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복지론

$34.78
SKU
979116519294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14 - Tue 05/2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ue 05/1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9/01
Pages/Weight/Size 176*248*30mm
ISBN 9791165192945
Categories 대학교재 > 사회과학 계열
Contents

PART Ⅰ.
장애인복지의 일반적 이해

Chapter 1. 장애와 장애인 3
1. 장애와 장애인의 개념 4
1) 장애와 장애인의 정의 4
2) 장애개념의 이분법적 분류 5
3) 장애개념의 WHO 분류 11
2. 장애인에 대한 인식 19
1) 동정의 대상 19
2) 사회의 위협 20
3) 병자 20
4) 영원한 아이 21
5) 무능력함 21
6) 신의 저주 21
3. 장애인 실태분석 22
1) 장애인구 22
2) 장애인 교육정도 및 결혼상태 24
3)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수급자 25
4) 건강 수준 및 의료이용 실태 25
5) 사회경제적 생활실태 27
6) 장애인의 돌봄 30


Chapter 2. 장애인복지 33
1. 장애인복지의 개념 34
1) 장애인복지의 정의 34
2) 장애인복지의 목적 36
3) 장애인복지의 특성 38
2. 장애인복지의 내용 41
1) 장애수당 41
2) 장애아동수당 41
3) 장애인자녀 교육비 42
4) 장애연금 42
5) 의료보장 42
6) 기타 42
3. 장애인복지의 사회보장 44
1) 소득보장정책 44
2) 의료복지정책 45
3) 고용정책 46
4) 생활환경정책 46
5) 재가복지서비스 47
4. 장애인복지 문제점 및 해결방안 47
1) 장애인문제의 사회문제화 47
2) 장애인문제의 특성 48
3) 장애인복지 문제의 해결방안 50

Chapter 3. 장애유형 57
1. 장애의 범위 58
2. 장애유형별 특성 59
1) 신체적 장애 60
2) 정신적 장애 69
3) 정신장애 70
4) 내부 장애 75

Chapter 4. 장애인복지의 발전과정 81
1. 서구 장애인복지의 발전과정 82
1) 고대 82
2) 중세사회 83
3) 근대사회 84
4) 현대 87
2. 한국 장애인복지의 발전과정 90
1) 정부수립 이전 90
2) 정부수립 이후 94
제5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2018-2022년) 108

Chapter 5. 장애인복지의 사상 111
1. 장애인복지의 이념 112
1) 인권존중 112
2) 정상화 114
3) 자기결정 116
4) 사회정의 117
5) 사회통합 117
6) 자립생활 118
2. 장애인복지의 태도 125
1) 태도 구성 요소 125
2) 비장애인의 태도 126
3) 비장애인의 부정적인 태도 형성 배경 126
4) 사회적 수용과 참여 130
5) 장애인에 대한 태도 개선 방안 131
3. 장애인 소비자운동 134
1) 장애인 당사자주의 134
2) 장애인 소비자주의 136



PART Ⅱ.
장애인복지정책

Chapter 6. 장애인소득보장정책 141
1. 장애인소득보장정책의 개념 142
1) 장애인 빈곤과 소득보장 142
2. 장애인소득보장제도 143
1) 소득보전급여 145
2) 추가비용급여 153
3. 장애인소득보장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56
1) 국민기초생활보장 대상 장애인의 소득공제 확대 156
2) 국민연금의 가입 유인제도 필요 156
3) 고용서비스와의 연계 가능한 장애인소득보장체계로의 개편 157
4) 장애인보호수당 및 장애인 장려세제 도입 158

Chapter 7. 장애인고용보장정책 161
1. 장애인고용정책의 의의 162
2. 장애인고용정책의 유형 164
1) 일반고용서비스 164
2) 맞춤형 고용서비스 165
3. 우리나라 장애인고용정책의 실제 170
1) 고용노동부 170
2) 보건복지부 176
4. 장애인고용정책의 개선방안 177
1) 의무고용제도 177
2) 기타 고용서비스 179

Chapter 8. 장애인교육보장정책 181
1. 장애인교육 182
1) 장애인교육의 개념 182
2) 장애인과 교육받을 권리 183
3) 장애인교육의 주요 내용 185
2. 장애인교육의 원칙 186
1) 배제금지의 원칙 186
2) 비차별적인 평가의 원칙 186
3) 적절한 교육의 원칙 187
4) 최소제한환경의 원칙 187
5) 적법한 절차의 원칙 188
6) 부모-학생의 참여권리(parent-student participation) 188
3. 특수교육 190
1) 특수교육의 개념 190
2) 특수교육의 목적 및 필요성 191
3) 특수교육의 대상자 191
4)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193
5) 특수(장애)아동 194
6) 특수교사 195
4. 장애인 통합교육 200
1) 통합교육의 개념 200
2) 통합교육의 평가 201
3) 통합교육의 유형과 방법 203
5. 장애인교육정책 204
1) 장애인교육의 법적 근거 204
2) 장애인교육의 내용 205
3) 장애인교육 발전계획 206
6. 장애인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207
1) 장애인교육의 문제점 207
2) 향후 개선방향 208


Chapter 9. 장애인복지 관련법 211
1. 장애인복지법 212
2.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장애인차별금지법) 219
3.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특수교육법) 226
4. 장애인연금법 230
5. 장애인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장애인활동법) 233


PART Ⅲ.
장애인복지실천

Chapter 10. 장애인복지실천 접근방법 239
1. 임파워먼트 240
1) 임파워먼트의 개념 240
2) 임파워먼트 실천 가정 242
3) 임파워먼트의 실천원칙 243
4) 임파워먼트의 실천과정 243
5) 임파워먼트의 실천성과 244
2. 강점 관점 245
1) 강점 관점의 개념 245
2) 강점 관점 중심의 전제 조건 246
3) 강점 관점의 세부 사항 246
4) 주요 개념 249
5) 강점 관점의 원리 250
3. 위기개입모델 251
4. 탄력성모델 254
1) 탄력성의 개념 254
2) 탄력성모델의 내용 255
3) 장애인과 탄력성모델 255
5. 사례관리 접근 256
Chapter 11. 장애인복지 전달체계 259
1. 장애인복지 전달체계의 개념 260
1)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개념 260
2) 사회복지사의 역할 261
3) 장애인복지 전달체계의 개념 262
2. 장애인복지 전달체계의 구성원칙 263
1) 통합성의 원칙 264
2) 전문성의 원칙 264
3) 책임성의 원칙 264
4) 적절성의 원칙 264
5) 지속성의 원칙 265
6) 접근 용이성의 원칙 265
7) 지역사회 참여 원칙 265
3. 장애인복지 전달체계의 실제 266
1) 공공 전달체계 266
2) 민간 전달체계 274
4. 장애인복지 전문인력 279
1) 재활의학전문의 279
2) 물리치료사 280
3) 작업치료사 280
4) 언어치료사 280
5) 사회복지사 281
6) 장애인복지상담원 282
7) 심리치료사 282
8) 수화통역사(한국수어통역사) 282
9) 장애인스포츠지도자 283
10) 점역·교정사 284
11) 보행지도사 284
12) 치료레크리에이션 전문가 285
13) 음악치료사 285
14) 놀이치료사 286

5. 전달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287
1) 수직적 전달체계의 한계 287
2) 전문인력의 부족 287
3) 연계성과 통합성의 부족 288

Chapter 12. 장애인복지시설 289
1. 장애인복지시설의 개념 290
1) 장애인복지시설의 개념 290
2. 장애인복지시설의 유형 291
1) 사회복지시설의 유형 291
2) 장애인복지시설의 유형 291
3. 장애인거주시설 292
1) 장애인거주시설의 서비스 기본 사항 292
2) 장애인단기거주시설 294
3)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운영 296
4. 장애인 지역사회재활시설 299
1) 장애인 지역사회재활시설 공통 299
2) 장애인복지관 운영 300
3)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운영 308
4) 장애인주간보호시설 기능보강 사업 310
5) 장애인체육시설 운영 311
6) 장애인생활이동지원센터 운영 312
7) 장애인수어통역센터 운영 313
8) 점자도서관 운영 314
9)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운영 316
5. 장애인복지시설의 문제점과 과제 317
1) 장애인거주시설 317
2) 장애인 지역사회재활시설 319
3) 장애인직업재활시설 320



Chapter 13. 장애인과 재활 323
1. 재활의 개념 324
2. 재활의 기본 원리 325
3. 재활의 과정 327
4. 재활의 영역 328
1) 의료재활 328
2) 교육재활 332
3) 직업재활 339
4) 사회적·심리적 재활 344
5) 지역사회중심재활 345

부 록

세계인권선언 350
장애인권리선언 359
대한민국 장애인인권헌장 363


참고문헌 365
찾아보기 369







Author
김영철,윤진순,정행복,김민선,김혜숙,이용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