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전환기 도교·불교의 인식과 반응

$18.36
SKU
979116586120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12/20
Pages/Weight/Size 153*225*20mm
ISBN 9791165861209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전통종교로서 도교와 불교가 가진 의미는 두 가지 측면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그것 들이 매우 오랜 시간동안 우리의 세계관에 지대한 영향력을 끼쳐왔다는 역사성의 차원과 특히 시대적으로 구한말에서 일제시기에 이르는 근대전환기에 기층 민중 들의 삶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해왔다는 계급성의 차원에서이다.

도교와 불교는 늦어도 삼국시대 이래 일제 강점기에 이르기까지 우리 역사 속에서 때로는 고유신앙 및 다양한 사상과 교섭·융합되기도 하면서도 독자적인 영역을 유지해왔다. 대부분의 오랜 종교가 그렇듯이 도교와 불교 역시 세계를 설명하는 방 식으로서 자연세계와 인문세계를 통틀어 우리 삶의 전반에 근원적인 영향력을 끼쳐왔다. 세계관의 기반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끼치기도 하고, 개인적 삶의 방향성 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소속된 사회집단의 결속력을 고양시키거나 사회적 의미와 가치관을 강화시키기도 하며, 문화·예술을 포함한 삶의 양식에 오랫동안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해왔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
Contents
제1장 왜 교의 철학인가? 19

제2장 근대전환기 한국도교 전통의 모색 21

1. 한국도교의 전통:한국 도교의 기원에 대한 탐색 24

2. 조선후기 민간도교의 전개양상 38
1)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전개양상:관우숭배신앙, 도교 권선서, 난단도교 41
2) 민족종교에 미친 영향 :저항적 민간도교의식과 수련도교 전통 61

3. 전병훈의 근대적 문제의식과 사상적 모색 69
1) 전병훈의 생애와 『정신철학통편』 소개 78
2) 『정신철학통편』의 문제의식과 그 특징 86

4. 전병훈 『정신철학통편』의 사상사적 의미 111

제3장 근대전환기 한국불교의 모순 인식과 반응 121

1. 근대전환기 한국불교 연구의 방향 121
1) 연구 동향 검토 123
2)호국불교에 관한 논의:호법護法과 호국護國, 그리고 호민護民의 길 128

2. 개항기 한국불교의 인식과 반응 :일본불교의 침투와 불교관련 정책의 변화 141
1) 불교인들의 자각과 행동:거사불교와 결사운동 142
2) 선각적 불교개화 그룹:개화파와 개화승 152
3) 일본불교의 침투:일본불교 종파들의 진출과 도성입성해금 160

3. 근대전환기 한국불교 교단의 지향:국가권력의 ‘외호’에서 자립으로 169
1) 국가권력과 불교 교단(승단)의 관계 170
2) 구한말 세속권력의 ‘외호外護’와 공인公認:승단의 국가관리, 관리청원과 사사관리서 177
3) 국가권력의 ‘외호外護’에서 자립으로:일제 강점기 한국불교의 방향성 188

4. 근대전환기 시대적 모순에 대한 한국불교의 이론적 반응 207
1) 근대불교의 중흥조 경허의 입장 :수행전통의 확립 및 세속권력과의 거리유지 207
2)한국불교 근대화를 위한 불교지성들의 불교개혁론:사회진화론의 수용과 불교적 적용 218
3) 근대전환기 한국불교의 민족주의적 반응 246

제4장 나가는 글 261

참고문헌 271
Author
김형석
현재 경상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성균관대 동양철학과를 졸업하고 동양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유학과에서 박사학위(철학)를 받았다. 미국 Arizona State University 방문학자, 대만 중앙연구원中央硏究院 중국문철연구소中國文哲硏究所 박사후연구 등을 역임하였다.

논문으로 「수양론적 맥락에서 『장자』 ‘고목사회枯木死灰’론의 이해(1) : 『장자』 내적인 의미체계를 중심으로」(2020), 「함석헌 노장이해의 특징」(2016), 「장자의 즐거움」(2015) 외 다수가 있다. 또한 저?역서로 『한국의 전통사상과 민족문화』(2018, 공저), 『(완역) 성리대전』총10권(2018, 공역), 『(신역)장자?내편 : 절대자유의 인생철학』(2017, 공저) 외 다수가 있다.
현재 경상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성균관대 동양철학과를 졸업하고 동양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유학과에서 박사학위(철학)를 받았다. 미국 Arizona State University 방문학자, 대만 중앙연구원中央硏究院 중국문철연구소中國文哲硏究所 박사후연구 등을 역임하였다.

논문으로 「수양론적 맥락에서 『장자』 ‘고목사회枯木死灰’론의 이해(1) : 『장자』 내적인 의미체계를 중심으로」(2020), 「함석헌 노장이해의 특징」(2016), 「장자의 즐거움」(2015) 외 다수가 있다. 또한 저?역서로 『한국의 전통사상과 민족문화』(2018, 공저), 『(완역) 성리대전』총10권(2018, 공역), 『(신역)장자?내편 : 절대자유의 인생철학』(2017, 공저) 외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