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교신이 주업 못지않게 중시했던 교육적 차원의 연구가 거의 없다가 70년대부터 김정환(당시 고려대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에 의해 조금씩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김정환이 발표한 김교신 교육관련 글들이 『김교신』(한국신학연구소, 1980)과 그 개정판인 『김교신: 그 삶과 믿음과 소망』(한국신학연구소, 1994)에 삽입되어 널리 소개되기에 이르렀다. 특히 김정환은 고려대 재직 당시 교육학개론과 교사론 시간에 교사로서의 김교신을 열정적·감동적으로 강의하였다. 따라서 고려대에서 김정환의 교육학 강의를 수강한 학생들은 모두다 김교신을 위대한 교사로 알고 있다. 아래의 일화는 그와 관련되기에 소개한다.
이 책은 김교신과 관련된 최초의 교육단행본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그동안 종교인으로서의 김교신보다는 교육가로서의 김교신 연구가 미진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 책이 종교인이면서 교육가였던 김교신의 면모가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전체적으로 드러날 수 있도록 길잡이가 되어주고, 나아가 본격적인 김교신 교육저작들을 위한 마중물로서 의미를 지니기를 희망해 본다.
Contents
김교신의 생애 1 김정환.송순재
민족 정신사적 업적 9 김정환
김교신의 인격과 교육관 그리고 교육실천 17 박의수
Ⅰ. 여는 말 18
Ⅱ. 인간 김교신 21
1. 자신이 본 김교신(자화상) 21
2. 타인이 본 김교신 27
3. 김교신의 인격 34
Ⅲ. 김교신의 교육관 38
1. 본질에 충실한 교육 39
2. 신앙에 기초한 교육 43
3. 내적 동기와 흥미에 기초한 교육 45
4. 민족의식에 투철한 교육 47
5. 시공을 초월한 열린 교육 50
Ⅳ. 김교신의 실천 52
1. 엄격한 자기 수련(修身)과 평생학습 53
2. 철저한 가정관리(齊家) 55
3. 학교교육에서의 실천 56
4. 다양한 사회교육의 실천 59
5. 개별 상담을 통한 교육 63
Ⅴ. 맺는 말 65
인간교육을 위한 김교신의 철학과 방법 69 송순재
Ⅰ. 여는 말 70
Ⅱ. 김교신 사상의 기조: 세 가지 근본어 72
Ⅲ. 기독교 신앙의 성격 74
1. 무교회주의 기독교 74
2. 조선산 기독교 76
3. 유교적 기독교: 유교에 대한 기독교의 관계 설정 79
Ⅳ. 교육론 84
1. 학교와 교사됨?학교비판과 학벌사회 비판 85
2. 교육의 철학과 방법의 기본 특징 93
3. 근대식 학교교육의 대안: 집에서 시도한 작은 교육공동체 114
Ⅴ. 맺는 말 120
근대 민족주의와 김교신의 민족교육 129 임희숙
Ⅰ. 여는 말 130
Ⅱ. 민족의 개념과 근대 민족주의의 특성 132
1. 민족의 개념 132
2. 근대 민족주의의 특징 135
Ⅲ. 일제하 민족교육의 전개와 한국교회 141
1. 개화기 이래 한일 합방까지의 민족교육 142
2. 삼일운동 전후의 민족교육 143
3. 전시체제의 민족교육 145
Ⅳ. 김교신의 민족교육 사상의 이해 145
1. 민족의식 146
2. 역사의식 151
3. 민중의식 154
Ⅴ. 김교신의 민족교육 방법론 158
1. 고난의 역사를 기록하고 기억하기: 일기쓰기 158
2. 생활신앙과 생활교육 161
3. 통합학습 162
Ⅵ. 맺는 말: 김교신의 사상과 교육에 대한 평가 166
김교신의 기독교 사상과 교육활동 171 양현혜
Ⅰ. 여는 말 172
Ⅱ. 김교신의 기독교 사상 174
1. 무교회주의와 ‘일상성 속의 신앙’ 174
2. 김교신과 예언자적 역사의식과 종말론적 희망 181
3. ‘조선산 기독교’의 모색 191
Ⅲ. 김교신의 교육활동 196
1. 신앙교육 197
2. 교육현장에서의 교육활동 205
Ⅳ. 맺는 말 213
김교신의 교사로서의 특질 분석 215 김정환
Ⅰ. 여는 말 216
Ⅱ. 교사로서의 천성적 특질 분석 219
1. 인격적 사랑 220
2. 사제동행적(師弟同行的) 자세 222
3. 자기 발견 촉구 224
4. 구도 정신의 현시 226
5. 종교적 수준의 인생 태도 229
6. 사랑 231
Ⅲ. 맺는 말: 졸업생의 “감사의 말씀” 232
「만남」의 교육가 김교신 239 강선보
-부버의 「만남」의 교육철학에 토대한 김교신 해석-
Ⅰ. 여는 말 240
Ⅱ. 부버의 「만남」의 철학과 교육 243
1. 부버의 「만남」의 철학 243
2. 부버의 「만남」의 교육 248
Ⅲ. 「만남」의 교육을 실천한 김교신 254
1. 인격적 감화를 통한 사람됨의 교육 254
2. 구도적 동반자를 자임한 스승 261
3. 종교적 평화주의자로서의 피스메이커 265
4. 독특함을 강조한 개성 교육 270
5. 비에로스적인 교육의 구현 273
6. 세계 자체가 교육의 마당 275
7. 「영원한 너」로의 인도자 278
8. 아가페적 사랑의 실천 279
Ⅳ. 맺는 말 282
김교신 연표 287
Author
강선보,김정환,박의수,송순재,양현혜,임희숙
고려대학교 교육학 박사, (전)한국교육학회 회장, (현)고려대학교 교육학과 명예교수.
<저역서>
『마르틴 부버: 「만남」의 교육철학』(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성인교육철학(공역), 죽음에 관한 교육적 논의(논문) 외 다수.
고려대학교 교육학 박사, (전)한국교육학회 회장, (현)고려대학교 교육학과 명예교수.
<저역서>
『마르틴 부버: 「만남」의 교육철학』(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성인교육철학(공역), 죽음에 관한 교육적 논의(논문)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