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론

$34.78
SKU
979116519268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14 - Tue 05/2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ue 05/1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9/05
Pages/Weight/Size 176*248*30mm
ISBN 9791165192686
Categories 대학교재 > 사회과학 계열
Contents
PART Ⅰ.
사회복지실천의 기초

Chapter 1. 사회복지실천의 기본적 이해 3
1.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4
1) 사회복지실천의 정의 4
2) 사회복지실천의 목적과 목표 9
3) 사회복지실천의 기능과 역할 10
2. 사회복지실천의 분류 13
1) 클라이언트체계 수준 13
2) 클라이언트의 접촉 유무 14
3. 사회복지실천의 구성요소 15
1) 펄만 16
2) 바틀렛 17
4. 사회복지실천과 자원체계 20
1) 내부자원체계 21
2) 외부자원체계 22
3) 사회복지, 사회사업, 사회복지실천의 관계 26

Chapter 2. 사회복지실천의 전개과정 29
1.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전개과정 31
1) 사회복지실천의 태동기 32
2) 사회복지실천의 성장기 38
3) 사회복지실천의 분화기 41
4) 사회복지실천의 통합기 43
5) 사회복지실천의 확장기 45
6) 최근의 사회복지실천 변화 추세 46
2.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전개과정 48
1) 해방 이후 제1공화국(1945~1960) 48
2) 박정희 정부(1961~1980) 50
3) 전두환?노태우 정부(1980~1992) 52
4) 김영삼 정부(1993~1997) 54
5) 김대중 정부와 그 이후(1998~ ) 55

Chapter 3.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철학 59
1.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60
1) 가치의 개념 60
2) 가치의 범위 61
2. 사회복지실천의 이념 65
1) 인간의 존엄성 65
2) 인도주의와 박애사상 66
3) 사회진화론 67
4) 민주주의 68
5) 개인주의 69
6) 경험주의 69
7) 다양화 70
3. 사회복지실천의 윤리 72
1) 윤리 72
2) 윤리강령의 실제 73
3) 윤리강령의 기능 74
4) 사회복지실천과 윤리적 갈등 74
5) 전문직 윤리강령의 의미 76
6) 사회복지사 윤리 기준 76

PART Ⅱ.
사회복지실천현장의 주요 영역

Chapter 4. 사회복지실천의 대상 87
1. 개인 대상 사회복지실천 88
1) 개별사업사회의 개념 88
2) 개별사회사업의 모델 90
3) 개인 대상 사회복지실천의 적용 91
2. 가족 대상 사회복지실천 92
1) 가족의 개념 92
2) 가족의 분류와 문제 94
3) 가족 대상 사회복지실천의 적용 98
3. 집단 대상 사회복지실천 99
1) 집단의 개념 99
2) 집단의 유형 101
3) 집단 대상 사회복지실천의 적용 104
4. 지역사회 대상 사회복지실천 106
1) 지역사회의 개념 106
2) 지역사회복지실천의 모델 107
3) 지역사회 대상 사회복지실천의 적용 109

Chapter 5. 사회복지실천의 현장 111
1. 사회복지실천현장의 개념 112
1) 실천현장의 정의 112
2) 실천현장의 중요성 113
2. 사회복지실천현장의 분류 115
1) 기관의 기능 또는 목적에 따른 분류 115
2) 기관 설립주체 및 재원 조달방식에 따른 분류 115
3) 서비스 제공방식에 따른 분류 117
3. 사회복지실천현장의 시설 119
1) 아동복지시설 120
2) 노인복지시설 123
3) 한부모가족복지시설 127
4) 장애인복지시설 129
5) 정신건강시설 132
6) 노숙인복지시설 134
7) 사회복지관 135
4. 사회복지실천현장의 과제 139
1) 개발해야 할 사회복지실천현장 139
2) 사회복지기관의 기능과 역할변화 140

Chapter 6. 사회복지사 143
1. 사회복지사의 개념 144
1) 사회복지사의 정의 144
2) 사회복지사의 역사 145
3) 사회복지사의 기능 146
2. 사회복지사의 질적 구성요소 148
1) 인권감수성 148
2) 서비스 질 150
3) 직무스트레스 151
4) 자아탄력성 153
3. 사회복지사의 실태분석 155
1) 사회복지사 자격제도 155
2) 사회복지사 등급 자격기준 155
3) 사회복지사 자격증 발급 현황 158
4. 사회복지사의 역할 159
1) 서비스 직접 제공 159
2) 체계 연결 160
3) 체계 유지와 강화 162
4) 체계개발 역할 163
5) 연구와 조사 활용 164
6) 기타 중요한 역할 164

PART Ⅲ.
사회복지실천의 접근방법

Chapter 7. 사회복지실천의 관계 169
1. 관계의 개념 170
1) 관계의 정의 170
2) 라포형성 172
3) 전문적 관계의 특성 173
2. 전문적 관계의 기본 요소 174
1) 이해와 관심 174
2) 존중과 보살핌 175
3) 수용 176
4) 감정이입과 공감 176
5) 진실성 177
6) 헌신과 의무 177
7) 권위와 권한 178
8) 자기개방(자기노출) 179
9) 문화적 민감성 179
10) 구체성 181
3. 관계의 기본 원칙 181
1) 개별화 182
2) 의도적 감정표현 184
3) 통제된 정서관여 187
4) 수용 188
5) 비심판적인 태도 190
6)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 190
7) 비밀보장 192

Chapter 8. 사회복지실천의 면접과 기록 197
1. 사회복지실천의 면접 198
1) 면접의 개념 198
2) 면접의 종류 205
3) 면접의 과정 207
4) 면접의 기술 209
2. 사회복지실천의 기록 215
1) 기록의 개념 215
2) 기록의 형태 216
3) 기록의 유형 217
4) 기록의 관리 220

Chapter 9. 사회복지실천의 관점 223
1. 사회체계관점 224
1) 사회체계관점의 개요 224
2) 사회체계관점의 핵심 개념 228
3)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 234
2. 생태체계관점 235
1) 생태체계이론의 개요 235
2) 생태체계관점의 핵심 개념 237
3)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 238
3. 강점관점 240
1) 강점관점의 개요 240
2) 강점관점의 핵심 개념 241
3)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 243
4. 통합적 접근 245
1) 통합적 접근의 개념 245
2) 통합적 접근의 실천모델 246
3) 통합적 접근의 과정 257
4)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 259

Chapter 10. 사회복지실천의 사례관리 261
1. 사례관리의 개념 262
1) 사례관리의 정의 262
2) 사례관리의 목적 264
2. 사례관리의 구성요소 266
1) 클라이언트 267
2) 사례관리자 267
3) 사회자원 268
4) 사례관리과정 269
5) 사례관리 운영체계 269
3. 사례관리의 과정 270
1) 계약 270
2) 사정 270
3) 계획 271
4) 자원사정 271
5) 중재 272
6) 점검과 평가 273
4. 사례관리의 모델 273
1) 매과이어의 모델 분류 273
2) 사례관리의 제공자에 따른 모형 274
3) 서비스 수준에 따른 분류 : 한국형 모델 276
4) 사례관리의 중심초점에 따른 분류 278
5. 사례관리자의 역할 279
1) 통합 조정자의 역할 279
2) 옹호자의 역할 279
3) 공동협력자의 역할 279


PART Ⅳ.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Chapter 11. 접수와 자료수집, 사정 285
사회복지실천 과정 286
1. 접수 288
1) 접수단계의 개념 288
2) 접수단계의 목표와 목적 289
3) 접수단계의 과제 291
4) 접수의 내용 298
5) 접수의 결과처리 299
2. 자료수집 299
1) 자료수집의 개념 299
2) 자료수집의 정보원 300
3) 자료수집의 내용 303
4) 자료수집의 방법 305
5) 자료수집 시 유의 사항 305
3. 사정 306
1) 사정의 개념 306
2) 사정의 내용 307
3) 사정도구 312

Chapter 12. 계획과 개입 321
1. 계획 322
1) 계획의 개념 322
2) 목표설정 324
3) 계약 327
2. 개입 330
1) 개입의 개념 330
2) 직접개입 332
3) 간접개입 343
4) 점검 346

Chapter 13. 평가와 종결 349
1. 평가 350
1) 평가의 개념 350
2) 평가의 유형 351
2. 종결 354
1) 종결의 개념 354
2) 종결의 유형 355
3) 종결의 구성요소 357
4) 종결에 대한 반응 362
5) 종결단계의 주요 과제 364
6) 사후관리 366

참고문헌 369
찾아보기 384

Author
김영철,김민정,박현승,이수진,염연숙,조은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