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국어 감각형용사의 형태론

$17.25
SKU
979116395007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12/21
Pages/Weight/Size 153*225*20mm
ISBN 9791163950073
Categories 인문 > 기호학/언어학
Description
이 책은 현대국어에서 감각을 표현하는 형용사들의 형태론적인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간이 자신이 인지한 자극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은 언어 보편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국어에서는 이러한 언어 보편성을 넘어서, 인지한 감각의 미묘한 의미 차이를 표현하는 다양한 어휘들이 존재한다는 특수성이 확인된다. 국어에서 감각을 나타내는 어휘들은 주로 형용사로 나타나는데 본고에서는 이들을 감각형용사로 명명하고 이들의 형태론적 특징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국어가 갖는 특수성의 한 측면에 대한 연구로도 볼 수 있겠다.

저자가 우리말 감각형용사에 본격적으로 관심을 갖게 된 것은 미각형용사에 대한 논문을 작성하면서, ‘씁쓸하다’에서 분석되는 ‘-ㄹ’이나 ‘쓰디쓰다’의 ‘-디-’가 무엇인지 정체를 밝히고 싶었고, ‘달다-달큼하다-달크무레하다’에서 ‘달다’에 순차적으로 결합한 ‘-큼-’, ‘-으레-’ 등의 의미 기능도 명확히 설명하고 싶었다. 특히 감각형용사는 고유어가 대부분이라는 점, 여러 성분들이 어간에 순차적으로 결합하는 교착어적 성격을 잘 드러내준다는 점을 통해 감각형용사 연구가 우리말 고유어가 갖는 형태론적 특징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되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기대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가끔 비슷한 계열의 단어들이 체계적인 관련성을 보일 때는 감각형용사 전체를 하나의 체계로 설명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기대를 갖기도 하였다. 그렇게 미각형용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시각, 촉각, 청각, 후각 등 오감에 대한 논의로 확대하고 있다.
Contents
머리말?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 대상과 방법
1.3. 기존 연구
1.4. 논의 구성?

2. 감각형용사의 형태론을 위한 기본 논의

2.1. 감각형용사의 개념
2.2. 감각형용사의 분류
2.3. 감각형용사의 단어구조
2.4. 감각형용사의 단어형성?

3. 시각형용사의 단어구조와 단어형성

3.1. 시각형용사의 개념과 범위
3.2. 시각형용사의 단어구조
3.3. 시각형용사의 단어형성 절차와 체계?

4. 촉각형용사의 단어구조와 단어형성

4.1. 촉각형용사의 개념과 범위
4.2. 촉각형용사의 단어구조
4.3. 촉각형용사의 단어형성 절차와 체계?

5. 미각 및 후각형용사의 단어구조와 단어형성

5.1. 미각 및 후각형용사의 개념과 범위
5.2. 미각 및 후각형용사의 단어구조
5.3. 미각 및 후각형용사의 단어형성 절차와 체계?

6. 청각형용사의 단어구조와 단어형성

6.1. 청각형용사의 개념과 범위
6.2. 청각형용사의 단어구조와 단어형성 절차?

7. 감각형용사의 형태론적 특징

7.1. 감각형용사 구성성분의 특징
7.2. 감각형용사 내부구조의 특징
7.3. 감각형용사 단어형성의 특징?

8. 결론

참고문헌
부록 감각형용사 목록
Author
송정근
대전 출생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1999)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석사(2002)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2007)
서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홍익대학교, 인하대학교 등 강사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강의교수
Duke University visiting scholar
현 한남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부교수

주요 논문
한국어의 청각형용사와 의성어(2018)한국어 파생형용사의 의미(2017)학교 문법의 연결 어미와 전성 어미(2016)한자 접미사의 판별과 국어사전 기술(2014)복합어 형태분석과 공형태(2012)형용사 중첩의 ‘-디-’에 대하여(2011)한국어 형용사 범주 인식의 변화 양상(2010)중첩의 두 유형(2010)고유어 복합어근 범주 설정에 대하여(2009)감각표현의 형태론적 절차와 그 의미 기능(2009)
대전 출생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1999)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석사(2002)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2007)
서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홍익대학교, 인하대학교 등 강사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강의교수
Duke University visiting scholar
현 한남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부교수

주요 논문
한국어의 청각형용사와 의성어(2018)한국어 파생형용사의 의미(2017)학교 문법의 연결 어미와 전성 어미(2016)한자 접미사의 판별과 국어사전 기술(2014)복합어 형태분석과 공형태(2012)형용사 중첩의 ‘-디-’에 대하여(2011)한국어 형용사 범주 인식의 변화 양상(2010)중첩의 두 유형(2010)고유어 복합어근 범주 설정에 대하여(2009)감각표현의 형태론적 절차와 그 의미 기능(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