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종교의 메타모포시스
1장 종교의 혼합과 변형
1. 혼합과 변화
2. 혼합현상에 대한 고전적 인식
1) 신크레티즘, 용어의 역사
2) 기존 논의에 대한 성찰
3) 고전 종교학의 통찰
3. 혼합현상에 대한 새로운 인식
1) 인류학의 통찰
2) 개념 이해의 전환점
3) 의례적 장에서 일어나는 혼합
4. 혼합주의에서 혼합현상으로
2장 혼합주의 담론의 역사
1. 혼합주의 담론
2. 한국의 혼합주의
1) 혼합주의 담론 이전
2) 1960년대의 혼합주의
3. 한국 개신교와 혼합현상
1) 오순절교회와 혼합현상
2) 정대위의 기여
3장 한국 개신교의례의 혼합현상
1. 한국 개신교 의례의 특성
2. 평생 의례에 나타나는 혼합
1) 결혼식의 정착 양상과 혼합
2) 장례식
3) 제사와 추도식
3. 절기 의례에 나타나는 혼합현상
1) 한국 크리스마스의 정착
2) 크리스마스에 나타난 혼합
3) 부활절과 추수감사절
4. 개신교 의례 혼합현상의 의미
4장 토착화와 메타모포시스
1. 메타모포시스 이론의 모색
2. 1960년대 토착화 신학의 전개
1) 논의의 맥락
2) 씨앗과 토양
3. 토착화와 혼합
1) 혼합주의
2) 방법론적 혼합주의
4. 토착화와 메타모포시스
1) 괴테의 식물학
2) 변화의 주체와 정체성
5. 식물의 변화와 문화의 변형
제2부 전력망 체계의 구축과 확장
5장 소규모 지역배전 체계에서 대규모 전력망 체계로: 1920~30년대 식민지 조선의 전력체계 전환
1. 머리말
2. 지역발전체계와 거대 자가 수력발전소의 등장
1) 신흥재벌 노구치와 일본질소의 조선 진출
2) 부전강 발전소 개발 사업
3. 거대 자가 발전소에서 공공 전력시스템으로의 전환
1) 조선총독부의 전력통제정책: 새로운 전력시스템의 구상
2) 장진강 발전소 건설과 고압 송전망 가설 사업: 식민정부와 일본질소의 합작품
3) 조선 전력망 체계의 완성: 1930년대 말 조선의 전력 산업
4. 맺음말
6장 제국의 실험실: 하이 모더니즘과 조선총독부의 전력정책
1. 머리말
2. 1910년대 전기산업 도입과 조선총독부의 전력 정책실험
3. 식민지 기술관료들의 조선개발 인식과 종합 개발계획서, '초전력연계'
4. 맺음말
7장 식민지 변방에서 시작된 기술혁신: 수풍댐과 동아시아 기술스타일의 형성
1. 머리말
2. 만주국의 산업개발 5개년 계획과 수력발전소 건설 계획
3. 식민지 조선에서 발견한 새로운 전력체계 구축의 모범
4. 수풍댐의 등장과 동아시아 기술체계의 형성
5. 맺음말
제3부 헝가리의 문화적 메타모포시스
8장 전통문화의 메타모포시스: 헝가리 문화 속의 오스만 유산
1. 머리말: 헝가리와 오스만 제국
2. 오스만 제국 통치 시기의 변화 양상
1) 사회, 종교적 변화 양상
2) 인구통계상의 변화 양상
3. 헝가리 문화 속의 오스만 문화
1) 언어적 영향
2) 헝가리 민속 문화 속의 오스만 문화의 영향
4. '오스만 제국', '터키'에 대한 헝가리인의 인식
5. 맺음말
9장 도시의 메타모포시스: 근대적 전환 공간 부다페스트
1. 머리말: 도시의 탈바꿈(Metamorphosis)?
2. 헝가리 역사에서 부다페스트의 성격
3. 19세기 말~20세기 초 부다페스트로의 이주와 '세계도시'로서의 위상
4. 20세기 초 유럽 도시 중에서 부다페스트의 위치
5.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