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사상에서 미래는 불교의 三世因果論과 같이 과거와 현재의 연장선에서 다뤄진다. 이는 삼세를 단절이 아닌 연속의 관계로 이해하는 것이다. 미래를 예측하려면 과거와 현재를 잘 파악해야 한다. 이를 인류 문명사에서 비춰볼 때, 문명의 역사, 문화, 사상의 전승 과정을 제대로 이해해야만 그에 따른 운명론에 대한 이해도 올바르게 파악된다. 연구의 주체는 인간이므로 결국 인간이 어떠한 삶을 영위해야 하는가를 파악하려는 시도가 운명론 탐구의 목표가 된다. 우리는 무엇 때문에 자신의 운명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가?
인간의 생은 無意志的이지만 죽음은 意志的일 수 있기에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끊는 행위를 인간의 권리나 문제 해결의 수단으로 인식하는 것은 철학적 논의가 부족했기 때문이며 운명 개념의 이해가 보편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인간이 어떠한 삶을 영위해야 하는가를 파악하려는 시도가 바로 ‘운명론’이다.
Contents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선행연구 분석
3. 연구의 방법과 범위
Ⅱ. 운명론의 개념과 『주역』의 운명론
1. 동양 운명론의 개념
1) 운명 예측의 정의
2) 점성술의 운명 예측
3) 동양 운명 예측의 종류
2. 『주역』의 占筮 구조와 운명론
1) 『주역』의 占筮 구조
2) 『주역』의 운명론
Ⅲ. 한국 운명론의 역사적 전개
1. 고대의 운명 예측
1) 고대 운명 예측의 기원
2) 고대 한국의 운명 예측
2. 중세의 운명 예측
1) 고려시대의 운명 예측
2) 조선시대의 운명 예측
3. 근·현대의 운명 예측
1) 점복 집단의 조직화
2) 현대 미아리 점성가촌
3) 근·현대 운명론의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