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의 즐거운 비극

$17.01
SKU
979116503203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6/10
Pages/Weight/Size 153*225*20mm
ISBN 9791165032036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니체와 함께 즐거운 비극을 노래하자!”
“지금 여기!” 운명을 노래하는 단 하나의 책
진정한 삶의 노래, 즐거운 비극!


이 책은 니체의 생애와 사상을 간단히 소개하고 그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쳤던 쇼펜하우어의 철학과 바그너의 음악극을 살펴보는 것으로 시작하였다. 그리고 『비극의 탄생』(1872)에서 밝혀내고자 했던 ‘그리스적 명랑성’을 고대 그리스 악기인 키타라와 아울로스에 담긴 비극적 선율로 풀어내고자 하였다.

“어디선가 인간의 내면에 흐르는 처절한 분노와 슬픔을 표출하는 아울로스 음악이 울려 퍼진다. 그리고 등장하는 프로메테우스, 오이디푸스 그리고 메데이아 등 비극의 주인공들은 삶의 고통 가운데 그들 자신의 비극적 운명을 받아들이고 삶을 노래한다.”

니체는 이렇게 세계와 삶의 공포와 두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이 시대에 사라져 버린 ‘음악’, 바로 비극을 다시 복원해내고 싶었다. 그에게 실존적 삶을 대변하는 그리스 비극은 인간을 병약하게 만드는 염세주의를 극복하는 방안으로 여겨졌다.
Contents
I 니체의 생애와 사상적 배경

1. 니체, 그는 누구인가? 15
2. 왜 음악 정신인가? 19

II 쇼펜하우어, 바그너 그리고 니체의 만남

1. 쇼펜하우어의 음악미학 27
1.1. 쇼펜하우어, 그는 누구인가? 27
1.2. 쇼펜하우어의 염세주의적 세계관 30
1.3. 쇼펜하우어의 의지 형이상학 34
2. 바그너의 음악극 40
2.1. 바그너, 그는 누구인가? 40
2.2. 바그너의 낭만주의적 세계관 43
2.3. 바그너의 종합예술작품론 48

Ⅲ 키타라와 아울로스에 담긴 비극적 사유

1. 음악의 어원 59
1.1. 무지케와 테크네 60
1.2. 미메시스와 포이에시스 61
2. 키타라 음악과 아울로스 음악 65
2.1. 키타라의 음악적 기원과 특징 68
2.2. 아울로스의 음악적 기원과 특징 73
3. 고대 그리스 음악의 유래와 특징 78
3.1. 서사시, 서정시 그리고 극시 78
3.2. 디티람보스와 비극 83

Ⅳ 그리스 비극에서 풀어낸 니체의 세계이해

1. 고대 그리스 비극의 세계 93
1.1. 고대 그리스인들의 명랑성 94
1.2. 그리스 비극의 형식과 내용 97
2.「결박된 프로메테우스」에 나타난 고통 102
2.1. 아이스킬로스의 비극 102
2.2. 프로메테우스의 고통의 능동성 104
2.3. 프로메테우스의 전형과 모범 111
3. 「오이디푸스 왕」에 나타난 운명 116
3.1. 소포클레스의 비극 116
3.2. 오이디푸스의 운명의 수동성 117
3.3. 오이디푸스의 전형과 모범 129
4. 「메데이아」에 나타난 의식적 선택 133
4.1.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133
4.2. 메데이아의 선택 134
4.3. 메데이아의 전형과 모범 140
5. 디오니소스적인 것과 아폴론적인 것의 대립과 화해 145
5.1. 디오니소스적인 것과 아폴론적인 것의 대립 145
5.2. 디오니소스적인 것과 아폴론적인 것의 화해 150
6. 니체의 비극『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57
6.1. 차라투스트라는 누구인가? 160
6.2. 차라투스트라의 가르침, 영원회귀 162
6.3. 차라투스트라의 새로운 인간상, 위버멘쉬 165

Ⅴ 나가는 말

나가는 말 175

참고문헌 181
Author
허현숙
충남대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치는 교육자이다. 중앙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와 ??수학적 논리주의에 관한 연구??로 석사를 마치고, 충남대학교 철학과에서 ??니체 비극적 사유의 음악적 기원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20년, 2021년, 2022년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도서관 지혜학교에서 ‘니체(Nietzsche)에게 배우는 디오니소스적 지혜’라는 주제로 신중년을 위한 인문학 강좌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논문은 ?프레게에 있어 수의 존재론적 의미?, ?기악음악으로부터 디오니소스적 음악 고찰?, ?실러의 ??메시나의 신부??에 나타난 디오니소스적 예술원리?, ?아울로스 음악을 통한 니체의 디오니소스적 파괴미학?, ?니체와 괴테의 새로운 인간상 연구? 등이 있다.
충남대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치는 교육자이다. 중앙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와 ??수학적 논리주의에 관한 연구??로 석사를 마치고, 충남대학교 철학과에서 ??니체 비극적 사유의 음악적 기원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20년, 2021년, 2022년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도서관 지혜학교에서 ‘니체(Nietzsche)에게 배우는 디오니소스적 지혜’라는 주제로 신중년을 위한 인문학 강좌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논문은 ?프레게에 있어 수의 존재론적 의미?, ?기악음악으로부터 디오니소스적 음악 고찰?, ?실러의 ??메시나의 신부??에 나타난 디오니소스적 예술원리?, ?아울로스 음악을 통한 니체의 디오니소스적 파괴미학?, ?니체와 괴테의 새로운 인간상 연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