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철학, 어떻게 할 것인가

$21.60
SKU
979116586095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9/15
Pages/Weight/Size 153*226*30mm
ISBN 9791165860950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우리나라에서 ‘철학’ 용어의 출현은 서구 문명을 동경했던 일본 학자들에 의해서다. 그들은 유儒?불佛?도道를 중심으로 하는 전통철학을 지양하고, 서양철학을 지향하였다. 그 철학이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수용된 이래 100여 년 동안 한국의 제도권 철학계는 서양철학이 주류를 이루었다. 최근에 일군의 학자들에 의해 ‘동양’, ‘서양’, ‘전통’, ‘현대’, ‘탈현대’ 등의 다양한 내용이 취급되었음에도, 우리의 현실 문제를 토대로 하는 주체적인 이론 생산은 미흡한 편이다. 서양철학의 소개와 전파 및 전통철학의 부활이 우리의 시대 문제와 무관하게 무비판적으로 진행된다면 그 이론의 생명력은 약화될 수 있다. 동양과 서양을 막론하고 철학사에 등장하는 많은 내용은 자신의 시대 문제를 능동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에 형성되었다. 이제 우리도 이론의 소비자에 만족하지 않고, 우리의 주체적인 문제의식을 반영하여 시대정신에 부응하는 새로운 이론을 생산할 때가 되었다.

이 책은 21세기형 우리철학의 정립이라는 문제의식으로 ‘철학’ 용어가 출현한 19세기 후반부터 21세기가 진행되고 있는 현재까지 한국의 철학계 현황을 고찰한다. 우리철학 정립의 이론적 토대에 해당하는 고유의식, 외래철학의 한국화, 전통철학의 비판?계승?변용, 자생철학의 모색 등을 살펴보고, 우리철학 정립의 사회적 토양에 해당하는 다양한 정치 현실과 문화 현상을 분석한다. 또한 특수와 보편 및 타율성과 자율성 등의 시각으로 우리철학 정립의 방법을 탐구하고, 같음과 다름의 관계와 어울림철학을 중심으로 하는 우리철학 정립의 한 유형을 모색한다.
Contents
제1장 우리철학의 정립 필요성 21

제2장 우리철학의 현황 29


1. 근대전환기 ‘철학’ 용어의 출현과 외래철학의 수용 30
 1) ‘철학’ 용어의 출현과 철학 개념의 굴절 30
 2) 외래철학의 수용과 전개 40
2. 산업화시기 철학기관의 설치와 서양철학의 확산 50
 1) 철학과의 설치와 교육 현황 51
 2) 철학연구소의 설립과 역할 61
 3) 철학회의 창립과 연구 동향 63
 4) 전통철학 분야 박사학위 논문 66
3. 21세기 철학풍토의 성찰과 우리철학의 모색 84
 1) 철학과의 교육 현황과 교수진 분포 85
 2) 철학연구소의 동향 91
 3) 철학회와 학술지의 연구 동향 93
 4) 우리철학의 모색 98

제3장 우리철학 정립의 이론적 토대 123

1. 고유의식 124
2. 외래철학의 한국화 126
 1) 외래철학의 정확한 이해 129
 2) 외래철학의 수용 배경과 필요성 130
 3) 외래철학의 수용과 전파 132
 4) 외래철학의 토착화 134
3. 전통철학의 비판?계승?변용 137
 1) 비판과 지양 138
 2) 계승과 지향 141
 3) 변용과 발전 145
4. 자생철학의 모색 150
 1) 창의적인 문제의식 154
 2) 한국문화권의 통용어와 글 156
 3) 다양한 연구방법 161
 4) 앎과 행함의 통일 173

제4장 우리철학 정립의 사회적 토양 183

1. 정치 현실 184
 1) 민족분단과 통일의식 185
 2) 양극화와 공동체의식 189
 3) 중앙 집중과 균형의식 197
 4) 법치주의와 도덕의식 202
 5) 종교 갈등과 다원성 212
2. 문화 현상 216
 1) 문화산업과 문화콘텐츠 217
 2) 생명 경시 현상과 존엄성 225
 3) 생태계 파괴와 공생의식 243
 4) 신종 감염병과 인류 250
 5) 성불평등 현상과 평등의식 256
 6) 4차 산업혁명과 포스트휴먼 264

제5장 우리철학의 정립 방법 271

1. 특수와 보편 271
2. 타율성과 자율성 278

제6장 우리철학의 정립 유형 283

유학의 어울림철학 285
1. 유학에서 같음과 다름의 개념 289
 1) 유학에서 같음의 의미 289
 2) 유학에서 다름의 의미 292
2. 유학에서 다름과 같음의 관계 295
3. 유학의 어울림관 301
4. 특수에서 보편으로 307

참고문헌 310
Author
이철승
현재 조선대학교 철학과 교수 및 우리철학연구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성균관대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고, 중국 북경대北京大 철학과 연구학자(박사후연수), 중국 중앙민족대中央民族大 및 형양사범대衡陽師範學院 객좌교수, 중국 곡부사범대曲阜師範大 겸직교수, 한중철학회 회장, 한국유교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논문으로 「박제가의 철학 사상에 나타난 비판 정신과 반성리학적 경향」(2002), 「근대 전환기 한국사상계의 ‘동서문화융합론’에 나타난 경제관 분석」(2004), 「동학사상에 나타난 자아관의 성립 근거와 의의」(2009), 「우리철학의 현황과 과제(1,2)」(2016, 2017), 「동학사상에 나타난 도덕의식」(2017), 「21세기 우리철학의 현황과 과제」(2019) 외 다수가 있다. 또한 저?역서로 『강좌한국철학』(1995, 공저), 『우리들의 동양철학』(1997, 공저), 『유가사상과 중국식 사회주의 철학』(2002), 『철학의 21세기』(2002, 공저), 『철학, 문화를 읽다』(2009, 공저), 『처음 읽는 중국현대철학』(2016, 공저), 『완역 성리대전』총10권(2018, 공역), 『오늘의 한국철학, 그리고 우리철학』(2019, 공저), 『우리시대, 새로운 유학을 사유하다』(2020, 공저), 『우리철학, 어떻게 할 것인가』(2020) 외 다수가 있다.
현재 조선대학교 철학과 교수 및 우리철학연구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성균관대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고, 중국 북경대北京大 철학과 연구학자(박사후연수), 중국 중앙민족대中央民族大 및 형양사범대衡陽師範學院 객좌교수, 중국 곡부사범대曲阜師範大 겸직교수, 한중철학회 회장, 한국유교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논문으로 「박제가의 철학 사상에 나타난 비판 정신과 반성리학적 경향」(2002), 「근대 전환기 한국사상계의 ‘동서문화융합론’에 나타난 경제관 분석」(2004), 「동학사상에 나타난 자아관의 성립 근거와 의의」(2009), 「우리철학의 현황과 과제(1,2)」(2016, 2017), 「동학사상에 나타난 도덕의식」(2017), 「21세기 우리철학의 현황과 과제」(2019) 외 다수가 있다. 또한 저?역서로 『강좌한국철학』(1995, 공저), 『우리들의 동양철학』(1997, 공저), 『유가사상과 중국식 사회주의 철학』(2002), 『철학의 21세기』(2002, 공저), 『철학, 문화를 읽다』(2009, 공저), 『처음 읽는 중국현대철학』(2016, 공저), 『완역 성리대전』총10권(2018, 공역), 『오늘의 한국철학, 그리고 우리철학』(2019, 공저), 『우리시대, 새로운 유학을 사유하다』(2020, 공저), 『우리철학, 어떻게 할 것인가』(2020) 외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