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간 빈번한 국제교류의 시대에 살고 있는 한국사회는 이미 세계화에 앞장서고 있다. 즉, 결혼이주여성에 국한했던 다문화시대를 지나 UN 등 국제사회는 물론 국내에도 많은 수의 외국인들이 몰려드는 문화다양성의 시대를 경험하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문화다양성에 초점을 맞추어 사회복지와의 접목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 책은 사회복지 측면에서 어떻게 문화다양성을 수용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학문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고자 한다.
Contents
PART Ⅰ.
문화다양성의 이론적 기초
Chapter 1. 문화, 다문화, 다문화주의의 이해 15
1. 문화의 개념 16
1) 문화의 개념 16
2) 문화의 특성 20
3) 문화의 기능 22
4) 문화와 사회복지 23
2. 다문화 24
1) 다문화의 개념 24
2) 다문화 관점 26
3) 다문화와 사회복지 29
4) 다문화가족과 다문화사회 32
5) 다문화사회 34
3. 다문화주의 37
1) 다문화주의의 개념 37
2) 다문화주의의 유형 39
3) 다문화주의 정책 모형 42
Chapter 2. 문화다양성의 이해 47
1. 문화다양성의 개념 48
2. 문화다양성 수용 이론 50
1) 용광로 이론 50
2) 모자이크 이론 52
3) 샐러드 볼 이론 53
3. 문화 평가 태도 55
1) 문화절대주의 55
2) 문화상대주의 59
3) 진화론적 시각 61
4. 문화 이해 관점 63
1) 총체론적 관점 63
2) 상대론적 관점 64
3) 비교론적 관점 65
5. 이데올로기 비교 관점 66
1) 다원다문화주의 66
2) 자유다문화주의 66
Chapter 3. 문화다양성의 인구사회학적 실태 69
1. 가구 71
1) 유형 71
2) 거주지역 71
3) 가족 구성 71
2. 출생 72
1) 출생아 수 및 성비 72
2) 유형별 출산 73
3) 지역별 다문화 출생 75
4) 부모의 출신 국적별 출생 75
3. 다문화 사망 76
4. 만 9-24세 자녀 77
1) 자녀 현황 77
2) 가정생활 78
3) 학교생활 79
4) 사회생활 80
Chapter 7. 다문화가족정책 181
1. 기본 계획의 개요 182
1) 기본 계획 수립의 배경 182
2) 기본 계획 실행의 성과 182
3) 한계 및 향후과제 184
2. 기본 계획의 방향 및 특징 185
1) 기본 방향 185
2) 특징 186
3. 기본 계획의 실행 187
1) 다문화가족 장기정착 지원 187
2)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안정적 성장과 역량 강화 192
3) 상호존중에 기반을 둔 사회적 다문화수용성 제고 195
4) 협력적 다문화가족 정책 운영을 위한 추진체계 강화 197
Chapter 8. 사회적 배제와 사회통합 199
1. 사회적 배제와 외국인 이주민 200
1) 사회적 배제의 일반적 이해 200
2) 한국인의 이주민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 206
3) 사회적 배제의 사례 207
4) 대상자별 사회적 배제 208
2. 사회통합과 외국인 이주민 215
1) 사회통합의 일반적 이해 215
2) 외국인 이주민의 사회통합 이해 217
3) 사회통합정책 218
4) 문화다양성과 사회통합 222
Chapter 9. 문화다양성의 법제도 225
1. 다문화가족지원법 226
1) 개요 226
2) 주요 내용 227
2. 출입국관리법 231
1) 개요 231
2) 주요 내용 232
3.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외국인고용법) 243
1) 개요 243
2) 주요 내용 244
4. 결혼중개업의 관리에 관한 법률(결혼중개업법) 248
1) 개요 248
2) 주요 내용 248
Chapter 11. 문화다양성 교육 281
1. 문화다양성 교육의 개념 282
1) 문화다양성 교육의 정의 282
2) 문화다양성 교육의 필요성 285
3) 문화다양성 교육 시 고려사항 287
2. 문화다양성 교육 유형 288
1) 깁슨의 5유형 288
2) 그랜트와 슬리터의 5유형 290
3) 캐스태그노의 이데올로기 4유형 293
3. 문화다양성 교육 영역 295
1) 뱅크스의 영역 구분 295
2) 베넷의 문화다양성 교육 구성요소 297
4. 문화다양성 대상자별 교육 299
1) 학교 대상 문화다양성 교육 299
2) 교사 대상 문화다양성 교육 301
3) 다문화가정 대상 부모교육 303
4) 다문화가정 대상 자녀교육 304
5. 문화다양성 교육단계 306
6. 문화다양성 교육방향 308
Chapter 12. 문화적 역량과 사회복지실천 311
1. 문화 간 차이의 극복 312
2. 문화적 역량 교육 315
1) 교육인력 양성 315
2) 증진대책 316
3. 사회적 지지체계 강화 318
1) 타문화에 대한 배려 318
2) 문화적응 지원정책 319
4. 문화적 역량 증진을 위한 법제도 개선 324
5. 통합적 접근 325
Chapter 13. 문화다양성의 사례연구 327
1. 국가별 문화다양성 적용 사례 328
1) 영국 328
2) 캐나다 329
3) 호주 331
4) 미국 332
2. 한국의 문화다양성 사례 334
1) 한국의 문화다양성 개요 334
2) 문화다양성 주요 사례 336
3) 문화다양성 정책 방향 347
Author
박화상,구제영,박미정,박현승,서정자,이평화
미국 총신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석사, 박사
중국 흑룡강성 활빈중이대학원 졸업
북경 인민해방 고등전문학교 침연구 연수
중이부속병원 중국영안 침술원 대표
사) 한국 등대 복지문화교육협회대표 / 사) 대한노인복지진흥회 이사
한국사회복지실천정책학회 교수 / 한국상담복지학회 책임연구원
저서: 『사회복지와 문화다양성』
미국 총신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석사, 박사
중국 흑룡강성 활빈중이대학원 졸업
북경 인민해방 고등전문학교 침연구 연수
중이부속병원 중국영안 침술원 대표
사) 한국 등대 복지문화교육협회대표 / 사) 대한노인복지진흥회 이사
한국사회복지실천정책학회 교수 / 한국상담복지학회 책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