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델파이(Delphi)와 의사 결정 계층 분석(AHP)을 활용하여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의 범주와 요소를 체계화하고, 역량을 구체화할 세부 요소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평가 지표’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저자는 본 연구를 통해 역량 중심 교육과정을 지향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안착하는 데 보탬이 되고 역량 중심 교육으로의 심화와 확대가 예상되는 차기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 연구 및 차기 국어 교과서 개발 연구에도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Contents
1부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교육 연구 개요
1장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교육 연구의 의의
1.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교육 연구의 필요성
2.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교육 연구 내용
3.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의 구체화 과정
4. 용어의 정의
2장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교육 연구의 기반 형성
1. 역량의 개념과 특성
2. 의사소통 역량 개념 관련 연구
3. 의사소통 역량 범주 및 요소 도출 관련 연구
4. 의사소통 역량 평가 관련 연구
5. 선행 연구 검토에 따른 시사점
2부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교육 연구 설계
3장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교육 연구 방법
1. 델파이(Delphi) 방법
2. 의사 결정 계층 분석(AHP) 방법
4장 전문가 패널 선정 및 연구 절차
1. 전문가 패널 선정
2. 연구 단계 및 연구 모형 구축
3. 자료 수집 및 처리
3부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교육 연구 결과
5장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교육 연구 자료 수집 및 처리 결과
1. 문헌 연구 및 전문가 검토 결과: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의 범주와 요소 설정
2. 제1차 의사 결정 계층 분석(AHP) 결과: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의 범주와 요소 간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도출
3. 제1차 델파이(Delphi) 분석 결과: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세부 요소 탐색
4. 제2차 델파이(Delphi) 분석 결과: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세부 요소 추출
5. 제2차 의사 결정 계층 분석(AHP) 결과: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의 세부 요소 간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도출
6장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의 체계화
1.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범주-요소-세부 요소의 계층화 및 개념화
2.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범주-요소-세부 요소에 대한 AHP 결과 종합
3.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평가 지표 설계 및 활용 방안
7장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교육 연구 결론
1.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교육 연구 결과 요약
2.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교육 연구의 논의 및 시사점
3.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교육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Author
유정오
- 「언식성(oracy)을 고려한 기초 문식성 교재 구성 연구」, 한국교원 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평가 지표 개발 - 델파이(Delphi)와 의사 결정 계층 분석(AHP)을 활용하여-」, 경남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 의사 결정 계층 분석(AHP)을 활용한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요소 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 순위 분석.
- IPA를 활용한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중요도 실행도 분석: 5·6학년군 언어 기능 영역 성취 기준을 중심으로.
- 백워드 설계 모형에 기반한 국어과 자기 성찰·계발 역량 단원 설계.
- 「언식성(oracy)을 고려한 기초 문식성 교재 구성 연구」, 한국교원 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평가 지표 개발 - 델파이(Delphi)와 의사 결정 계층 분석(AHP)을 활용하여-」, 경남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 의사 결정 계층 분석(AHP)을 활용한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요소 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 순위 분석.
- IPA를 활용한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중요도 실행도 분석: 5·6학년군 언어 기능 영역 성취 기준을 중심으로.
- 백워드 설계 모형에 기반한 국어과 자기 성찰·계발 역량 단원 설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