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세계』로 등단했고 청송시인회(청시), 시작 동인으로 활동하며 시집 『둥근 세상의 춤을 추겠습니다』 『기억나무에 남아 있는 시간들』을 선보였던 김미외 시인이 시집 『달은 왜 물고기의 눈이 되었을까』를 현대시세계 시인선 178번으로 출간했다.
김미외의 시집 『달은 왜 물고기의 눈이 되었을까』에는 다양한 시적 고뇌들이 자리잡고 있다. 시인이라는 업은 생각하고 고뇌하는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게 되었다. 시쓰기의 괴로움과 즐거움 모두 여기에서 비롯할 터이다. 이 시집을 규율하는 가장 압도적인 시어 혹은 시적 포즈는 ‘유목’이다.
시 「사막의 배」에서 사막을 횡단하는 낙타의 이미지는 자연스럽게 시적 화자의 표상으로 연결된다. 그랬을 때 낙타의 눈에 어린 ‘고요하고 슬픈 바다’란 시적 화자가 바라본 세계의 형상이 된다. 작아진 낙타의 ‘혹’과 자신의 가슴에 생긴 ‘융기된 침묵의 혹’은 동일한 상처의 기원을 가지는 셈이다. 나아가 ‘융기된 침묵의 혹’이야말로 시의 저장소라 할 수 있으며 시적 화자에게는 상처인 동시에 생명으로 기능하는 것이다.
떠도는 것이 생명의 근원이 된다는 강렬한 의식을 「유목일기」가 보여준다. “피안에 도달하다” 혹은 “깨달음의 언덕으로 건너간다”는 의미를 가진 ‘바라밀다’라는 불교의 대승적 수행법에 대한 언어유희를 통해 시적 화자의 입장에서 유목이란 무엇인가를 보여주고 있다. 우연일지 모르지만 ‘바라밀다’와 ‘바람일다’의 공통점은 정착 혹은 고정이 아닌 이동 혹은 떠남으로 규정할 수 있다. 이런 유목적 사유는 이 시대의 문명에 대한 비판적 사고로 확산된다. 「몽유액정도(夢遊液晶圖)」, 「화면공유」 등이 그러한 작품으로 현실 속에 펼쳐진 문명 가운데 유목의 의미를 탐색하고 있다. “시간의 빈 형식 사이를 누비”(「몽유액정도(夢遊液晶圖)」)는 현대인의 유목에 대한 탐구는 앞으로의 시적 과제가 될 것이다.
시인이라면 시적 자의식을 메타적 관점에서 시쓰기로 드러내는 경우가 허다하다. 강렬한 시의식 저편에 도사린 수많은 사유의 흔적을 읽는다는 것은 시인의 내면적 고뇌를 읽는다는 말과 등가의 의미를 가질 터이다. 김미외 시집의 표제시 「달은 왜 물고기의 눈이 되었을까」는 밤하늘의 구름과 달이란 구체적 형상을 통해 마치 불교적 간화선(看話禪) 같은 물음을 던지고 있다. 시인에게 시가 탐구의 결과물이라는 것을 명백히 보여주는 것이다. 시란 아름다운 그 무엇이라기보다는 가시적 세계 이면에 자리한 보이지 않는 세계에 대한 탐구라 할 수 있다. 자신도 정확히 알지 못했던 “내게 숨겨진 말”(「주상절리라는 말」)이 시적 탐구의 대상이었다.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힘 그리고 그것을 형상화하는 능력이야말로 시인이라는 이름에 값하는 것일 터이다.
Contents
시인의 말 - 5
1부
육각형의 우주를 떠돈다 - 13
유목민의 첫소리 - 14
퐁퐁토피아에서 - 16
몽유액정도(夢遊液晶圖) - 17
화면공유 - 18
일곱 시의 이분법 - 20
추월하고 추월하다보면 - 22
네버랜드의 새벽 - 23
사막의 배 - 24
물의 DNA - 25
흔들린다는 말 - 26
추상화 저 알 수 없는 휴식의 여정 - 27
더블 클립 집게와 두께 - 28
당신은 평균입니까 - 29
유목일기 - 30
2부
주상절리라는 말 - 33
동해밤바다에 장미꽃이 피었다 - 34
달은 왜 물고기의 눈이 되었을까 - 35
그러고도 하염없이 당신을 생각하던 날에 - 36
추억의 느린 그림자 같은 향기의 너에게 - 38
흠뻑 - 39
갈매기 - 40
꽃 마중이라는 꽃샘바람 - 41
봄 - 42
유채의 사월 - 43
선암사 별빛 - 44
아카시아꽃 등불 - 46
배롱꽃 - 47
간단없이 피기 - 48
먼나무를 바라보며 생각한다 - 49
3부
달을 바라보며 옥수수를 먹고 싶다 - 53
하얀 호흡 - 54
묵은 달 - 55
마늘할머니 - 56
칼국수를 기다리며 - 58
묵은 간장 - 60
라이트 스탠다드 참치 통조림 - 61
떡메가 고요하네 - 62
청국장 - 64
참 가까워요 - 66
수남이네 도마는 어찌되었을까 - 67
빛깔이 좀 흐리면 어때 - 68
당신은 무슨 띱니까 - 69
신발의 힘 - 70
발 - 71
4부
그날이 그날인 듯 - 75
두루마리 휴지 - 76
청소 생각 - 77
툭에 대하여 - 78
기우제 - 79
몫 - 80
모퉁이의 가로등이 잠들던 밤 - 81
붉은 빛 - 82
버려진 풍경 속으로 - 83
잠든 길에 몸을 누이며 - 84
푸르러지기 - 85
우화(羽化) - 86
볼펜 서한 - 88
괴테와의 하루 - 90
기분 좋은 길 - 91
해설 당신을 향한 유목 그리고 환상통 / 우대식 - 92
Author
김미외
『예술세계』로 등단했으며 청송시인회(청시), 시작 동인으로 활동 중이다. 시집 『둥근 세상의 춤을 추겠습니다』 『기억나무에 남아 있는 시간들』 등 세 권과 공저 『겨울나무로 서다』 외 다수가 있다.
『예술세계』로 등단했으며 청송시인회(청시), 시작 동인으로 활동 중이다. 시집 『둥근 세상의 춤을 추겠습니다』 『기억나무에 남아 있는 시간들』 등 세 권과 공저 『겨울나무로 서다』 외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