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시대, 새로운 유학을 사유하다

$17.01
SKU
979116503025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2/14
Pages/Weight/Size 153*225*20mm
ISBN 9791165030254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이 저서는 근래에 유학사상을 현대적 관점에서 재구성하여 저서를 출간한 신정근(『인권 유학』), 김경호(『감성유학의 지평』), 김세정(『돌봄과 공생의 유가생태철학』), 이향준(『인지유학의 첫걸음』), 김세서리아(『공자, 페미니즘을 상상하다』), 이철승(『유가사상과 중국식 사회주의 철학』) 등 여섯 분의 학자를 모시고 새로운 유학의 가능성을 모색하려는 의도로 기획되었다.

유학은 단순히 박제된 과거의 유산이나 어느 문중의 전유물이 아니다. 유학은 『논어』의 ‘수기(修己)·치인(治人)’, 『맹자』의 ‘내성(內聖)·외왕(外王)’, 『대학』의 ‘명명덕(明明德)·친민(親民)’, 『중용』의 ‘성기(成己)·성물(成物)’, 그리고 실학이 추구한 ‘경세치용(經世致用)’, ‘이용후생(利用厚生)’, ‘실사구시(實事求是)’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 단지 진리만을 추구하거나 관념만을 쫓는 학문도 아니고 그렇다고 개인의 깨달음이나 양생과 행복만을 추구하는 그런 학문도 아니다.

유학은 삶의 한 복판에서 현실의 문제들을 진단하고, 현실의 다양한 삶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고, 마주한 현실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실천하는, 살아 숨 쉬는 학문이다. 유학을 그런 ‘살아 숨 쉬는 유학’으로 새롭게 탄생시키기 위해 이 저서가 기획되었다.

현실사회의 문제는 매우 다양하다. 그러하기에 이 글을 쓴 집필자들이 마주한 문제들은 필자 자신이 서 있는 자리와 입장에 따라 다를 수밖에 없다. 현실을 바라보는 문제의식의 다양성, 그리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법의 다양성은 학문을 획일화시키거나 교조화하지 않고 학문에 새로운 생명력을 부여해주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한다.

‘생태유학: 인간과 자연, 돌봄과 공생의 길’, ‘감성유학: “신체화된 감성”과 “유학적 삶-정치”의 재구성’, ‘인권유학: 왜 인권유학인가? -문제의 재구조화: 정전제에서 최저임금제로-’, ‘여성주의 유학: 디지털 노마드 시대와 유교적 ‘포용(inclusion)의 정치학’’, ‘인지유학: 신체화된 마음(Embodied Mind)과 유학’, ‘민중유학: 21세기 한국의 민주주의와 유학’으로 명명된 이러한 다양한 유형의 현대유학은 낡고 관행화되었던 유학에 새로운 생명력을 부여해주고, 독자들에게는 마주한 다양한 현실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데 있어 창발적인 시사점을 제안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Contents
생태유학
인간과 자연, 돌봄과 공생의 길


1. 글을 시작하며 _ 17
2. 유가생태철학의 특성과 다양성 _ 23
1) 기계론적 세계관을 넘어 유기체론적 세계로 _ 23
2) 인간중심주의를 넘어 생명 평등의 세계로 _ 27
3) 심층생태주의를 넘어 인간 중추의 세계로 _ 32
3. 생태수양을 통한 천지만물일체의 세계로 _ 37
1) 유가생태수양론의 뿌리 _ 38
2) 송명 신유학에서의 유가생태수양론의 다양화와 심화 _ 41
3) 한국유학에서의 유가생태수양론의 만개 _ 49
4. 글을 마무리하며 _ 58

감성유학
“신체화된 감성”과 “유학적 삶-정치”의 재구성


“신체화된 감성”과 “유학적 삶-정치”의 재구성 _ 65

인권유학
왜 인권유학인가? -문제의 재구조화: 정전제에서 최저임금제로-


1. 문제 제기 _ 91
2. ‘이종 텍스트’의 독해와 종합 _ 94
3. 맹자의 이종 텍스트 결합, 정전제의 ‘인권’적 특성 _ 10
1) 『맹자』를 읽는 통속적 관행 _ 10
2) 『맹자』의 인권 문맥의 독법 가능성 _ 103
4. 인권 유학은 무엇을 탐구하는가? _ 11
1) 통속적 유학 연구의 관행 _ 12
2) 인권 유학의 정위 _ 16
5. 맺음말 _ 121

여성주의 유학
디지털 노마드 시대와 유교적 ‘포용(inclusion)의 정치학’


1. 들어가는 말 _ 127
2. 혐오를 넘어 포용의 정치학으로 _ 131
3. 여성주의 유학을 통한 ‘포용의 정치학’ _ 135
1) ‘추기급인(推己及人)’에 대한 여성주의 독해와 포용의 정치학 _ 136
2) 친친의 아이러니에 대한 여성주의 독해와 포용의 정치학 _ 140
3) 혐오를 다루는 유교적 방식과 포용의 정치학 _ 14
4. 나오는 말 _ 148

인지유학
신체화된 마음(Embodied Mind)과 유학


신체화된 마음(Embodied Mind)과 유학 _ 153

민중유학
21세기 한국의 민주주의와 유학


1. 들어가는 말 _ 193
2. 자유민주주의와 균등의식 _ 197
3. 실정법과 자율의식 _ 207
4. 맺는 말 _ 214
Author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김세정(충남대 철학과 교수), 김경호(전남대 호남학과 교수), 신정근(성균관대 동양철학과 교수), 김세서리아(성균관대 유교문화연구소 수석연구원), 이향준(전남대 철학연구교육센터 학술연구교수), 이철승(조선대 철학과 교수)
김세정(충남대 철학과 교수), 김경호(전남대 호남학과 교수), 신정근(성균관대 동양철학과 교수), 김세서리아(성균관대 유교문화연구소 수석연구원), 이향준(전남대 철학연구교육센터 학술연구교수), 이철승(조선대 철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