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변증법에 따른 진리와 인식

$20.41
SKU
979116503021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Tue 05/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ue 05/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1/30
Pages/Weight/Size 188*254*30mm
ISBN 9791165030216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소크라테스의 산파술은 파르메니데스의 존재론적 사고와 제논의 논박법적 변증법이 결합된 것으로서 기하학과 수학적 사고에 기초하고 있는 진리탐구의 방법론으로서 형상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에 반해 플라톤의 변증법은 존재론적으로 동일자(영혼)-타자(물질)에 기초하고 있는 동일성-타자성의 변증법으로서, 생성-소멸하는 이 세계의 현상적 존재(실존)들에 관한 존재론적 설명방식이다. 이 때문에 플라톤의 변증법은 소크라테스의 정의 내리기에서 기원하는 산파술을 보완하는 것으로서 『소피스테스』편에서는 소피스트를 정의하는 일이나, 『필레보스』편에서의 주제인 “인생을 어떻게 사는 것이 가장 행복한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하나와 여럿의 변증법으로 나타난다.
Contents
서언 / 13

chapter1. 플라톤(Platon)의 생애 / 35

1.1. 플라톤의 청소년 시절 …36
1.2. 소크라테스(Socrates)와의 만남 …40
1.3. 플라톤, 철학하기로 결심하다 …42
1.4. 제1차 시칠리아 여행 …44
1.5. 아카데메이아 학원의 창건 …47
1.6. 제2차와 제3차 시칠리아 여행 …48

chapter2. 플라톤의 이데아(idea)-형상(eidos)론 비판과 변 증법 / 53

2.1. 소크라테스의 정의내리기의 방법과 이데아(형상)-가설 …53
2.2. 형상론 비판과 변증법 …60
2.3. 형상과 가치존재 …61
2.4. 형상과 경험적 사태들의 관계 : 참여(metechein)와 임재(parousia)론 …64
2.5. 제3자에의 논증: 관념(idea)과 형상(eidos)의 변증법 …70
2.6. 초월적 형상의 가능성과 사유의 ‘기능적 인식(noesis-noema)’의 형상 …73
2.7. 인식론 상 신(神) 개념의 모순성 …78

chapter3. 사유와 언명(판단)의 존재론적 진리 인식의 조건변증법 연습 / 87

3.1. 파르메니데스의 존재와 제1 가정의 일자 …95
3.2. 제2 가정에 나타난 플라톤의 변증법의 구조 …116
3.3. 변증법에 의한 현실(reality)의 존재론적 환원 …126
3.4. 어떤 의미에서『 파르메니데스』편의 제2부는 제1부의 해결일 수 있는가? …142
3.5. 박홍규의 “베르그송에 있어서 근원적 자유”에 나타난 플라톤의 인식 형이상학 …159 3.6. 플라톤의 변증법적 존재론의 총체적 의미 …172

chapter4. 플라톤의 존재론에서 잠세적(가능적) 능력으로 서의 영혼 / 183

4.1. 동일성-타자성의 변증법 …201

chapter5. 『테아이테토스』편에 나타난 플라톤의 인식론 / 211

5.1. 감관-지각적 경험의 분석 …213
5.2. 헤라클레이토스의 생성-소멸론과 파르메니데스의 존재론적 사유의 관계 …257
5.3. 경험과 관계하는 인간의 사유(관념)에서의 오류 가능성 …267
5.4. 인간이 파악하는 진리의 인식 형식: 설명이 있는 옳은 판단(orthe doxa meta logou) …280

chapter6. 산파술과 결합된 인생에 대한 탐구방법인 변증법(술) / 303

6.1. 어떠한 삶이 훌륭한(선한) 삶인가? …303
6.2. 혼합된 삶에서도 훌륭하게 혼합된 삶이 좋은 삶이다 …322

결어 / 329 참고문헌 / 343
Author
송영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철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벨기에 르벤대학교 후설 연구소에서 연구를 하였다. 1984년 철학박사(전북대), 한국 동서철학회 및 서양고대철학 학회장을 역임하였고, 영국 케임브리지 IBC 선정, 2009 세계주요철학자로 선발되기도 했다. 현재 충남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철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벨기에 르벤대학교 후설 연구소에서 연구를 하였다. 1984년 철학박사(전북대), 한국 동서철학회 및 서양고대철학 학회장을 역임하였고, 영국 케임브리지 IBC 선정, 2009 세계주요철학자로 선발되기도 했다. 현재 충남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명예교수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