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공부하는 석유·가스 산업

산유국이 되려면 꼭 알아야 할 최소한의 경제지식
$21.60
SKU
979116484737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4/17 - Wed 04/2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4/14 - Wed 04/1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12/13
Pages/Weight/Size 152*224*17mm
ISBN 9791164847372
Categories 경제 경영 > 경제
Description
“석유가 흐르는 곳에 부가 흐른다!”
석유 산업의 개발 단계별 유망 사업과 핵심 개념을 설명해주는 책


*** 대왕고래 프로젝트 + 7광구 완벽 해부
*** 동해심해가스전 국내 수혜 기업 17개 사 추천
*** 세계를 움직이는 슈퍼메이저 7 분석

세계 석유개발 산업에서 막대한 부가 형성되는 과정과 경제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미래 에너지 산업의 방향성까지 예측하는 책 『처음 공부하는 석유·가스 산업』이 출간됐다. 석유 산업의 복잡한 세계를 명료하게 풀어내는 오성익 박사는 “우리나라에서 대규모 석유가스가 발견돼 산유국이 된다면, 허약한 국가재정에 엄청나게 큰 버팀목이 될 수 있다”는 희망과 함께 글로벌 석유 산업의 시장 동향과 한국의 석유 정책, 국제 협력 현황 등 핵심적인 주제를 설명해준다. 단순한 산업 소개를 넘어 국제 관계, 법률, 환경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종합적인 시각을 제공하고 있으며 석유 산업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한 권에 담았다.

광권계약, 탐사, 개발, 생산, 수송, 비축, 판매까지 석유개발의 각 단계와 과정을 차근차근 알려주고 있으며, 부록으로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에너지 정책을 주시하며 우리에게 어떤 현명한 대비책이 필요한지 여러 방안도 찾아본다. 석유 산업을 지원?육성해야 하는 정책입안자나 관료는 물론이고 신사업을 찾는 비즈니스맨, 에너지 정책 연구자, 증권?금융 종사자, 석유 산업 투자자들 모두가 반드시 읽어야 하는 책이다.
Contents
추천의 글
들어가며

제1부_ 석유 개발 전 알아야 할 여섯 가지

제1장 석유자원은 누구의 소유인가
01 주체에 따른 소유권 개념
02 나라별로 다른 소유권 개념

제2장 해양경계를 넘어선 석유와 가스는 누구의 소유인가
01 공동개발 모델 I
02 공동개발 모델 Ⅱ
03 공동개발 모델 Ⅲ
[인사이트] 한국 대륙붕 체제의 역사 : 트루먼 선언, 평화선 그리고 7광구
[인사이트] 7광구 7문 7답

제3장 석유개발 계약의 세 가지 방법
01 조광계약
02 생산물분배계약
03 서비스 계약
[인사이트] 모잠비크 정부와 에니 간 조광계약

제4장 자원량과 매장량 그리고 성공 가능성
01 탐사자원량
02 발견잠재자원량
03 매장량
04 동해심해가스전의 성공 가능성은?
[인사이트] 가이아나 스타브록 광구 사례

제5장 석유와 가스의 가격은 어떻게 정해지는가
01 세계 석유 수요와 공급
02 특수요인 : 자연재해와 지정학
03 재고
04 파생상품 거래
05 유가 결정방식
06 아시아 프리미엄
[인사이트] 생활 속 석유가격 : 휘발유
[인사이트] 2040년 유가전망

제6장 동해유전이 천연가스가 대부분이라면
01 천연가스란 무엇인가
02 천연가스 이용의 본격화
03 천연가스의 국제가격
04 전 세계 천연가스의 수요
05 한국의 천연가스 이용현황
06 한국이 동해에서 천연가스를 개발한다면
[인사이트] 쉐프들이 사용하는 센 불은 LNG일까, LPG일까?

제2부_ 세계를 움직이는 석유기업

제1장 슈퍼메이저
01 엑슨모빌
02 쉐브론
03 코노코필립스
04 쉘
05 BP
06 토탈
07 에니

제2장 세계의 주요 국영석유기업
01 아람코
02 가스프롬
03 이라크국영석유회사
04 이란국영석유회사
05 애드녹
06 쿠웨이트석유공사
07 카타르에너지

제3장 중국의 국영석유기업
01 중국석유천연가스공사
02 중국석유화공, 시노팩
03 중국해양석유총공사
04 중국국가석유가스관망공사
[인사이트] 중국의 석유산업 거버넌스의 변천

제4장 동북아시아의 국영석유기업
01 한국석유공사
02 한국가스공사
03 인펙스
04 타이완석유

제5장 해양석유생산기업
01 페트로브라스
02 에퀴노르
03 우드사이드

제6장 석유개발 서비스기업
01 슐럼버거
02 베이커 휴즈
03 할리버튼
04 플루어
05 중국 유전복무 역분유한공사

제3부_ 해양석유개발

제1장 해양유전에 대해
01 해양유전개발의 역사
02 해양유전개발 현황

제2장 해양유전개발의 순서
01 광구취득
02 탐사 단계
03 개발 단계
04 생산 단계

제3장 기술과 장비
01 시추선의 종류
02 시추기술
03 시추선 대여기업
[인사이트] 라이저 시스템이란?
[인사이트] 한국이 직접 보유했던 해양시추선 두성호

제4장 시추 시 위험요소와 환경
01 위험상황
02 사전대응
03 국제법적 측면
04 해양경계획정
[인사이트] 한국 유일의 국내대륙붕 개발 성공 사례 : 동해가스전 개발 사례

제4부_ 실현되는 산유국의 꿈

제1장 웨스트 카펠라가 온다
01 웨스트 카펠라호에 대해
02 재원과 구조
03 기술적 특징
04 운영과 활용
05 국제정치 속 웨스트 카펠라
06 미래 계획
07 경제적 효과

제2장 대왕고래 프로젝트 성공하면 수혜기업은?
01 에너지 기업
02 정유업
03 조선플랜트업
04 강관업

부록_ 미국 에너지 정책 변화 예측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에너지 정책은 어디로 가는가?
-진영 간 인식의 차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 방향을 어떻게 예측했나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예상되는 변화들

▶단위 표기
▶관련 용어
▶주
▶참고문헌
▶감사의 글
Author
오성익
세계에 한국을 알리고 있는 에너지 전문가.

국토교통부 중앙토지수용위원회 사무국장이자, OECD 지역개발정책위원회 분과부의장이다.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팟캐스트에 에너지 전문가로 출연했으며, 하버드대학교에서 특강을 진행하기도 했다. 에너지와 자원 관련 이슈가 있을 때마다 ‘삼프로 TV’, KBS 〈뉴스9〉 등 미디어에 출연해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제주도의 농촌마을 위미에서 해녀의 아들로 태어나 오현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서울대학교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하고 하버드 케네디스쿨 공공행정학 석사 학위와 터프츠대학교 플레처스쿨에서 법학 및 외교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존스홉킨스대학교에서는 국제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6년 행정고시 합격 후 해양수산부, 국토교통부, 대통령 직속 지역발전위원회 등에서 근무해왔다.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겸임교수로서 ‘도시와 사람’, ‘지역개발과 행정관리’를 강의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영미권 펄그레이브맥밀란 출판사에서 출간한 《한국 일본 해외 에너지투자(Overseas Energy Investment of Korea and Japan)》가 있다. 7광구 사안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미국 외교전문지인 〈내셔널 인터레스트〉에 ‘동중국해의 시한폭탄(Ticking Time Bomb in the East China Sea)’을 기고하기도 했다.
세계에 한국을 알리고 있는 에너지 전문가.

국토교통부 중앙토지수용위원회 사무국장이자, OECD 지역개발정책위원회 분과부의장이다.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팟캐스트에 에너지 전문가로 출연했으며, 하버드대학교에서 특강을 진행하기도 했다. 에너지와 자원 관련 이슈가 있을 때마다 ‘삼프로 TV’, KBS 〈뉴스9〉 등 미디어에 출연해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제주도의 농촌마을 위미에서 해녀의 아들로 태어나 오현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서울대학교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하고 하버드 케네디스쿨 공공행정학 석사 학위와 터프츠대학교 플레처스쿨에서 법학 및 외교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존스홉킨스대학교에서는 국제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6년 행정고시 합격 후 해양수산부, 국토교통부, 대통령 직속 지역발전위원회 등에서 근무해왔다.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겸임교수로서 ‘도시와 사람’, ‘지역개발과 행정관리’를 강의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영미권 펄그레이브맥밀란 출판사에서 출간한 《한국 일본 해외 에너지투자(Overseas Energy Investment of Korea and Japan)》가 있다. 7광구 사안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미국 외교전문지인 〈내셔널 인터레스트〉에 ‘동중국해의 시한폭탄(Ticking Time Bomb in the East China Sea)’을 기고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