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 of Print

과학분야에서 일본 노벨상수상자가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

$36.29
SKU
9791163453970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Mon 05/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Mon 05/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12/12
Pages/Weight/Size 210*296*20mm
ISBN 9791163453970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비평/비판
Description
많은 사람들이 어릴 적 위인전에서 읽었던 알프레드 노벨이라는 사람을 알고 있을 것이다.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한 위대한 발명가였던 노벨은 그가 죽기 전 위대한 사람들을 기리기 위한 상을 만들고 싶다고 했다. 그의 유언은 현실이 되어 오늘날 노벨상이 되었다. 노벨 재단은 물리학, 화학, 생리의학, 문학 등 그가 가장 사랑했던 분야에서 수상자를 선정했고, 노벨상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세계에서 가장 독창적이고 탁월한 사람들에게 주는 가장 권위 있는 상이 되었다. 한국에서 사람들은 매 연말마다 매체를 통해 지구 반대편에서 일어나는 노벨상 수상 장면을 구경한다. 그러면서 노벨상 수상은 우리나라에겐 아주 먼 얘기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우리나라 사람이 노벨상을 수상한 경우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노벨 평화상 뿐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결과는 참 아이러니한 면이 있다. 세계적인 과학저널 「네이처」에서 발표한 2016년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R&D) 투자 비중은 세계 1위’다. 또한 한국은 명실상부 세계에서 인정받는 IT강국중 하나이며, 동아시아에서 일본과 더불어 과학과 기술력에 있어서는 상위권에 속하는 국가 브랜드를 구축하고 있는 나라중 하나이다. 즉 우리나라의 과학은 기술수준이 높지만 독창적이지 못하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일본의 사례를 타산지석 삼아 접근하고자 한다. 일본의 노벨상 수상 사례들과 학계 구조 등 여러 환경적 요인을 분석해보고 우리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Contents
1. 서론 1

2. 노벨상이란 무엇인가? 3

가. 노벨상과 역사 3
나. 노벨상 수상자 선정 과정 7

3. 전 세계의 노벨상 수상국가 11

가. 최근 과학계의 노벨상 수상국가 11
나. 선진국의 노벨상 독점 12
다. 노벨상 수상 동향 분석 15
1) 경제력이 노벨과학상에 미치는 영향 15
2) 언어가 노벨문학상에 미치는 영향 18
라. 주요국의 연구개발 투자동향 21

4. 시대변화 반영하는 노벨상의 흐름 25

5. 미국, 독일 노벨상의 비결 -분석과학의 힘 29

가. 독일 29
나. 미국 35

6. 일본의 역대 노벨상 수상자들 41

가. 일본 역대 노벨상 수상자들 41
나. 노벨상 수상자들의 업적과 성과 소개 43
1) 화학분야 수상자 43
2) 물리학상 수상자 58
3)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75
4) 문학상 수상자 86
5) 평화상 수상자 95

7. 노벨상 수상의 비결 1 - 기초과학연구 99

가. 기초과학 육성을 위한 일본 정부의 노력 99
나. 노벨상의 비결은 ‘사회기반’이었다! 101
다. 우리나라 기초과학 연구의 현주소 102

8. 노벨상 수상의 비결 2 - 기업문화 105

가. 일본 기업의 지원과 배려문화 105
나. 창조성을 살리는 자유로운 기업 풍토 109

9. 노벨상 수상의 비결 3 - 헤소마가리 정신 115

가.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오스미 요시노리 교수의 사례 115

10. 노벨상 수상의 비결 4 - 과거부터 이어져 온 개방적 태도 119

11. 노벨상의 그림자 - 노벨상 수상의 이면 123

가. 경직된 일본 기업문화의 피해자 - 나카무라 슈지 교수 123
나. 일본 노벨상 프로젝트의 적신호 - 이공계 기피 현상과 기업의 실용주의 체제 125

12. 한국은 왜 노벨상을 받지 못할까? - 네이처(Nature)가 뽑은 5가지 이유 131

13. 한국은 왜 노벨상을 받지 못할까? 135

가. 한국의 노벨상 수상이 어려운 이유 135
나. 국내 과학계의 안타까운 현주소 138
다. 국내 과학계에서 노벨상 후보로 거론되는 사람들 141

14. 결론 145

15. 참고문헌 147
Author
비피기술거래
시장조사전문기관으로 『4차 산업혁명을 이끌 미래인쇄전자 산업분석 보고서』, 『국내외 게임시장 산업분석 보고서』, 『사물인터넷 산업분석보고서』, 『조명시장과 OLED 시장보고서』, 『MEMS 기술산업전략보고서』, 『반려동물 산업과 첨단 기술의 만남』, 『방열소재 시장과 기술동향』, 『모바일화에 따른 온라인 문화콘텐츠산업 동향』, 『미세먼지에 관련된 국내시장에 대한 전망분석 보고서』,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 정책 및 시장과 개발 업체 동향, 기술현황과 사업아이템』, 『듀얼 카메라 시장조사 보고서』, 『전통문화의 시장 및 기술동향 전통식품』, 『모바일 및 웨어러블 기기용 화학』, 『국내외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관련 산업분석보고서』(공저), 『국내외 스마트팩토리 산업분석보고서 2022 개정판』(공저), 『전기자동차, 휴대폰 배터리의 핵심기술관련 2차전지 산업분석보고서 2021』(공저) 등을 저술하였다.
시장조사전문기관으로 『4차 산업혁명을 이끌 미래인쇄전자 산업분석 보고서』, 『국내외 게임시장 산업분석 보고서』, 『사물인터넷 산업분석보고서』, 『조명시장과 OLED 시장보고서』, 『MEMS 기술산업전략보고서』, 『반려동물 산업과 첨단 기술의 만남』, 『방열소재 시장과 기술동향』, 『모바일화에 따른 온라인 문화콘텐츠산업 동향』, 『미세먼지에 관련된 국내시장에 대한 전망분석 보고서』,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 정책 및 시장과 개발 업체 동향, 기술현황과 사업아이템』, 『듀얼 카메라 시장조사 보고서』, 『전통문화의 시장 및 기술동향 전통식품』, 『모바일 및 웨어러블 기기용 화학』, 『국내외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관련 산업분석보고서』(공저), 『국내외 스마트팩토리 산업분석보고서 2022 개정판』(공저), 『전기자동차, 휴대폰 배터리의 핵심기술관련 2차전지 산업분석보고서 2021』(공저) 등을 저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