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요의 절정에 이른 4차 산업시대에도 기근이 증가하며
식량부족이나 절량絶糧이 핵폭탄보다 더 무서운 무기가 될 수 있다!
중국, 러시아, 몽골, 북한 등 북방 나라들의 농업 현황과 기근 문제 진단
2016년 FAO보고서는 영양부족 인구가 8억이 넘는다고 보고 있다. 기근이 증가한다는 말이다. 그 원인은 전쟁과 국내분쟁, 가뭄이나 홍수 등의 자연재해에 기인한다. 기아가 지속되면 영양부족으로 이어지고, 성장 지연, 빈혈과 질병 유발 등 사회불안을 초래한다. 한국의 기아지수는 이미 산업화된 국가로 분류되어 10점 이하로서, 미국,일본과 같은 녹색 부분에 포함돼 있다. 그러나 북한은 기아지수 28.8점으로 전 세계에서 26번째로 기아 문제가 심각한 나라로 분류되고 있다.
세계 역사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참혹한 대기근의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감자역병이 돌며 아일랜드에서 일어난 1842년의 대기근, 가뭄으로 10만 명이 사망한 1973년의 에티오피아 대기근, 소련 스탈린 시기의 우크라이나 홀로도모르(Holodomor) 등을 비롯하여, 일본 에도 4대 기근, 조선왕조의 경신 대기근, 1959년에 발생한 중국 대기근, 그리고 ‘고난의 행군’이라고 알려진 1990년대 북한의 기근 등, 식량 부족에 관한 무수한 참혹한 조각들이 인류 역사에는 점철돼 있다.
북한의 핵무기 위협으로 세간이 떠들썩한 이때, 세계 역사에서 수많은 목숨을 앗아가며 비참한 족적을남긴, 그리고 지금도 진행 중인 식량 부족의 문제를 우리는 간과하고 있지는 않은가? 어쩌면 기아 문제야말로 핵폭탄보다 더 무서운 문제이지는 않을까? 권력의 부조리함이 식량 문제를 둘러싸고 어떻게 기근을 불러오는가? 이 책은 한반도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중국, 러시아, 몽골, 북한 등 북방 나라들의 농업 현황을 진단하고, 그를 통해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식량 문제를 고찰함으로써, 떠들썩한 이슈들 속에서 우리가 잊고 있던 기근의 문제를 생각하게 해준다.
Contents
머리말
제1장 중국의 농업
1. 농업 생산의 기초와 체제의 변천 16
가. 농업 기반 16
1) 농업지대의 구분 16 2) 수자원 18 3) 경지 19 4) 농촌 인구 20
나. 농업 체제의 변천 22
1) 인민공사 체제(人民公社體制) 23 2) 농가생산 도급책임제(農家生産都給責任制) 25
2. 농업 생산량의 변화 28
가. 1차 산업의 위상과 구성 28
나. 경종부문의 구조 변화 31
다. 원예작물 36
라. 축산물 생산과 소비량 39
3. 중국 농업 문제와 정책 방향 42
가. 삼농의 문제 42
나. 농민공의 문제 43
다. 도·농, 지역, 계층 간의 소득격차 47
라. 중국의 농촌 현대화와 향진기업 50
1) 농촌 현대화 정책 50 2) 향진기업(鄕鎭企業) 52
4.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55
가. 농업부문의 민감성과 타결 내용 55
나. 한·중 농산물 무역의 전망 59
5. 맺는 말 62
참고문헌 66
제2장 러시아의 농업
1. 러시아 연방의 개관 71
가. 러시아 연방의 성립 71
나. 러시아 연방의 행정구역 구성 71
다. 경제 74
2. 러시아의 농업 76
가. 러시아 연방 76
나. 극동 연방관구(Far Eastern Federal District) 85
3. 극동 연방관구 연해주의 농업 88
가. 연해주 농업의 자연환경 89
나. 농축산물 생산 90
4. 한국 농기업의 연해주 진출 96
가. 도전의 땅 연해주 96
나. 한국의 농기업 진출 97
다. 연해주 진출의 문제점 100
라. 한·러와 한·연해주 교역 현황 106
5. 맺는 말 110
참고문헌 115
제3장 몽골의 농업
1. 몽골의 농업환경과 경제기반 120
가. 자연조건 120
1) 기후 120
2) 토지의 이용 122
나. 몽골의 경제적 기초 123
다. 국제 경쟁력 125
2. 몽골의 농축산물 생산과 경영 및 유통 127
가. 농업 생산 127
1) 목축업 생산 128
2) 농작물 생산 132
나. 농축산물 경영 135
1) 목축업 135
2) 농산물 139
다. 농축산물의 유통 142
1) 축산물 142
2) 곡물과 채소 146
3) 축산물 가공 147
3. 한·몽 교역 동향 148
가. 일반 무역 148
나. 한·몽 농축산물 수출입 150
4. 몽골 농업 진출 가능성 152
가. 김치 제조업 152
나. 생태 관광상품의 개발 153
다. 물류창고업(농산물 저장) 154
라 사료사업(농후사료, 건초사업) 155
5. 맺는 말 156
참고문헌 160
제4장 북한의 농업
1. 농업 생산 자원 164
가. 자연환경 165
나. 토지 자원 167
다. 노동력 171
2. 식량 생산과 부족의 실상 175
가. 자연재해 175
나. 식량 생산 177
다. 축산물 생산 182
라. 공산체제의 붕괴 184
마. 주체농법 186
3. 식량 부족의 원인과 개선책 189
가. 제도적인 원인 189
나. 투입재의 부족 192
다. 재배 기술의 상대적 후진성 196
라. 농지기반 조성과 관개시설 복구 200
4. 맺는 말 203
참고문헌 206
제5장 한국의 해외농업 개발현황과 문제점
1. 해외 농업개발의 필요성 210
가. 우리나라 식량작물 생산과 수입 211
나. 세계 주요 곡물의 수확면적과 생산량 216
다. 곡물의 국제무역과 국내도입 219
라. 국제 곡물가격의 동향 222
2. 해외 농업 진출의 현황 225
가. 북방아시아 229
나. 동남아시아 232
다. 중앙아시아 237
라. 기타지역 238
3. 진출지역 농업개발의 문제점 240
가. 투자국과 기지국과의 토지 임차관계 240
나. 해외생산의 농산물 도입 243
4. 맺는 말 245
참고문헌 249
부록: 세계의 역사적 기아에 관한 기록과 조선왕조의 대기근
1. 기근(飢饉)의 원인과 측정 254
가. 기근과 기아(饑餓)의 정의 254
1) 자연적인 재해 254
2) 물리·인위적 원인 256
나. 기근의 측정: 세계기아지수(Global Hunger Index: GHI) 256
2. 세계의 역사적 기근에 관한 기록들 260
가. 세계의 역사적인 기근 260
1) 아일랜드(Ireland) 대기근 260
2) 우크라이나(Ukraine)의 홀로도모르(Holodomor) 264
3) 중국 허난성(河南省) 대기근 266
4) 마오쩌둥(毛澤東)의 대약진 운동(1958~1962) 269
5) 상트페테르부르크(레닌그라드) 공방전 271
6) 일본의 에도(江戶) 4대 기근 273
나. 세계의 주요 기근 발생 연표 274
3. 조선왕조의 기록적인 기근 278
가. 경신 대기근 278
나. 을병 대기근 279
4. 맺는 말 283
참고문헌 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