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에서는 두 가지 문제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왜 어떤 의미범주는 반드시 동사복사구문 형식을 취해야 되는가? 둘째, 많은 학자들이‘賓補爭動’설을 주장하였다. 그렇다면, 한 동사가 빈어와 보어를 동시에 지니고 있다면 반드시 동사복사구문 형식을 취해야 된다는 것인데, 이와 같은 주장이 과연 맞는가에 대한 검증을 하려고 한다.
Contents
이 책을 내면서 3
감사의 글 7
제1장 서론 13
1. 연구 동기와 목적 13
2. 선행연구 검토 24
3. 연구 범위와 방법 36
제2장 현대중국어 동사복사구문의 통사구조 및 의미 분류 기준 39
1. 동사복사구문의 정의 40
2. 동사복사구문의 통사구조 43
3. 동사복사구문의 사용조건 49
4. 동사복사구문의 의미 분류 기준 53
1) 범주화 이론 55
2) 의미 분류 기준 57
제6장 현대중국어 동사복사구문의 생성기제 153
1. 통사적인 제약 153
2. 의미적인 제약 155
3. 발화환경의 제약 166
1) 문맥의 연관성에 의해 제약을 받는 경우 167
2) 문맥의 연관성에 의해 제약을 받지 않는 경우 175
제7장 결론 177
참고문헌 181
中文摘要 193
Author
양염려
2001∼2004 중국 루동(魯東)대학교 중문학과 문학석사
2012∼2017 한국 고려대학교 문학 박사
2004∼ 중국 루동(魯東)대학교 국제교육대학 전임교수
2005∼2006 한국 국립군산대학교 객원교수
2010∼2011 한국 원광대학교 객원교수
연구 영역:
유학생 대상으로 중국어 교육
중한 언어 및 문화 비교
연구실적: 논문 다수(중국,한국), 교육 사전 2부 집필, 국가급, 성(省)급 연구 프로젝트 다수 개를 주도하거나 참여
2001∼2004 중국 루동(魯東)대학교 중문학과 문학석사
2012∼2017 한국 고려대학교 문학 박사
2004∼ 중국 루동(魯東)대학교 국제교육대학 전임교수
2005∼2006 한국 국립군산대학교 객원교수
2010∼2011 한국 원광대학교 객원교수
연구 영역:
유학생 대상으로 중국어 교육
중한 언어 및 문화 비교
연구실적: 논문 다수(중국,한국), 교육 사전 2부 집필, 국가급, 성(省)급 연구 프로젝트 다수 개를 주도하거나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