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내용은 정치학자들에 대한 전기적 고찰을 통해서 학문과 참정을 연관시키는 역할 유형을 탐구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정치학자들의 참정 방식과 정치적 역할을 크게 시민사회 정향과 국가 정향의 두 방면으로 구분하고, 전자를 ‘공공지성(public intellectual)’으로 후자를 ‘정치지낭(political adviser)’으로 규정했다.
여기에서는 미국 대통령의 국가안보보좌관으로 활동했던 사람, 중국의 변혁기에 국민당과 공산당 중간에서 제3의 길을 추구했던 중도파 민주 사상가, 현대 중국 개혁개방 시기에 정치체제 개혁의 이론가로 활동했던 사람, 러시아 페레스트로이카 개혁정책의 조역으로 활동했던 사람, 그리고 한국 민주화 이행기에 정부에 참여하여 국무총리를 역임했던 사람 등 열다섯 명의 정치학자 참정 사례들을 고찰하면서 학문 태도와 참정 방식의 연관성, 통치 리더십에 상응하는 보좌 역할의 성격, 그리고 정치적 지향성과 태도 등을 고려하여 몇 가지로 유형화를 시도하고 적용했다.
Contents
머리말 - 4
-제1장- 세계정치 전략가 : 미국 대통령 국가안보보좌관
1. 대통령 리더십과 보좌관의 역할 - 12
2. 맥조지 번디: 친밀한 상담인 - 28
3. 헨리 키신저: 기능적 대리인 - 33
4. 즈비그뉴 브레진스키: 상담역 대리인 - 40
5. 브렌트 스코우크로프트: 정직한 중개인 - 47
6. 콘돌리자 라이스: 충직한 호위인 - 54
7. 정책 관리와 정치 전략 - 59
-제2장- 중도파 민주지사: 중국 변혁기 제3의 길 주창자
1. 대의명분과 실리실용 - 64
2. 장시루오: 계몽형 친 체제 무당파 - 67
3. 첸두안성: 비판형 준 체제 초당파 - 78
4. 루오롱지: 변혁형 반 체제 중간파 - 91
5. 학문 태도와 참정 유형 - 102
Author
이계희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충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미국의 캘리포니아대학(버클리)과 아리조나대학, 중국의 중국사회과학원과 북경대학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했다. 현재는 충남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충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미국의 캘리포니아대학(버클리)과 아리조나대학, 중국의 중국사회과학원과 북경대학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했다. 현재는 충남대학교 명예교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