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적인 것마저 사라지는 순간
: 이태준의 「엄마 마중」을 중심으로 [이승은]
1. 화두
2. 변형과 몰입
3. 천 개의 얼굴
오인된 '카르노스'의 노래
: 설정식 시의 윤리성과 그 시적 형상 [강계숙]
1. '설정식'이라는 예외적 특이성
2. 문학적 화두로서의 '윤리' 개념
3. 민족의 악덕과 파국적 우화(愚話)의 세계
4. 예언의 윤리성 : '아모스'와 '카르노스'의 사이에서
5. '인민'의 이름으로 : '민족'과 '인민'의 경계 짓기
6. 맺음말
' 환자-여행자-(공화국)시인'으로서 기행시를 (못) 쓰기
: 오장환의 소련 기행시 창작 및 개작 양상을 중심으로 [조영추]
1. 환자-여행자-(공화국)시인'으로서의 여정과 시 쓰기의 딜레마
2. 분해된 '기행'의 시간성과 현장성 : 시집 『붉은 기』의 편성 체계와 개작 시도
3. 소련을 위한 찬가에서 '우리 혹은 나의' 노래로: 개작을 통한 '노래'의 변주
4. 나오며
박인환 시 다시 읽기
: 마음대로 시를 쓰는 것은 (불)가능한가? [최서윤]
1. 들어가며
2. 해방기 전향과 자유의 불/가능성
3. 센티멘털리즘과 애도의 불가능성
문단의 '명동시대'와 다방의 문인 네트워크 [김지원]
1. 문화예술장의 개편과 제도권 밖의 문인들
2. 만송족 논란과 문화예술장의 재편
8. '명동시대'의 기원과 형성
4. 환도 후 명동의 다방 네트워크
5. 월남문인들과 다방
6. 명동시대 그 이후: 종로의 다방들
제2부 한국문학 비평의 키워드
경험적인 것을 선험적인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어떻게?
: 김현 초기 시 비평의 문제의식 [조강석]
1. 선험적인 것과 경험적인 것, 그리고 문화의 고고학
2. 1960년대의 한국 시단과 두 개의 앤솔로지
3. 암시의 시학과 수직적 이원론의 토착화 가능성
4. 이미지 계보학
5. 나오며
폭력과 유토피아, 그리고 문학이라는 세계 [한래회]
1. 들어가며
2. 상상하려는 의지와 미적 유토피아
3. 폭력의 사회와 부정적 유토피아
4. 나오며
세대론들
: 「젊은 시인을 찾아서」 다시 읽기 [양순모]
1. 세대론이란
2. 거부의 거부, 성장소설의 성장소설
3. 요즘 것들의 문학
4. 다른 세대론 : 「젊은 시인을 찾아서」
5. 따뜻한 헤어짐을 위하여
재한조선족 시에 나타난 '대림동'의 재현 양상 [전은주]
1. 들어가며
2. 한국으로의 역이주와 '대림동'의 의미
3. 시에 나타난 '대림동'의 재현 양상
4. 나오며
제3부 한국문학의 안과 밖
대중 투자 텍스트의 화폐 상상 [권창규]
1. '경제적 자유'를 성취한 부자 되기라는 목표
2. 부자 되기의 과정 : 일반인'에서 투자자로의 계발
3. 돈이 일하게 하라'는 화폐 상상
4. 투자 담론이 던지는 '욕망과 공포 앞에서
읽어버린 사람
: 독서행위이론으로서 들뢰즈의 마조히즘 [정한아]
1. 속이 울렁거리는 철학자
2. 냉정함과 잔인성 : 예술의 문제로서의 증후학
3. 주체 구성 원리로서의 도착증 분석과 문학 비평
4. 초감각주의
5. 상상 가능한 것과 실존 가능한 것
6. 계약관계의 초과 달성
문학의 외부에서 [박수연]
문학적 픽션과 공동체의 정치학: 한강의 『소년이 온다』
: '소아'의 담론화에 대한 논의와의 비교분석을 매개로 [정의진]
1. 들어가며
2. 『소년이 온다』의 정치성
3. 증언 문학과 픽션
4. 『소년이 온다』의 텍스트적인 특수성과 정치성
5. 결론을 대신하며 : 픽션과 공동체
한국문학의 초국가적 연구를 위한 들뢰즈 문학론의 비평적 가능성 [김창환]
1. 지역학/지역문학 연구의 쇠락과 후생(afterlife)
2. 들뢰즈의 눈으로 동아시아 문학 보기
3. 동아시아 문학의 '축'에 드리운 그림자
4. 리좀적 운동으로 들끓는 '지역 문학'의 부활을 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