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책과 한국 현대사 이야기

책은 어떻게 지금의 우리를 만들었나
$17.28
SKU
979116322098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5 - Wed 05/21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2 - Wed 05/14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7/10
Pages/Weight/Size 152*225*20mm
ISBN 9791163220985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절망의 순간에도 이어진 책의 발자취
침략과 탄압의 현대사에서 뜻을 펼치다

우리나라는 세계 인쇄 문화의 종주국이라 불릴 정도로 인쇄 및 출판에 있어 뿌리 깊은 전통을 가지고 있다. 통일 신라 시대에 만들어진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은 현존하는 세계의 목판 인쇄물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직지심체요절’ 역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본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유구한 역사를 가진 우리나라의 책 문화는 현대로 접어들며 크고 작은 변화를 맞이해 왔다. 일제강점기부터 6·25전쟁, 유신시대까지 대한민국 현대사의 격동기를 지나 우리 책은 과연 어떤 길을 걸어왔을까? 《우리 책과 한국 현대사 이야기》에서 그 발자취를 따라가 본다.
Contents
머리말 · 005

◇ 제1부 일제강점기 출판

제1장 일본의 지배와 지식인의 대응
- 한국은 왜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나요? · 015
- 일본의 지배에 대하여 지식인들은 어떻게 대응했나요? · 017

제2장 출판 탄압과 저항
- 일제는 출판 탄압을 어떤 식으로 했나요? · 024
- 어떤 책들이 금서가 되었나요? · 028

제3장 일제강점기의 출판사들
- 일제강점기에도 한국인 경영 출판사들이 많이 있었나요? · 036
- 일제강점기에는 어떤 출판사들이 활발하게 활동했나요? · 039
①신문관 ②회동서관 ③박문서관 ④한성도서주식회사 ⑤정음사

제4장 일제강점기의 독서
- 일제강점기에 누가 책을 많이 읽었나요? · 054
- 일제강점기 사람들은 어떤 종류의 책을 많이 읽었나요? · 059
- 일제강점기에도 베스트셀러 작가가 많았나요? · 065
- 일제강점기의 대표적인 베스트셀러는 어떤 책들인가요? · 074
①『무정』 ②『상록수』 ③『순애보』

◇ 제2부 해방 이후 출판

제1장 미군정기의 출판
- 해방이 되고 왜 곧바로 독립국가가 되지 못했나요? · 085
- 해방이 되고도 한글은 왜 공용어가 아니었나요? · 086
- 해방 직후 어떤 출판사들이 활동했나요? · 090
- 해방 직후 어떤 종류의 책들이 얼마나 나왔나요? · 100

제2장 제1공화국 시기 출판
- 제1공화국 시기 한국은 어떤 상황이었나요? · 108
- 정부의 출판정책은 어떠했나요? · 111
- 6·25전쟁 기간에도 출판활동을 했나요? · 113
- 어떤 종류의 책들을 출판했나요? · 115
- 어떤 책들이 베스트셀러가 되었나요? · 119

제3장 1960년대 출판
- 1960년대 한국 상황은 어떠했나요? · 125
- 4·19혁명은 출판문화에 어떤 영향을 끼쳤나요? · 130
- 5·16 이후 출판 상황은 변화가 있었나요? · 135
- 1960년대의 출판시장은 어떠했나요? · 139
- 어떤 종류의 책들이 많이 나왔나요? · 142
- 어떤 책들이 베스트셀러가 되었나요? · 143
- 1960년대 대표적인 베스트셀러 작가는 누구인가요? · 149
①저술가 이어령 ②철학교수 김형석

제4장 1970년대 출판
- 1970년대의 시대 상황은 어떠했나요? · 173
- 1970년대 시대상황은 출판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요? · 179
- 한글세대 등장으로 출판문화는 어떻게 달라졌나요? · 184
- 문고본 출판은 왜 1970년대에 활성화되었나요? · 189
- 한국에서 도서정가제는 언제부터 시작되었나요? · 192
- 1970년대에는 어떤 종류의 책들이 많이 나왔나요? · 194
- 1970년대에는 어떤 책들이 베스트셀러가 되었나요? · 195
- 1970년대 대표적 베스트셀러 작가는 누구인가요? · 205
①소설가 최인호 ②소설가 황석영

참고 문헌 · 229
찾아보기 · 236
Author
부길만
우리나라 출판학계를 대표하는 학자 중 한 명이다. 한국출판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동원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한국외국어대 독어과를 졸업한 이후 영국 셀리오크 대학을 거쳐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에서 출판잡지를 전공해 석사과정을 마쳤다. 한양대 대학원 신문방송학과에서는 문학박사를 취득했다.

주요 경력으로 동원대학교 광고편집과 교수, 경희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동국대학교·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강사, ㈔어린이도서연구회 이사장, 문화재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조선시대 방각본 출판 연구』(2004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책의 역사』(2009년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우수학술도서), 『지역 사회와 민주주의를 말하다』, 『출판산업 발전과 독서진흥』, 『한국 출판의 흐름과 과제』(전2권), 『출판기획물의 세계사』(전2권), 『출판학의 미래』, 『한국 출판 역사』, 『지역사회의 책문화 살리기』, 『우리 책과 한국사 이야기』 외 다수가 있다.
우리나라 출판학계를 대표하는 학자 중 한 명이다. 한국출판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동원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한국외국어대 독어과를 졸업한 이후 영국 셀리오크 대학을 거쳐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에서 출판잡지를 전공해 석사과정을 마쳤다. 한양대 대학원 신문방송학과에서는 문학박사를 취득했다.

주요 경력으로 동원대학교 광고편집과 교수, 경희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동국대학교·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강사, ㈔어린이도서연구회 이사장, 문화재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조선시대 방각본 출판 연구』(2004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책의 역사』(2009년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우수학술도서), 『지역 사회와 민주주의를 말하다』, 『출판산업 발전과 독서진흥』, 『한국 출판의 흐름과 과제』(전2권), 『출판기획물의 세계사』(전2권), 『출판학의 미래』, 『한국 출판 역사』, 『지역사회의 책문화 살리기』, 『우리 책과 한국사 이야기』 외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