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하나의 사례를 풀어가며 그 사례를 진행한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개입 방식을 선택하였던 기저에 깔린 개념과 이를 타당화하기 위한 필자들의 연구, 이론을 덧붙였다. 하지만 이 설명이 절대성을 가진 정답이라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사이코드라마라는 거대한 우주에서 필자가 만났고 구현하며 이해했던 것을 소박하게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 책을 읽는 독자 중 사이코드라마에 대한 호기심을 가진 독자라면 강렬한 정서적 경험만 강조되어 홍보되는 사이코드라마가 총체적 관점으로 설명될 수 있는 분야라는 맛보기가 되길 바란다.” - 머리말 중에서
Contents
1장 사이코드라마 사례 읽기 1
1. 워밍업 3
1) 〈활동1〉 기초 워밍업 ...................................................................... 3
2) 〈활동2〉 사회측정학 - 스펙트로그램 .................................................... 3
3) 〈활동3〉 색깔 연상으로 만나기 .......................................................... 4
4) 〈활동4〉 2인 역할 놀이 .................................................................... 5
2. 실연 9
1) 주인공 선정 ................................................................................. 9
2) 주인공 면담 ................................................................................. 9
3) 〈장면1〉 가족조각 .........................................................................12
4) 〈장면2〉 부부 갈등과 성 .................................................................14
5) 〈장면3〉 성폭행 트라우마 직면하고 빠져나오기 ....................................16
6) 〈장면4〉 보호받고 싶었던 잉여현실 펼치기 ..........................................18
3. 나누기 21
1) 현장 집단 나누기 ..........................................................................21
2) 회기 후 돌아보기 - 주인공 소감문 ......................................................23
2장 사례로 읽는 사이코드라마 이론 25
1. 사이코드라마 구성 27
1) 주인공(Protagonist) .......................................................................27
2) 디렉터(Director) ..........................................................................33
3) 보조자아(auxiliary ego) ..................................................................39
4) 관객(audience) ............................................................................48
5) 무대(stage) .................................................................................49
2. 사이코드라마 과정 53
1) 집단구조화 .................................................................................53
2) 사이코드라마 과정 이론 .................................................................58
3) 워밍업 단계 디렉팅 .......................................................................59
4) 실연 단계 디렉팅 ..........................................................................71
5) 나누기 단계 디렉팅 .......................................................................79
3. 사이코드라마 치료 요인 85
1) 사이코드라마 치료 요인 .................................................................85
2) 치료 요인의 활성화 .......................................................................94
3장 사이코드라마 전문가 발달 유형과 수퍼비전 요구 분석 117
1. 사이코드라마 전문가 발달 유형 119
1) 연구 목적과 필요성 ..................................................................... 120
2) Q방법론 .................................................................................. 122
3) 연구결과 .................................................................................. 123
2. 사이코드라마 전문가의 수퍼비전 요구 분석 131
1) 그룹1 수퍼바이지의 수퍼비전 요구 분석: 실존 철학 추구....................... 133
2) 그룹2 수퍼바이지의 수퍼비전 요구 분석: 기법의 전문성 추구 ................. 140
3) 사이코드라마 전문가 실연 입문기형의 교육 요구 .............................. 145
4장 사이코드라마 실연 입문기형 전문가 훈련 워크북 149
1. 기초워밍업 151
1) 집단의 특징 파악하기 .................................................................. 151
2) 만남의 워밍업 ........................................................................... 155
2. 사회측정학적 만남 161
1) 밀링과 로코그램 ........................................................................ 161
2) 스펙트로그램 ............................................................................ 164
3) 사회측정학적 스타 ...................................................................... 166
3. 심층워밍업 171
1) 살아 있는 사회원자 도해 .............................................................. 171
2) 빈의자 기법 .............................................................................. 173
4. 인터뷰 177
1) 주인공 선정이 필요한 경우 ............................................................ 177
2) 선정된 주인공과의 인터뷰 ............................................................. 179
5. 장면 만들기 183
1) 상황 단서의 구체화 ..................................................................... 183
2) 추상적 주제의 형상화 ................................................................... 184
6. 정서 활성화 189
1) 정서 활성화 단서 알아차리기 ......................................................... 189
2) 행위 기법 ................................................................................. 194
7. 3대 기법 199
1) 역할 놀이와 역할교대 .................................................................. 199
2) 이중자아 기법 ........................................................................... 203
8. 사이코드라마 실연 입문기형 전문가 필수 수련 과제 209
1) 주인공 경험 .............................................................................. 209
참고문헌 210
Author
이지연,김주현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에서 상담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강대학교 상담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전임강사를 거쳐 현재는 인천대학교 창의인재개발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상담심리전문가), 청소년상담사 1급 자격을 소지하고 있으며, 한국 상담심리학회 인천대분회장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에서 상담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강대학교 상담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전임강사를 거쳐 현재는 인천대학교 창의인재개발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상담심리전문가), 청소년상담사 1급 자격을 소지하고 있으며, 한국 상담심리학회 인천대분회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