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나를 알기 위해 떠나는 명리여행 안내서이다. 항상 옆에 두고 필요한 부분을 필요한 때 찾아서 궁금증을 풀 수 있도록 매뉴얼 식으로 꾸몄다.
나를 안다는 것은
- 나의 기질과 성향, 타고난 능력과 잠재력
- 나를 둘러싼 환경과 인간적·사회적 네트워크
- 잠복해 있는 방해요인들이 무엇이며
- 언제가 유리하고 언제가 불리한 때인지 등을 파악하는 것이다.
나를 알아야
- 나설 때인지 자중할 때인지
- 내가 나갈 방향인지 피해야 할 방향인지
- 내가 가까이 지내야 할 사람인지 멀리해야 할 사람인지
- 나에게 맞는 직업은 무엇이고 맞지 않는 직업은 무엇인지
- 나의 소원은 언제쯤 이루어질 수 있는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시중에 나와 있는 대부분의 명리학 책들이 장차 전문 역술인이 되려는 사람들이나 역술인 문하에서 배우는 수강생들 위주로 꾸며졌다. 반면 이 책은 역술에 문외한이지만 사주명리에 관심을 가진 일반 독자들을 위해서 쓰여졌다.”
“이 책의 또 다른 특징 중 하나는 서문에 포함된 20개의 Q&A에 있다. 일반인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사주명리에 대한 20개의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을 Q&A 20으로 정리하여 독자들의 실무적이고 실용적인 궁금증을 풀어준다.”
“참고로 이 책을 구입한 독자에게는 저자가 독자의 사주를 뽑아주고 독자의 사주를 해석 할 때 이 책을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한 간단한 방법을 안내를 해준다. 이 혜택은 2020년 9월 30일 이전 신청자에 한해 제공된다. 자세한 내용은 426쪽 참조.”
Contents
제I편. 내 사주 읽는 법
제1장. 내 사주 알아보기
1. 만세력에서 내 사주 뽑는 방법
1) 사주팔자란 무엇인가?
2) 사주는 4대(四代)가 사는 집인가?
3) 앱에서 사주팔자 뽑는 방법
2. 사주팔자(四柱八字)와 간지(干支) 이해하기
3. 내 사주팔자 오행 이해하기
제2장. 내 사주의 구성 이해하기
1. 천간, 지지와 음양오행
1) 천간과 음양오행(陰陽五行)이 품은 뜻
2) 지지(地支)와 음양오행(陰陽五行)이 품은 뜻
2. 내 사주를 구성하는 천간과 지지 해석
3. 내 사주 오행의 구성 파악하기
1) 음양오행에 따른 사주 해석
2) 사주의 음양(陰陽) 간 균형과 조화
4. 오행 간의 상생과 상극관계 이해하기
제3장. 일간과 오행분포로 본 내 기질과 성향
1. 일간으로 본 나의 장단점과 특징
2. 목(木)이 많은 사주와 적은 사주의 특성
1) 목(木)의 오행적 특성과 작용
2) 목(木)이 많은 사주와 적은 사주의 기질과 성향
3) 오행다자법으로 본 목(木)의 작용
3. 화(火)가 많은 사주와 적은 사주의 특성
1) 화(火)의 오행적 특성과 작용
2) 화(火)가 많은 사주와 적은 사주의 기질과 성향
3) 오행다자법으로 본 화(火)의 작용
4. 토(土)가 많은 사주와 적은 사주의 특성
1) 토(土)의 오행적 특성과 작용
2) 토(土)가 많은 사주와 적은 사주의 기질과 성향
3) 오행다자법으로 본 토(土)의 작용
5. 금(金)이 많은 사주와 적은 사주의 특성
1) 금(金)의 오행적 특성과 작용
2) 금(金)이 많은 사주와 적은 사주의 기질과 성향
3) 오행다자법으로 본 금(金)의 작용
6. 수(水)가 많은 사주와 적은 사주의 특성
1) 수(水)의 오행적 특성과 작용
2) 수(水)가 많은 사주와 적은 사주의 기질과 성향
3) 오행다자법으로 본 수(水)의 작용
7. 사주의 음양오행 분포로 내 기질과 성향 알아보기
1) 사주 구성을 보고 신강(身强)과 신약(身弱) 구분하기
2) 사주오행 간의 생극 관계로 보는 나의 행동 특성
제4장. 띠는 나에 대해 얼마나 알려주는가?
1. 띠별 특징과 한계
2. 연지(年支)로 보는 주인공의 기질과 성향
1) 호랑이띠 2) 토끼띠 3) 용띠 4) 뱀띠
5) 말띠 6) 양띠 7) 원숭이띠 8) 닭띠
9) 개띠 10) 돼지띠 11) 쥐띠 12) 소띠
3. 띠와 원진
제II편. 일간(日干)이 계절적 환경에 적응하며 살아가는 지혜
제5장. 목(木) 일간(日干)의 특성과 환경 적응
1. 갑목(甲木)과 을목(乙木)의 기질(氣質)과 성향(性向)
2. 목 일간의 계절적 환경
1) 봄에 태어난 나무(木) 2) 여름에 태어난 나무(木)
3) 가을에 태어난 나무(木) 4) 겨울에 태어난 나무(木)
3. 갑목(甲木) 일간이 환경에 적응하는 방법
4. 을목(乙木) 일간이 환경에 적응하는 방법
제6장. 화(火) 일간(日干)의 특성과 환경 적응
1. 병화(丙火)와 정화(丁火)의 기질(氣質)과 성향(性向)
2. 화 일간의 계절적 환경
1) 봄에 태어난 불(火) 2) 여름에 태어난 불(火)
3) 가을에 태어난 불(火) 4) 겨울에 태어난 불(火)
3. 병화(丙火) 일간이 환경에 적응하는 방법
4. 정화(丁火) 일간이 환경에 적응하는 방법
제7장. 토(土) 일간(日干)의 특성과 환경 적응
1. 무토(戊土)와 기토(己土)의 기질(氣質)과 성향(性向)
2. 토 일간의 계절적 환경
1) 봄에 태어난 토(土) 2) 여름에 태어난 토(土)
3) 가을에 태어난 토(土) 4) 겨울에 태어난 토(土)
3. 무토(戊土) 일간이 환경에 적응하는 지혜
4. 기토(己土) 일간이 환경에 적응하는 방법
제8장. 금(金) 일간(日干)의 특성과 환경 적응
1. 경금(庚金)과 신금(辛金)의 기질(氣質)과 성향(性向)
2. 금 일간의 계절적 환경
1) 봄에 태어난 금(金) 2) 여름에 태어난 금(金)
3) 가을에 태어난 금(金) 4) 겨울에 태어난 금(金)
3. 경금(庚金) 일간이 환경에 적응하는 방법
4. 신금(辛金) 일간이 환경에 적응하는 방법
제9장. 수(水) 일간(日干)의 특성과 환경 적응
1. 임수(壬水)와 계수(癸水)의 기질(氣質)과 성향(性向)
2. 수 일간의 계절적 환경
1) 봄에 태어난 물(水) 2) 여름에 태어난 물(水)
3) 가을에 태어난 물(水) 4) 겨울에 태어난 물(水)
3. 임수(壬水) 일간이 환경에 적응하는 방법
4. 계수(癸水) 일간이 환경에 적응하는 방법
제III편. 출생 월별 환경과 적응방법
제10장. 인월생과 묘월생의 환경적 배경과 특징
1. 寅月생과 卯月생의 환경과 적응의 지혜 (음력 1-2월, 입춘~청명, 양력 2/5~4/4)
2. 인월생(寅月生)의 기질적 특성과 환경적응 방법
1) 인월생(寅月生)의 특성 2) 인(寅)월생이 환경에 적응하는 지혜
3. 묘월생(卯月生)의 기질적 특성과 환경적응 방법
1) 묘월생(卯月生)의 특성 2) 묘(卯)월생이 환경에 적응하는 지혜
제11장. 진월생과 사월생의 환경적 배경과 특징
1. 辰月생과 巳月생의 환경과 적응의 지혜 (음력 3-4월, 청명~소만, 양력4/5~6/5)
2. 진월생(辰月生)의 기질적 특성과 환경적응 방법
1) 진월생(辰月生)의 특성 2) 진(辰)월생이 환경에 적응하는 지혜
3. 사월생(巳月生)의 기질적 특성과 환경적응 방법
1) 사월생(巳月生)의 특성 2) 사(巳)월생이 환경에 적응하는 지혜
제12장. 오월생과 미월생의 환경적 배경과 특징
1. 午月생과 未月생의 환경과 적응의 지혜 (음력5-6월, 소만~입추, 양력 6/6~8/7)
2. 오월생(午月生)의 기질적 특성과 환경적응 방법
1) 오월생(午月生)의 특성 2) 오(午)월생이 환경에 적응하는 지혜
3. 미월생(未月生)의 기질적 특성과 환경적응 방법
1) 미월생(未月生)의 특성 2) 미(未)월생이 환경에 적응하는 지혜
제13장. 신월생과 유월생의 환경적 배경과 특징
1. 申月생과 酉月생의 환경과 적응의 지혜 (음력 7-8월, 입추~한로, 양력 8/8~10/8)
2. 신월생(申月生)의 기질적 특성과 환경적응 방법
1) 신월생(申月生)의 특성 2) 신(申)월생이 환경에 적응하는 지혜
3. 유월생(酉月生)의 기질적 특성과 환경적응 방법
1) 유월생(酉月生)의 특성 2) 유(酉)월생이 환경에 적응하는 지혜
제14장. 술월생과 해월생의 환경적 배경과 특징
1. 戌月생과 亥月생의 환경과 적응의 지혜(음력 9-10월, 한로~대설, 양력 10/8~12/7)
2. 술월생(戌月生)의 기질적 특성과 환경적응 방법
1) 술월생(戌月生)의 특성 2) 술(戌)월생이 환경에 적응하는 지혜
3. 해월생(亥月生)의 기질적 특성과 환경적응 방법
1) 해월생(亥月生)의 특성 2) 해(亥)월생이 환경에 적응하는 지혜
제15장. 자월생과 축월생의 환경적 배경과 특징
1. 子月생과 丑月생의 환경과 적응의 지혜 (음력 11-12월, 대설~입춘, 양력 2/8~2/4)
2. 자월생(子月生)의 기질적 특성과 환경적응 방법
1) 자월생(子月生)의 특성 2) 자(子)월생이 환경에 적응하는 지혜
3. 축월생(丑月生)의 기질적 특성과 환경적응 방법
1) 축월생(丑月生)의 특성 2) 축(丑)월생이 환경에 적응하는 지혜
제IV편. 60개의 일주(日柱)별 사주 분석
제16장. 갑목(甲木)과 을목(乙木) 일주의 개별 특성
1. 갑목(甲木) 일주들의 개별 특성
1) 갑자(甲子) 일주 2) 갑인(甲寅) 일주
3) 갑진(甲辰) 일주 4) 갑오(甲午) 일주
5) 갑신(甲申) 일주 6) 갑술(甲戌) 일주
2. 을목(乙木) 일주들의 개별 특성
1) 을축(乙丑) 일주 2) 을묘(乙卯) 일주
3) 을사(乙巳) 일주 4) 을미(乙未) 일주
5) 을유(乙酉) 일주 6) 을해(乙亥) 일주
제17장. 병화(丙火)와 정화(丁火) 일주의 개별 특성
1. 병화(丙火) 일주들의 개별 특성
1) 병자(丙子) 일주 2) 병인(丙寅) 일주
3) 병진(丙辰) 일주 4) 병오(丙午) 일주
5) 병신(丙申) 일주 6) 병술(丙戌) 일주
2. 정화(丁火) 일주들의 개별 특성
1) 정축(丁丑) 일주 2) 정묘(丁卯) 일주
3) 정사(丁巳) 일주 4) 정미(丁未) 일주
5) 정유(丁酉) 일주 6) 정해(丁亥) 일주
제18장. 무토(戊土)와 기토(己土) 일주의 개별 특성
1. 무토(戊土) 일주들의 개별 특성
1) 무자(戊子) 일주 2) 무인(戊寅) 일주
3) 무진(戊辰) 일주 4) 무오(戊午) 일주
5) 무신(戊申) 일주 6) 무술(戊戌) 일주
2. 기토(己土) 일주들의 개별 특성
1) 기축(己丑) 일주 2) 기묘(己卯) 일주
3) 기사(己巳) 일주 4) 기미(己未) 일주
5) 기유(己酉) 일주 6) 기해(己亥) 일주
제19장. 경금(庚金)과 신금(辛金) 일주의 개별 특성
1. 경금(庚金) 일주들의 개별 특성
1) 경자(庚子) 일주 2) 경인(庚寅) 일주
3) 경진(庚辰) 일주 4) 경오(庚午) 일주
5) 경신(庚申) 일주 6) 경술(庚戌) 일주
2. 신금(辛金) 일주들의 개별 특성
1) 신축(辛丑) 일주 2) 신묘(辛卯) 일주
3) 신사(辛巳) 일주 4) 신미(辛未) 일주
5) 신유(辛酉) 일주 6) 신해(辛亥) 일주
제20장. 임수(壬水)와 계수(癸水) 일주들의 개별 특성
1. 임수(壬水) 일주들의 개별 특성
1) 임자(壬子) 일주 2) 임인(壬寅) 일주
3) 임진(壬辰) 일주 4) 임오(壬午) 일주
5) 임신(壬申) 일주 6) 임술(壬戌) 일주
2. 계수(癸水) 일주들의 개별 특성
1) 계축(癸丑) 일주 2) 계묘(癸卯) 일주
3) 계사(癸巳) 일주 4) 계미(癸未) 일주
5) 계유(癸酉) 일주 6) 계해(癸亥) 일주
제V편. 들어오는 운과 숨어있는 기(氣) 알아보기
제21장. 들어오는 운의 작용과 지장간의 역할
1. 대운(大運)과 연운(年運)의 작용과 영향
1) 대운(大運)이란 무엇인가? 2) 연운(年運)이란 무엇인가?
2. 대운과 연운의 해석 방법
1) 대운(大運)과 연운(年運)의 차이 2) 대운(大運) 보는 방법
3) 연운(年運) 보는 방법
3. 숨어 있는 기(氣) 활용하기 - 지장간과 운세
1) 지장간(支藏干)이란 무엇인가? 2) 지장간의 기간별 오행과 음양
3) 지장간 활용하기
제22장. 오행의 합과 충
1. 천간합과 지지합에 의한 오행의 변화
1) 천간합
2) 지지의 합
2. 천간 충(沖)과 지지 충
1) 천간의 충(沖)
2) 지지의 충
3) 충(沖)과 극(剋) 간의 차이
제23장. 형ㆍ파ㆍ해 및 원진과 살
1. 형(刑)·파(破)·해(害)의 종류와 작용
1) 형(刑) 2) 파(破) 3) 해(害)
2. 신살(神煞)과 사주보기
1) 12 신살 2) 괴강살, 양인살, 백호살 3) 원진(怨嗔)
제VI편. 육친론과 사회적 네트워크 알아보기361
제24장. 친관계와 십신의 작용
1. 육친과 십신의 의미와 역할
2. 육친관계와 십신작용
1) 자신의 십신(육친)관계를 파악하는 방법
2) 십신과 육친의 상생상극
3. 십신의 대표적 성향과 의미
1) 비견의 특징 2) 겁재의 특징 3) 식신의 특징
4) 상관의 특징 5) 편재의 특징 6) 정재의 특징
7) 편관의 특징 8) 정관의 특징 9) 편인의 특징
10) 정인의 특징
4. 없는 십신의 작용
5. 육친 관계로 운세 읽기
1) 십신의 인생주기별 특징 요약 2) 오행과 육친의 生과 剋의 관계
제25장. 육친법에 따른 대운과 연운 보기
1. 사주에 들어오는 운세
2. 육친관계와 들어오는 운세 읽는 법
3. 들어오는 운의 십신별 작용 해석하기
1) 비견운(대운과 연운) 2) 겁재운(대운과 연운)
3) 식신운(대운과 연운) 4) 상관운(대운과 연운)
5) 편재운(대운과 연운) 6) 정재운(대운과 연운)
7) 편관운(대운과 연운) 8) 정관운(대운과 연운)
9) 편인운(대운과 연운) 10) 정인운(대운과 연운)
Author
라광덕,노성란
사회과학방법론에 익숙한 학자로서 명리학에는 문외한이다. 순전히 학자적 호기심에서 명리학의 학문적 체계에 대해 살펴보다가 그 실체를 파악하지 못하여 혼란스러움을 겪었다. 결국 자신의
사회과학방법론에 익숙한 학자로서 명리학에는 문외한이다. 순전히 학자적 호기심에서 명리학의 학문적 체계에 대해 살펴보다가 그 실체를 파악하지 못하여 혼란스러움을 겪었다. 결국 자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