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학개론

$32.29
SKU
979116519381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3/05
Pages/Weight/Size 188*257*30mm
ISBN 9791165193812
Categories 대학교재 > 사회과학 계열
Description
사회복지학 전 분야에 대해 개괄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 책은 사회복지 학습자가 사회복지학을 처음으로 접할 때 학습하는 교과목이므로 비교적 평이하게 다루고 있으나, 내용에 따라서는 난이도가 높은 부분도 있다. 또한 사회복지 필수과목에 대해 중점사항을 선별하여 기술하고 있다.
Contents
PART Ⅰ. 사회복지의 이해 / 13

Chapter 1. 사회복지의 이론적 기초 15
1. 사회복지의 개념 16
1) 사회복지의 정의 16
2) 사회복지학의 특성 19
3) 사회복지의 구성요소 20
2. 사회복지의 기능 23
1) 사회제도의 복지적 기능 24
2) 사회제도로 파악한 사회복지의 기능 24
3. 사회복지의 주체와 객체 26
1) 주체 26
2) 객체(대상) 28
4. 사회복지의 연구방법 29
1) 정책론적 접근방법 29
2) 기술론적 접근방법 29
3) 병리론적 접근방법 30
Chapter 2. 사회복지의 발전과정 33
1. 영국 사회복지의 발전과정 34
1) 중세의 사회복지 34
2) 엘리자베스 구빈법 35
3) 정주법 37
4) 신구빈법 38
5)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운동 39
6) 베버리지 보고서와 사회보장제도의 발전 41
7) 대처리즘과 제3의 길 42
2. 미국 사회복지의 발전과정 44
1) 초기의 사회복지 44
2) 복지국가 지향 46
3. 한국 사회복지의 발전과정 48
1) 일제강점기 49
2) 미군정시대 51
3) 정부수립 이후 52
4) 1980년 이후 56
Chapter 3. 사회복지의 철학 67
1. 가치 68
1) 가치의 개념 68
2) 사회복지의 핵심 가치 69
3) 사회복지실천과 가치 갈등 70
2. 이념 72
1) 인간의 존엄성 72
2) 자유와 평등 73
3) 정의, 연대, 공공성 79
4) 사회적 적절성 84
5) 효율성 85
6) 국민적 최저기준 86
3. 윤리 87
1) 윤리의 개념 87
2) 전문직 윤리강령의 의미 88
3) 사회복지실천과 윤리적 갈등 89

PART II. 사회복지의 영역 / 93

Chapter 4. 사회복지행정 95
1. 사회복지행정의 개념 96
2. 사회복지조직 98
1) 사회복지조직의 개념 98
2) 사회복지 조직구조의 형태 100
3) 사회복지조직의 설계 102
4) 사회복지조직과 환경 104
3. 인적자원관리 105
1) 인적자원관리의 개념 105
2) 직무분석 106
3) 직무만족 107
4. 재정관리 107
1) 재정관리의 개념 107
2) 사회복지재정 108
5. 정보관리 110
1) 정보관리의 개념 110
2) 사회복지조직과 정보관리체계 111
Chapter 5. 사회복지법제와 실천 117
1. 사회복지법의 개념 118
1) 사회복지법의 정의 118
2) 사회복지법의 법적 성격 119
3) 사회복지법의 구성요소 120
2. 사회복지법의 법률관계 122
1) 사회복지수급권 122
2) 사회복지법의 해석 123
3. 사회복지법의 권리 126
1) 인권 126
2) 기본권 128
3) 사회권 130
4) 사회복지영역의 권리성 132
4. 사회복지법 해설 136
1) 사회보장법 136
2) 사회보험법 137
3) 공공부조법 137
4) 사회복지서비스법 139
Chapter 6. 사회복지정책 141
1. 사회복지정책의 개념 142
1) 사회복지정책의 어의적 개념 142
2) 영국 사회복지정책의 개념 143
3) 미국 사회복지정책의 개념 144
4) 독일 사회복지정책의 개념 144
5) 한국 사회복지정책의 개념 146
2. 사회복지정책의 분석 146
1) 정책분석의 개념 147
2) 사회복지정책의 분석 유형 147
3) 사회복지정책 분석틀 149
3. 사회복지정책의 급여 150
1) 사회복지급여의 대상 150
2) 사회복지급여의 형태 154
4.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157
1) 사회복지정책 재원의 개념 157
2) 공공재원 158
3) 민간재원 165
5. 복지국가 167
1) 복지국가의 개념 167
2) 복지국가의 유형 168
Chapter 7. 사회복지조사 179
1. 사회복지조사의 개념 180
2. 연구방법의 개념적 이해 181
1) 개념 181
2) 개념적?조작적 정의 182
3) 이론과 모형 183
4) 분석단위 184
5) 변수 185
6) 가설 187
3. 연구조사의 유형과 절차 188
1) 연구조사의 유형 188
2) 연구조사의 절차 190
4. 측정과 척도 192
1) 측정 192
2) 척도 195
5. 신뢰도와 타당도 198
1) 신뢰도 198
2) 타당도 199
3)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 201
6. 표본조사 201
1) 표본조사의 개념 201
2) 표본조사의 주요 개념 202
Chapter 8. 지역사회복지 205
1. 지역사회복지의 개념 206
2.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개념 208
3. 지역사회복지의 실천영역 209
1)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9
2) 지역사회복지관 212
3) 재가복지센터 215
4) 사회복지협의회 218
5) 지역사회보장협의체 221
Chapter 9. 사회복지실천 225
1.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226
2. 통합적 접근의 실천모델 229
1) 4?6체계모델 229
2) 단일화모델 233
3) 문제해결모델 234
4) 생활모델 235
5) 임파워먼트모델 237
3. 사회복지실천과의 관계 241
1) 관계의 개념 241
2) 라포형성 243
3) 전문적 관계의 특성 244
4. 사회복지실천현장모델 245
1) 개별사회사업의 모델 245
2) 지역사회복지실천의 모델 247
3) 지역사회 대상 사회복지실천의 적용 248
Chapter 10. 사회복지실천기술 251
1.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개념 252
2. 사회복지실천기술의 내용 254
1) 실천기술의 기초 기술 254
2) 전문적 지식 255
3)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적용 원칙 257
3.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주요 기술 259
1) 정신역동모델의 실천기술 259
2) 심리사회모델의 실천기술 262
3) 인지행동모델의 실천기술 264
4) 과제중심모델의 실천기술 266
5) 위기개입모델의 실천기술 268
6) 동기강화모델의 실천기술 273
4. 대상 실천기술 275
1) 개인 275
2) 가족 276
3) 집단 277

PART III. 사회복지의 현장 / 281

Chapter 11. 생애주기 복지 283
1. 아동복지 284
1) 아동복지의 개념 284
2) 아동복지의 필요성 287
3) 아동복지 대상 288
2. 청소년복지 292
1) 청소년의 개념 292
2) 청소년의 특성 296
3) 청소년복지의 개념 299
4) 청소년문제 301
3. 노인복지 303
1) 노인의 개념 303
2) 노인복지의 개념 305
3) 노인복지의 원칙 308
4) 노인문제 310
Chapter 12. 사회복지시설 315
1. 사회복지시설의 분류 316
1) 기관의 기능 또는 목적에 따른 분류 316
2) 기관 설립주체 및 재원 조달방식에 따른 분류 317
3) 서비스 제공방식에 따른 분류 319
2. 사회복지시설의 종류 321
1) 아동복지시설 321
2) 노인복지시설 324
3) 한부모가족복지시설 328
4) 장애인복지시설 331
5) 정신건강시설 334
6) 노숙인복지시설 336
7) 사회복지관 337
Chapter 13. 사회복지사 343
1. 사회복지사의 개념 344
1) 사회복지사의 정의 344
2) 사회복지사의 역사 346
3) 사회복지사의 기능 346
2. 사회복지사의 질적 구성요소 348
1) 인권감수성 348
2) 서비스 질 349
3) 직무스트레스 349
4) 자아탄력성 351
3. 사회복지사의 실태분석 352
1) 사회복지사 자격제도 352
2) 사회복지사 등급 자격기준 353
3) 사회복지사 자격증 발급 현황 355
4. 사회복지사의 역할 356
1) 서비스 직접 제공 356
2) 체계 연결 358
3) 체계 유지와 강화 359
5. 사회복지사 윤리기준 361
1) 사회복지사의 기본적 윤리기준 361
2)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윤리기준 362
3) 사회복지사의 동료에 대한 윤리기준 363
4) 사회복지사의 사회에 대한 윤리기준 364
5) 사회복지사의 기관에 대한 윤리기준 364
6) 사회복지윤리위원회의 구성과 운영 365
7) 사회복지사 선서 365

참고문헌 367
찾아보기 382
Author
장미리,김란종,김순옥,김정애,양효석,진희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 상명대학교 경영학 박사(Ph.D cand.),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경영학 박사(Ph.D),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M.A), 박사(Ph.D).
미리요양보호사교육원 대표 / 대성교육신문 대표
글로벌문화예술연맹 경기도 회장 / 서정대학교 글로벌융합복지과 겸임교수
명지대학교 복지경영학과 특임교수 / 명지대학교 경영대학원 복지경영학과 교수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 상명대학교 경영학 박사(Ph.D cand.),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경영학 박사(Ph.D),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M.A), 박사(Ph.D).
미리요양보호사교육원 대표 / 대성교육신문 대표
글로벌문화예술연맹 경기도 회장 / 서정대학교 글로벌융합복지과 겸임교수
명지대학교 복지경영학과 특임교수 / 명지대학교 경영대학원 복지경영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