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의 이론과 실천

$26.08
SKU
979116328630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4/15 - Mon 04/21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4/10 - Mon 04/14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6/28
Pages/Weight/Size 188*257*30mm
ISBN 9791163286301
Categories 대학교재 > 사범대 계열
Description
최근 4차 산업혁명이라는 화두는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급격한 기술변화에 대한 수용과 적응을 요구한다. 연결, 지능화, 융합으로 복잡하게 얽힌 첨단 테크놀로지의 시대에서 교육은 기술에 종속되지 않고 고유의 인간성을 가진 인재를 키워내야 하는 사명을 가진다. 또한, 교육을 통해 공감, 소통, 협력에 능하고,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사람을 키워낼 것을 요구받고 있다.

교육의 중요한 영역은 교수-학습활동으로 볼 수 있다. 가르치는 사람과 배우는 사람이 교육 내용을 매개로 하여 교육환경 내에서 상호작용하는 과정, 그것을 교수-학습 과정이라고 할 때, 어떻게 하면 그 과정을 즐겁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까 하는 것은 교육과 관련된 모든 사람들의 당면과제가 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오늘날 4차 산업혁명에서 훌륭한 교사란 교과에 대한 전문적 지식 및 능력뿐만 아니라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적인 측면에서 우수한 교사로 확대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접하여 어떻게 하면 참다운 교육, 인간다운 교육이 될 수 있을 것인가를 가르치고 연구하는 학자로서 이 문제에 대한 대안들을 모색하고자 했다. 특히 교직과목인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의 이해가 다른 어떤 교과목보다 어렵다는 학습자들의 반응은 이 교과목을 가르치는 저자에게 안타까움과 책임감을 느끼기에 충분했다. 따라서 본서는 장차 교사가 되려는 학습자와 현재 교육현장에 몸담고 있는 교사들에게 이해하기 쉽고 실제 적용이 용이한 교재를 집필하게 한 동기가 되었다.
Contents
Chapter 01 교육방법의 이해

제1절 교육방법의 의미
제2절 교육방법의 발달과정
제3절 교육방법 탐구의 목적
제4절 교육방법 유형
제5절 교육방법의 선정과 활용
제6절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관계

Chapter 02 학습이론

제1절 행동주의 이론
제2절 인지주의 이론
제3절 인본주의 이론
제4절 구성주의 이론
제5절 학습이론의 특징 비교

Chapter 03 교수 이론

제1절 Glaser 수업모형
제2절 Bruner의 발견학습
제3절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
제4절 Bloom의 완전학습모형
제5절 Gagne의 처방적 교수 이론
제6절 Ausubel의 유의미 언어학습 이론
제7절 Cronbach의 적성-처치 상호작용 모형

Chapter 04 교수자 중심 교육방법

제1절 강의법
제2절 토의법
제3절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제4절 팀티칭

Chapter 05 학습자 중심 교육방법

제1절 자기 주도학습
제2절 계약학습방법
제3절 협동 학습

Chapter 06구성주의의 교육방법

제1절 문제해결학습(PBL: Problem Solving Learning)
제2절 발견학습
제3절 구안학습
제4절 앵커드 수업모델
제5절 인지적 유연성 이론
제6절 인지적 도제 이론
제7절 자원기반학습

Chapter 07 교수전략

제1절 교수전략의 개념
제2절 교수전략의 종류
제3절 수업 진행을 위한 교수전략
제4절 학습 동기유발전략
제5절 교수전략 사용의 고려 사항

Chapter 08 교육공학의 이해

제1절 교육공학의 출현 배경
제2절 교육공학의 정의
제3절 교육공학의 역사
제4절 교육공학의 탐구 영역
제5절 교육공학의 적용
제6절 교육방법에 대한 교육 공학적 접근

Chapter 09 교수설계이론과 모형

제1절 교수설계의 이론
1. 교수설계의 역사적 배경
2. 교수설계의 개념 및 필요성
3. 교수설계의 변인
4. 교수설계모형의 분류
5. 교수설계의 기본 원리
6. 교수설계의 이론적 특성
제2절 교수설계의 모형
1. Tyler의 합리적 교육과정 개발모형「미시적 교수설계모형」
2. Dick과 Carey 모형「거시(체제) 교수설계모형」
3. Smith와 Ragan 모형「거시 교수설계모형」
4. 교수체제 개발의 일반모형: ADDIE 모형「거시(체제) 교수설계모형」
5. Gerlach와 Ely의 체제적 교수설계모형「미시(체제) 교수설계모형」
6. Willis의 R2D2 모형「구성주의적 학습환경설계모형」
7. ASSURE 모형「거시(체제) 교수설계모형」

Chapter 10하이브리드 러닝

제1절 e-러닝
제2절 u-러닝
제3절 m-러닝
제4절 블렌디드 러닝
제5절 스마트 러닝
제6절 MOOC
제7절 소셜 미디어

Chapter 11 4차 산업혁명과 미래 교육

제1절 4차 산업혁명과 교육
제2절 최근 교육공학의 동향
제3절 미래 교육의 설계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신재흡
전 국교육행정학회 윤리위원장·재정위원장·부회장선출위원장, 한국교원교육학회 감사·윤리위원장·중등교육위원장·홍보기금위원장, 한국유아보육복지학회 서울지회장·연구윤리위원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윤리위원장, 한국교육학회 선거관리위원장, 한국교육정치학회 감사, 경기도교육청 수석교사 선발위원, 서울특별시교육청 학교장 경영능력 평가위원, 구리시청 보육정책위원, 한국교육정책연구소 전문위원.
현 한국교원교육학회 부회장, 한국유아보육복지학회 부회장, 한국교육행정학회 이사 및 주삼환교육리더십상 위원회 위원, 한국실천교육학회 인성위원장, 한국미래유아교육학회 이사, 한국교육정치학회 윤리위원장, 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전 국교육행정학회 윤리위원장·재정위원장·부회장선출위원장, 한국교원교육학회 감사·윤리위원장·중등교육위원장·홍보기금위원장, 한국유아보육복지학회 서울지회장·연구윤리위원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윤리위원장, 한국교육학회 선거관리위원장, 한국교육정치학회 감사, 경기도교육청 수석교사 선발위원, 서울특별시교육청 학교장 경영능력 평가위원, 구리시청 보육정책위원, 한국교육정책연구소 전문위원.
현 한국교원교육학회 부회장, 한국유아보육복지학회 부회장, 한국교육행정학회 이사 및 주삼환교육리더십상 위원회 위원, 한국실천교육학회 인성위원장, 한국미래유아교육학회 이사, 한국교육정치학회 윤리위원장, 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