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들을 만난 어른들은 “너의 꿈은 무엇이니?” 하고 묻고 싶어진다. 청소년들 중에는 그런 질문을 부담스러워하는 아이들도 있다. 왜냐하면 어떤 꿈을 가질까? 하고 고민하고, 탐색하는 아이들에게 마치 강요하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는 우리 주변의 인생 선배들은 어떤 꿈을 꾸었고, 어떻게 그 꿈을 실현했으며 보람이나 아쉬움은 없었는지 먼저 이야기로 들려주는 장을 마련해보았다. 사람들은 누구나 성공을 꿈꾸지만, 성공의 기준은 사람마다 다 다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주변에서 만나는 다양한 사람들의 경험담을 들어보는 것은 꿈을 꾸고자 하는 청소년들에게 보다 현실감 있는 이야기로 다가갈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Contents
머리말
01 아동청소년 작가 | 심소정
알프스를 동경하게 하는 아이 『하이디』
02 문학치료사 | 하정화
이 나이에, 나의 앤에게 『빨간 머리 앤』
03 소방관 | 한재현
스스로 개척하는 길 『로빈슨 크루소』
04 공무원 | 심종보
별을 따는 것보다 더 어려운 일은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05 게임크리에이터 | 공기헌
나는 여전히 꿈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영화 [스타워즈]
06 간호사 | 류으뜸
진심은 마음을 움직인다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평전』
07 장대현학교 교사 | 황은지
예쁜 꽃을 기대했지만, 잘 자란 향나무였어요 『차라리 꿈꾸지 마라』
08 미술관 도슨트 | 최세경
내 안에서 씨앗이 되고 싹이 튼다 『꽃들에게 희망을』
09 축산업가 | 여태문
자연과 하나가 되는 일 『내 안에서 찾은 자유』
10 독서지도사 | 허경아
책이 징검다리가 되어 『왜 주인공은 모두 길을 떠날까』
11 초등학교 교장 | 안승렬
꿈이 있는 자는 흔들리지 않는다 『바보 빅터』
12 보석판매업 | 손지윤
있는 그대로 나를 인정하자 『세계는 넓고 할 일은 많다』
13 일러스트레이터 | 임예빈
그림 그리는 일이 제일 즐거운 사람 『빅디자인』
14 대학교수(과학기술자) | 김영식
새벽길을 걷던 소년 『청소년을 위한 시간의 역사』
이 책에 도움이 된 책과 영화
Author
심소정
[경남신문신춘문예]에 동화 당선으로 작가가 되었다. 대학 다닐 때부터 동화를 쓰기 시작했지만, 첫 책을 출간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렸다. 자신의 책을 읽은 아이들이 “너무 재미있었어요.”라고 말해줄 때, 힘이 생기고 보람을 느낀다. 쓴 책으로 동화책 『파란 자전거를 찾습니다』, 『할머니의 앵무새』, 청소년 인문학 도서 (공저)『작품 속으로 풍덩 문학관 산책』이 있다. 『할머니의 앵무새』는 인도네시아에 수출이 되었다.
[경남신문신춘문예]에 동화 당선으로 작가가 되었다. 대학 다닐 때부터 동화를 쓰기 시작했지만, 첫 책을 출간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렸다. 자신의 책을 읽은 아이들이 “너무 재미있었어요.”라고 말해줄 때, 힘이 생기고 보람을 느낀다. 쓴 책으로 동화책 『파란 자전거를 찾습니다』, 『할머니의 앵무새』, 청소년 인문학 도서 (공저)『작품 속으로 풍덩 문학관 산책』이 있다. 『할머니의 앵무새』는 인도네시아에 수출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