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종교와 민의 철학

$21.60
SKU
979116586122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12/30
Pages/Weight/Size 153*225*30mm
ISBN 9791165861223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이 책은 근대전환기 우리 민중들이 민족사적 비극과 혼란 속에서 겪어야 했고, 또 결하고자 했던 문제를 중심에 두고, 한국적 정서와 문화 속에서 전통사상을 계승·발전극복하고, 또 외래의 어떤 사상과 문물을 수용하거나 거기에 대응했는지 살펴보았다. 그 대상은 민족종교를 표방한 동학·대종교·증산교·원불교의 종교사상으로서, 그 내용은 제각기 주체의식, 민족정체성, 상생과 평화, 사회 공동체를 특징으로 삼아 민중의 입장에서 재구성한 민의 철학이다. 이 민의 철학이 갖는 의의는 민족종교가 우리 민족사에서 불교와 유교의 수용으로 말미암아 상대적으로 소외되었으나 민중들에 의하여 면면히 이어온 단군신앙과 그 사상적 특징을 재발견하고, 전통을 계승·발전시키면서 그리스도교의 영향을 받았으되 그 논리에 휘둘리지 않고 대응하는 가운데 우리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과, 종교사상의 한국적인 특징이 무엇인지 동시에 우리철학을 생산하는 방법론적 태도를 탐구한 데 있다.
Contents
왜 민의 철학인가? 19
민과 민의 철학 19
민의 철학과 근대전환기 민족종교 24
민의 철학과 우리철학 35

제1장 전통적 배경으로서 원형사상과 민족종교 41
1. 원형사상의 형성과 쇠퇴 42
1) 단군신화 42
2) 제천 의식과 소도 46
2. 유교와 불교 속의 원형사상 48
1) 최치원과 풍류도 48
2) 일연의 단군신화와 불교 52
3) 조선 시대의 단군의식과 경천사상 55
3. 민족종교의 전개 64
1) 민족종교와 시대적 배경 64
2) 민족종교 형성 당시의 종교?사상적 배경 67
3) 민족종교 현황 71

제2장 동학과 주체의식 77
1. 시대적 배경 77
2. 우주관 81
1) 지기 81
2) 자연스러움 88
3. 인간관 92
1) 인간과 하늘의 관계 93
2) 인간과 인간의 관계 99
4. 가치관 104
1) 도덕의식의 기원 104
2) 도덕의식의 발현 113
5. 실천관 118

제3장 대종교와 민족정체성 127
1. 근대전환기 단군신앙의 출현 127
2. 대종교와 항일투쟁 130
1) 초기 대종교의 항일투쟁 130
2) 청산리전투에서 임오교변까지 139
3. 대종교의 삼신일체설과 민족주의 142
1) 삼신일체설 142
2) 근대적 민족주의 150
4. 대종교 현황 159
1) 경전의 성립 159
2)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162

제4장 증산교의 상생과 평화 167
1. 시대적 배경 167
1) 증산교 탄생의 시대적 배경 167
2) 고부와 그 주변 지역의 민중의 삶 169
3) 민중으로서 강일순의 삶 174
2. 선천과 후천 세계 179
1) 상극의 원리가 지배하는 선천 179
2) 인간의 원한과 신명 188
3) 후천의 지상선경 193
4) 지상선경의 주체 200
3. 이상 세계 건설을 위한 실천 205
1) 의료 행위로서의 천지공사 205
2) 민중을 구원하기 위한 천지공사 211
3) 해원과 상생 217
4. 민의 철학에서 본 증산교사상의 의의 223
1) 민중이 주체인 이상 세계 223
2) 증산교사상과 민족주의 226
3) 상생과 평화의 보편적 이념 233
4) 증산교사상과 우리철학 236

제5장 원불교와 사회 공동체 241
1. 시대 상황과 사상적 배경 241
1) 근대전환기 민중의 삶과 원불교 241
2) 박중빈의 삶과 사상의 배경 244
2. 원불교의 현실 인식과 인간 이해 249
1) 세계와 현실 인식 249
2) 인간 이해 255
3. 이상 세계는 어떻게 도래하는가? 264
1) 이상 세계와 그 주체 264
2) 이상 세계의 건설 방법 272

4. 민의 철학에서 본 원불교사상의 의의 281
1) 민족주의와 근대적 시민의식의 고양 281
2) 공동체사상의 심화와 종교 화합 286
3) 원불교사상과 우리철학 292

우리철학으로서 민의 철학 299
근대전환기 민의 철학과 우리철학 299
현대적 의의와 과제 309

참고문헌 319
Author
이종란,김현우,이철승
서울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교사로 근무했다.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철학을 전공하고, 최한기崔漢綺의 철학을 연구하여 박사학위(철학)를 받았다. 한국방송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성균관대학교에 출강하였으며, 조선대학교 우리철학연구소에서 전임연구원을 지냈다. 현재는 집필 활동에만 전념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기란 무엇인가』, 『의산문답』, 『최한기의 운화와 윤리』, 『전래동화?민담의 철학적 이해』, 『전래동화 속의 철학1-5』, 『청소년을 위한 이야기 논어』, 『주역, 삶에 미학을 입히다』(공저), 『한국철학스케치』(공저) 등이 있고, 『쉽고 재미있는 동양고전 30』 외 다수의 철학동화가 있으며, 번역서로는 『운화측험』, 『왕양명실기』, 『공제격치』, 『주희의 철학』(공역), 『왕부지 중용을 논하다』(공역)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주역』을 통해 구축한 동서철학 융합의 플랫폼」 외 다수가 있다.
서울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교사로 근무했다.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철학을 전공하고, 최한기崔漢綺의 철학을 연구하여 박사학위(철학)를 받았다. 한국방송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성균관대학교에 출강하였으며, 조선대학교 우리철학연구소에서 전임연구원을 지냈다. 현재는 집필 활동에만 전념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기란 무엇인가』, 『의산문답』, 『최한기의 운화와 윤리』, 『전래동화?민담의 철학적 이해』, 『전래동화 속의 철학1-5』, 『청소년을 위한 이야기 논어』, 『주역, 삶에 미학을 입히다』(공저), 『한국철학스케치』(공저) 등이 있고, 『쉽고 재미있는 동양고전 30』 외 다수의 철학동화가 있으며, 번역서로는 『운화측험』, 『왕양명실기』, 『공제격치』, 『주희의 철학』(공역), 『왕부지 중용을 논하다』(공역)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주역』을 통해 구축한 동서철학 융합의 플랫폼」 외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