식과 기후 위기
기후 위기라는 불편한 진실 │프로이트의 무의식 정신역동 이론 │기후 위기와 탄소경제, 그린뉴딜, 기후금융 │탄소무의식 : 무의식과 탄소 소비의 배치 │기후 위기와 무의식 │탄소 순환적인 무의식은 가능한가?

17_ 마르크스의 생산력주의와 성장주의
외연적 성장보다 내부 관계망의 성숙을! │마르크스의 『공산당 선언』과 생산력주의 │발전 대신 밭전(田)을! │성장의 그림자 │『자본론』의 가치 법칙과 그 외부 │탈성장, 탈토건의 사회를 향해

18_ 헤겔의 변증법과 생물다양성
우리의 생명이자 삶인 생물다양성 │헤겔과 변증법 │생물종 다양성과 종자 주권 │존재-무-생성의 논리와 생명 │주인과 노예의 인정투쟁과 생물다양성 │생물다양성과 우리의 미래

19_ 스피노자의 범신론과 생태계 보존
보이지 않지만 소중한 생태계의 가치 │스피노자의 아주 특이한 책, 『에티카』 │강정의 평화와 생태계 │범신론과 생태적 지혜 │내재성과 생태계 │생태계의 보이지 않는 연결망과 순환과 재생의 사회
Author
신승철
문래동예술촌에서 아내와 함께 《철학공방 별난》을 운영하면서 공동체운동과 사회적 경제, 생태철학 등을 친구들과 더불어 공부하고 있다. 프랑스 철학자 펠릭스 가타리(Felix Guattari)의 『세 가지 생태학』과의 만남을 시작으로 줄곧 생태철학을 연구하는 중이다. 최근에는 《생태적지혜연구소협동조합》(ecosophialab.com)을 연구자, 활동가들과 함께 만들어서 기후변화와 생명위기 시대를 극복하고 전환사회를 만드는 지혜를 탐색하고 있다. 쓴 책으로는 『생태계의 도표』(2020, 신생), 『모두의 혁명법』(2019, 알렙), 『탄소자본주의』(2019, 도서출판한살림), 『구성주의와 자율성』(2017, 알렙), 『마트가 우리에게 빼앗은 것들』(2016, 위즈덤하우스), 『갈라파고스로 간 철학자』(2014, 서해문집), 『욕망자본론』(2014, 알렙), 『식탁 위의 철학』(2013, 동녘), 『눈물 닦고 스피노자』(2012, 동녘) 등이 있고, 함께 쓴 책으로는 『10대와 통하는 기후 정의 이야기』, 『우리의 욕망을 공유합니다』(2020, 도서출판한살림), 『체게바라와 여행하는 법』(2014, 사계절) 등이 있다.
문래동예술촌에서 아내와 함께 《철학공방 별난》을 운영하면서 공동체운동과 사회적 경제, 생태철학 등을 친구들과 더불어 공부하고 있다. 프랑스 철학자 펠릭스 가타리(Felix Guattari)의 『세 가지 생태학』과의 만남을 시작으로 줄곧 생태철학을 연구하는 중이다. 최근에는 《생태적지혜연구소협동조합》(ecosophialab.com)을 연구자, 활동가들과 함께 만들어서 기후변화와 생명위기 시대를 극복하고 전환사회를 만드는 지혜를 탐색하고 있다. 쓴 책으로는 『생태계의 도표』(2020, 신생), 『모두의 혁명법』(2019, 알렙), 『탄소자본주의』(2019, 도서출판한살림), 『구성주의와 자율성』(2017, 알렙), 『마트가 우리에게 빼앗은 것들』(2016, 위즈덤하우스), 『갈라파고스로 간 철학자』(2014, 서해문집), 『욕망자본론』(2014, 알렙), 『식탁 위의 철학』(2013, 동녘), 『눈물 닦고 스피노자』(2012, 동녘) 등이 있고, 함께 쓴 책으로는 『10대와 통하는 기후 정의 이야기』, 『우리의 욕망을 공유합니다』(2020, 도서출판한살림), 『체게바라와 여행하는 법』(2014, 사계절)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