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행동이해를 위한 심리학

$33.53
SKU
979116519376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3/02
Pages/Weight/Size 188*254*30mm
ISBN 9791165193768
Categories 대학교재 > 사회과학 계열
Description
이번 개정판은 심리학의 핵심어 분야에서 내용을 대폭 확대하였다. 그 이유는 심리학이 이젠 심리학도의 손을 떠나 특히 사회복지학, 상담학, 광고학, 행정학, 경영학은 물론이고, 심지어 이과계열에서도 중시하는 학문분야가 되었기 때문이다. 다양한 학문을 소화하기 위해서는 심리학의 핵심어에 대한 명확한 정리가 필요하겠다. 또한 심리학의 영역에서는 추가된 이론을 추가하였다. 심리학은 이제 타 학문의 선도적인 역할과 동시에, 타 학문과 접목해야 하는 입장에 있다. 심리학 특성상 영문과 병기했으며, 논문작성을 돕기 위해 주석에 충실하였다.
개정판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 심리학의 이론적 기초 2장 학습과 기억
3장 언어와 사고 4장 동기와 정서
5장 스트레스와 건강 6장 사회심리학
7장 교육심리학 8장 성격심리학
9장 상담심리학 10장 발달심리학
11장 이상심리학 12장 성심리학
13장 생리심리학
Contents
PART Ⅰ. 심리학의 이해

Chapter 1. 심리학의 이론적 기초 15
1. 심리학의 개념 16
1) 심리학의 정의 16
2) 심리학의 목적 19
2. 심리학의 역사 21
1) 구성주의 23
2) 기능주의 25
3) 형태주의 26
4) 행동주의 28
5) 인지주의 30
3. 심리검사 32
1) 심리검사의 개념 32
2) 심리검사의 분류 35
4. 심리학의 연구방법론 42
1) 표본조사 43
2) 사례연구 43
3) 관찰법 45
4) 실험법 46

PART Ⅱ.심리학의 핵심어

Chapter 2. 학습과 기억 53
1. 학습 54
1) 학습의 이해 54
2) 고전적 조건형성 57
3) 조작적 조건형성 67
4) 관찰학습 80
2. 기억 85
1) 기억의 개념 85
2) 기억의 과정 86
3) 망각 94
4) 기억의 증진 100

Chapter 3. 언어와 사고 105
1. 언어 106
1) 언어의 개념 106
2) 언어발달과정 108
3) 언어의 구조 110
4) 언어와 의사소통 112
2. 사고 116
1) 사고의 개념 116
2) 사고의 과정들 118
3. 언어와 사고의 상관성 123
1) 언어상대성 가설 124
2) 어휘의 차이 125
3) 문법의 차이 127
4) 문화와 인지 128

Chapter 4. 동기와 정서 131
1. 동기 132
1) 동기의 개념 132
2) 동기의 원천 133
3) 동기의 유형 134
4) 동기의 구성요소 138
5) 동기이론 139
2. 정서 157
1) 정서의 개념 158
2) 정서이론 160
3) 정서의 표현 164
4) 동기와 정서의 관계 165

Chapter 5. 스트레스와 건강 167
1. 스트레스 168
1) 스트레스의 개념 168
2) 스트레스원 170
3) 스트레스 반응 174
4) 스트레스의 대처 177
2. 건강 181
1) 건강과 건강심리학 181
2) 질병 184
2) 정신건강 189

PART Ⅲ.심리학의 영역

Chapter 6. 사회심리학 199
1. 사회심리학의 개념 200
2. 사회심리학의 관심 주제들 204
1) 사회적 상황 205
2) 환경적 요인 205
3. 태도와 태도변화 206
1) 태도의 정의 206
2) 태도의 구성요소 208
3) 태도변화 방법 209
4. 사회적 지각 211
1) 인상형성 211
2) 귀인 215
3) 고정관념, 편견, 차별 220

Chapter 7. 교육심리학 227
1. 교육심리학의 개념 228
1) 교육심리학의 정의 228
2) 인접 학문과의 관계 229
2. 교육심리학의 역사 232
1) 초창기 233
2) 확립기 234
3) 발전기 235
3. 교육심리학의 영역 237
1) 발달 238
2) 학습자 239
3) 학습 240
4) 수업 241
5) 평가 244
4. 교육심리학의 현장 적용 245
1) 강의 연구가 및 전문가 245
2) 동기촉진자 246
3) 학급관리 및 경영자 247
4) 상담자 247
5) 지도자 248
6) 동일시 대상자 248

Chapter 8. 성격심리학 251
1. 성격심리학의 개념 252
2. 성격의 결정요인 255
1) 생물학적 요인 255
2) 신체적 요인 256
3) 사회적 요인 259
3. 성격의 구조 263
1) 원초아 264
2) 자아 265
3) 초자아 266
4) 원초아, 자아, 초자아의 관계 267
4. 성격측정방법 268
1) 비과학적 방법 268
2) 과학적 방법 269

Chapter 9. 상담심리학 273
1. 상담심리학의 개념 274
1) 상담심리학의 정의 274
2) 상담의 이해 276
3) 상담과 심리치료 279
4) 상담의 분류에 따른 상관성 281
5) 상담의 형태 283

2. 정신분석상담 292
3. 인간중심상담 295
4. 행동주의상담 297
5. 게슈탈트상담 299
6. 현실치료 301

Chapter 10. 발달심리학 303
1. 발달심리학의 개념 304
2. 발달의 요인 307
1) 유전적 요인 307
2) 환경적 요인 308
3)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 309
3. 발달의 단계 312
1) 태내기 312
2) 영아기(0-24개월) 313
3) 유아기(만 2-6세) 313
4) 아동기(만 7-12세) 314
5) 청소년기(만 13-24세) 315
6) 성인기(만 24-40세) 316
7) 중년기(장년기, 만 40-65세) 317
8) 노년기(만 65세 이상) 317
4. 발달심리학의 연구방법론 319
1) 일반적 접근방법 320
2) 발달심리학 측면에서의 접근방법 320
3) 계열설계법의 도입 322

Chapter 11. 이상심리학 323
1. 이상심리학의 개념 324
2. 이상심리학의 역사 324
3. 이상행동의 특성 329
1) 고통 329
2) 부적응 330
3) 비합리성과 불가해성(incomprehensibility) 330
4) 예측 불가능성(unpredictability)과 통제력 결핍 331
5) 비인습성(unconventionality) 331
4. 정상행동과 이상행동 332
1) 정상행동 332
2) 이상행동 332
5. 이상심리학의 연구방법론 342
1) 이상행동에 대한 객관적 기술과 측정 342
2) 이상행동의 원인 및 상관요인 연구 346
3) 치료와 예방방법에 대한 과학적 검증 348

Chapter 12. 성심리학 349
1. 성의 개념 350
1) 성의 정의 350
2) 성의 의미 351
3) 성역할과 성차별 352
4) 성정체성 354
2. 인간의 성 355
3. 성영향 요인 358
1) 유전과 호르몬의 영향들 358
2) 사회적 영향 : 성정체감과 성역할 359
4. 인간의 성반응 360
1) 각성과 오르가즘의 생리학 361
2) 자극과 각성 363
3) 성반응성과 노화 363
5. 성심리학의 연구방법론 364
1) 교차문화연구 364
2) 조사 365
3) 관찰연구 367
4) 통제된 실험 367

Chapter 13. 생리심리학 369
1. 생리심리학의 개념 370
1) 생리심리학의 정의 370
2) 생리심리학의 연구 목적 371
2. 생리심리학의 역사 373
3. 뉴런 377
1) 뉴런의 정의 377
2) 뉴런의 구조 378
3) 뉴런 개념의 한계 382
4. 내분비계 383
1) 내분비계의 정의 383
5. 생리심리학의 연구방법론 385
1) 개요 385
2) 접근방법 및 연구영역 385
3) 연구방법론의 내용 387

참고문헌 390
찾아보기 414
Author
김보기,박경근,박서진,서정자,양준의,장선아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학부, 석사, 박사과정(일반이론 전공)
서울기독대 대학원 신학과 박사(조직신학 전공, Ph.D)
서울기독대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정책론 전공, Ph.D)
한국사회복지실천정책학회 회장 / 한국상담복지학회 회장
서울기독대학교 교수 /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교수 / 순복음대학원대학교 교수
[저서] 심리학, 상담이론과 실제, 사회복지실천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문제론사회복지와 문화다양성,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유아리더십론사회복지정책과 이데올로기, 사회복지정책론, 복지국가론, 복지국가정책론, 복지국가사상빈곤론, 복지국가위기론, 한국복지국가 무엇이 문제인가?(근간)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학부, 석사, 박사과정(일반이론 전공)
서울기독대 대학원 신학과 박사(조직신학 전공, Ph.D)
서울기독대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정책론 전공, Ph.D)
한국사회복지실천정책학회 회장 / 한국상담복지학회 회장
서울기독대학교 교수 /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교수 / 순복음대학원대학교 교수
[저서] 심리학, 상담이론과 실제, 사회복지실천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문제론사회복지와 문화다양성,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유아리더십론사회복지정책과 이데올로기, 사회복지정책론, 복지국가론, 복지국가정책론, 복지국가사상빈곤론, 복지국가위기론, 한국복지국가 무엇이 문제인가?(근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