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를 실천하는 단일의 독립적인 전문직은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 사회복지학, 심리학, 상담심리학(상담교육학), 아동가족학, 정신간호학, 정신의학 등의 학문적 배경을 가진 전문가들이 가족상담(family counseling) 및 가족치료(family therapy)를 다학제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가족을 대상으로 한 상담이나 치료의 실천현장의 역사적 배경이 사회복지실천가들이나 정신분석가들로부터 시작이 되어 그 발전과정에서 다양한 전문적 영역으로 확산이 된 것과도 맥락을 같이 한다. 이러한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특징은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전문가들이 양성되는 교육과정에서 학습하게 되는 이론과 기술이 다양하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실천현장에서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사들이 가족치료의 이론과 기술의 적용에 혼란을 겪을 수 있는 개연성으로도 작용하는 문제점이 되기도 한다.이러한 문제점과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자는 기존의 저서들에서 나타나는 한계점들을 분석하여 학습과정에 있는 예비 가족상담가 및 가족치료사들 뿐만 아니라 이미 실천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가들에게도 보다 유능한 수준의 전문가로 거듭날 수 있는 이론과 기술을 제공하고자 하는 사명감으로 머리말6이 책을 저술하였음을 밝힌다.
Contents
Part 01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개관
Chapter 01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개념과 영역
1.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정의와 특성
2.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구분과 영역
3.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관련 영역
Chapter 02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철학과 배경이론
1.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철학적 관점
2.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이론적 배경
Chapter 03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접근 틀과 요인
1. 가족건강성과 정상적 가족발달
2. 기능적 가족과 역기능적 가족
3.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접근 요인
Chapter 04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발달 역사
1.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태동 · 형성기(초기)
2.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성장 · 확립기(중기)
3.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전문화 · 통합기(후기)
Part 02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이론 · 모형
Chapter 05 정신분석적/대상관계적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1. 정신분석적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흐름
2. 정신역동적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이론 · 모형
3. 대상관계적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이론 · 모형
Chapter 06 인지행동적/정서체계적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1. 인지행동주의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2. 보웬의 다세대 정서체계적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Chapter 07 상호작용적 의사소통/전략적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1. MRI의 상호작용적 의사소통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2. 헤일리의 전략적 구조주의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3. 셀비니-파라졸리의 체계론적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Chapter 08 경험적/구조적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1. 휘태커, 사티어의 경험주의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2. 미누친의 구조주의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Chapter 09 사회구성주의적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1. 드 세이저, 버그의 해결중심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2. 화이트, 엡스턴의 이야기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3. 앤더슨, 굴리시안의 협력언어체계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Part 03 절충 통합적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Chapter 10 절충 통합적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이론 · 모형
1. 선택적 차용/통합적 문제중심 이론 · 모형
2. 내재적 가족체계/구조초월적 이론 · 모형
3. 절충 통합적 3단계 실천 이론 · 모형
Chapter 11 절충 통합적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전체 과정
1. 절충 통합적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접수/사정단계
2. 절충 통합적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계획/실천단계
3. 절충 통합적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평가/종결단계
Chapter 12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투사적/개인적 사정 도구
1. 가계도와 가족생태도, 동적 가족화 사정 도구
2. 사회적 관계망 표와 사회적 관계망 지도 사정 도구
3.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개인심리 사정 도구
Chapter 13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객관적/양적 사정 도구
1.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가족기능 사정 도구
2.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가족관계 사정 도구
3.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부모양육태도 사정 도구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