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ing soon

효령대군

문화 군주 세종대왕의 형님 이야기
$20.30
SKU
9791163221661

 

COMING SOON [판매 예정] 상품입니다.

[판매 예정] 상품은 출간일(Publication Date) 이후 주문이 가능합니다.

 

▷출간일 이후에도 아직 [판매 예정]으로 보이는 경우 info@kbookstore.com 으로 문의주세요.

주문 가능 여부를 확인 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COMING SOON [판매 예정] 상품입니다.

[판매 예정] 상품은 출간일(Publication Date) 이후 주문이 가능합니다.

* 출간일 이후에도 아직 [판매 예정]으로 보이는 경우 info@kbookstore.com 으로 문의주세요.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4/15
Pages/Weight/Size 152*225*20mm
ISBN 9791163221661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비운의 왕자도, 스님도 아니었다!
유학자들 편견에 가려졌던 위대한 인생을 만나다

한국의 종친회 가운데 가장 많은 종원을 보유한 곳은 바로 전주이씨 효령대군파다. 하지만 정작 효령대군에 대해서는 대중적인 이해가 매우 부족했다. 심지어 스님이 되었다거나 후손을 남기지 않았다고 알고 있는 사람도 있을 정도다.

《효령대군》은 세종대왕의 둘째 형인 효령대군의 삶을 다채로운 일화와 역사 기록을 통해 생생하게 복원한다. 최초의 한글 번역 소설 《설공찬전》 국문본을 발견한 고전학자 이복규 교수가 저자로서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효령대군의 삶을 현대 독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1396년에 태어나 91세로 생을 마감하기까지, 형제와의 우애, 독실한 불심, 왕실과 국가를 위한 헌신, 문화 후원자로서의 면모 등 조선 초기를 관통하는 굵직한 삶의 결이 이 책에 담겨 있다. 이전에도 효령대군을 다룬 책들은 있었지만, 대부분 지나치게 전문적이거나 한자 자료집 성격이라 일반 독자들에게는 접근이 어려웠다.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도록 재구성한 이 책은, 효령대군에 대한 진정한 재조명을 가능하게 한다.
Contents
차례
머리말 · 4

1 · 탄생과 유년 시절 · 9
2 · 효성스러운 아들 · 22
3 · 동생 세종과의 우애 · 27
4 · 불교 신자 효령대군의 신비 체험 · 40
5 · 희우정 별장에서 있었던 일 · 53
6 · 수륙재의 파장 · 63
7 · 91세 장수와 그 비결 · 74
8 · 며느리 간택의 구설수 · 82
9 · 형 양녕대군과의 우애 · 91
10 · 최초의 지방자치 규약 ‘향헌’의 제정 · 99
11 · 효령대군이 불경을 한글로 번역하다 · 111
12 · 《부모은중장수태골경합부》 필사 · 124
13 · 원각사 창건에 얽힌 일들 · 132
14 · 임종과 후일담 · 144
15 · 효령대군에 대한 오해와 진실 · 159
16 · 효령대군 행적의 인문학적 가치 · 173

[부록] 효령대군 연보 · 189
Author
이복규
이복규(李福揆)는 전북 익산에서 출생했다. 현재 서경대학교 문화콘텐츠학부 명예교수이고, 경희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숭실대학교, 총신대학교에서 강의했다. 국사편찬위원회 한문초서연수과정을 수료해 『묵재일기』를 검토하다 최초의 한글 번역 소설 「설공찬전」 국문본을 발견하는 행운을 누렸다. 아현동 산성교회 장로로서 밥죤스신학교 학부와 연구원에서 신학을 공부해 성경 공부를 인도하고 있다. 저서로 『부여·고구려 건국신화 연구』(집문당, 1998; 1999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설공찬전의 이해』(지식과교양, 2018), 『교회에서 쓰는 말 바로잡기』(새물결플러스, 2020) 등이 있고, 공저로 『한국 그리스도교 민속론』(민속원, 2014), 『우리신화 한국신화』(교우사, 2018) 등이 있다. 이복규 교수의 교회용어·설교예화 카페(http://cafe.naver.com/bokforyou)를 운영 중이다.
이복규(李福揆)는 전북 익산에서 출생했다. 현재 서경대학교 문화콘텐츠학부 명예교수이고, 경희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숭실대학교, 총신대학교에서 강의했다. 국사편찬위원회 한문초서연수과정을 수료해 『묵재일기』를 검토하다 최초의 한글 번역 소설 「설공찬전」 국문본을 발견하는 행운을 누렸다. 아현동 산성교회 장로로서 밥죤스신학교 학부와 연구원에서 신학을 공부해 성경 공부를 인도하고 있다. 저서로 『부여·고구려 건국신화 연구』(집문당, 1998; 1999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설공찬전의 이해』(지식과교양, 2018), 『교회에서 쓰는 말 바로잡기』(새물결플러스, 2020) 등이 있고, 공저로 『한국 그리스도교 민속론』(민속원, 2014), 『우리신화 한국신화』(교우사, 2018) 등이 있다. 이복규 교수의 교회용어·설교예화 카페(http://cafe.naver.com/bokforyou)를 운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