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 형성·전승의 미학

고대시가·향가 편
$34.50
SKU
979116587479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4/28
Pages/Weight/Size 153*225*30mm
ISBN 9791165874797
Categories 소설/시/희곡 > 비평/창작/이론
Contents
들어가며

/제1부/ 고대시가의 형성 국면과 존재 의의

1장 기존 연구 검토와 논의의 전제
1. 관련 연구 동향과 논의 방향
2. 시가(詩歌)와 가요(歌謠)의 개념
3. 서정(抒情)의 정의와 유형

2장 작품별 분석
1. 「구지가」: 제의 신화가 된 기우 주술요 1) 기존 연구 검토와 문제 제기
2) 수로왕 탄강담의 제의성
3) 「구지가」 전승의 형성 단서
「구지가」계 노래와 기우 주술
풍요 제의와 청배 무가
「가락국기」의 윤색 경위와 수로(首露)의 의미
4) 「구지가」 출현과 전승 의의
2. 「공무도하가」: 진혼 제의에서 새롭게 불린 상장요(喪葬謠)
1) 기존 연구 검토와 문제 제기
2) 「공무도하가」 전승서사의 제의성
3) 「공무도하가」 전승의 형성 단서
씻김굿과 상여소리
4) 「공무도하가」 출현과 전승 의의
3. 〈황조가〉: 풍요 제의가(祭儀歌)가 된 서정 민요
1) 기존 연구 검토와 문제 제기
2) 「유리왕」조의 제의성
3) 「황조가」 전승의 형성 단서
동이(東夷)의 새토템과 주몽신화
고구려 패수浿水) 제의와 제주도 입춘굿
「새타령」의 제의적 결합과 전통 민요
4) 「황조가」 출현과 전승 의의
4. 「헌화가」·「해가」: 별제(別祭)에서 불린 제의가
1) 기존 연구 검토와 문제 제기
2) 「수로부인」조의 제의성
3) 「헌화가〉·〈해가」 전승의 형성 단서
양구(陽口)의 성황제(城隍祭)와 신화제의 속 꽃의 주술성
통일 신라의 용신 신앙과 명주(洲)의 대령산신제(大嶺山神祭)
4) 「헌화가」·「해가」 출현과 전승 의의
5. 「도솔가」: 일월제치제의(日月除治祭儀)에서 불린 중세 주술제의
1) 기존 연구 검토와 문제 제기
2) 「월명사 도솔가」조의 제의성
3) 〈도솔가〉 전승의 형성 단서
신라의 일월제(日月祭)와 이일병현(二日?現)
유리왕대 〈도솔가」와 화랑계 향가
4) 「도솔가」 출현과 전승 의의

3장 고대시가 양식 전승의 시가사적 함의
1. 고대시가 전승과 시가 양식의 체계화
1) 형식적 측면: 언술 방식과 인식 지향의 지속과 변화
2) 이념적 측면: 제의와 가악(歌樂)을 통한 문화적 조응
2. 고대시가 전승의 미학적 패러다임: 이질적 요소들의 길항 3. 맺음말

/제2부/ 향가 형성. 전승과 밀교의 상관성

4장 금광명최승왕경」 신앙과 「헌화가」·「해가」
1. 들머리에
2. 성덕왕 기사의 서술ㆍ편제 목적
3. 「금광명최승왕경」 신앙과 수로부인 전승
4. 『금광명최승왕경」 신앙과 「헌화가」·「해가」
5. 맺음말

5장 다라니인단법과 향가 「도솔가」
1. 들머리에
2. 이일병현(二日?現) 해괴(怪祭)의 밀교적 특성
3. 〈도솔가〉 노랫말의 밀교론적 해석
4. 맺음말

6장 밀교의 치병 신앙과 향가. 고려가요 「처용가」 전승
1. 들머리에
2. 『관정소룡대신주경」과 「처용가」 전승
3. 『불설안택신주경」, 「공작왕주경」 신앙과 「처용가」 전승
4. 맺음말

참고문헌
논문출처
Author
이현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