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판본(完板本)은 조선시대에 전라북도 전주에서 인쇄·출판을 담당하던 출판인과 인쇄인들이 지은 이름이다. 전주의 옛 이름인 완산에서 출판한 책이란 뜻으로 ‘완판(完板)’이란 이름으로 불렀다. 당시 서울에서 발행된 경판본과 쌍벽을 이루면서 조선시대와 개화기시대 우리나라 인쇄·출판문화를 이끌게 되었다. 이 ‘완판본 인쇄·출판의 문화사적 연구’는 완판본 옛 책 전반을 문화사적인 관점으로 다루는 책이다. 이 책은 전라북도의 인쇄·출판에 대한 문화사를 지역학적 관점으로 서술하였다. 특정 지역의 역사와 문화는 그 지역을 자세히 이해하는 바탕 위에서 기술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전북의 역사와 문화를 바탕으로 기술하려고 노력하면서도, 서울의 경판본, 경기의 안성판본, 대구의 달성판본과의 구조 안에서 이해하려고 노력하였다.
Contents
제1부 완판본과 전북 전주(완산)
제1장 완판본(完板本)의 개념과 범위 15
1. 개념의 다양성 15
2. ‘完山’(전주)의 변천과정과 ‘完’ 16
3. ‘완판본(完板本)’의 개념 21
4. 완판본 개념의 확대 41
5. 결론 58
제2장 완판 방각본 출판과 문화적 배경 63
1. 완판본과 방각본(坊刻本) 63
2. 전라감영, 전주부, 태인의 출판 문화 65
3. 상업 출판의 촉진 75
4. 전라 지역의 문화적 배경 79
5. 결론 88
제2부 전라감영·전주부(全州府)와 완판본의 발달
제3장 전라감영(完營)과 지방감영의 출판 연구 95
1. 감영과 책 95
2. 지방 감영의 위상과 책 출판의 의의 97
3. 기존 연구에서 지방감영의 책 출판 현황 110
4. 전라감영과 전주부(全州府)의 책 출판 120
5. 결론 140
제4장 전라감영의 인쇄문화와 완영(完營) 책판 145
1. 관찰사의 역할 145
2. 한국의 인쇄문화 146
3. 전라감영과 완영본 151
4. 전라감영과 전주부의 관계 172
5. 완영 책판과 그 의미 180
6. 완판 방각본의 발달 189
7. 결론 198
제3부 완판본과 전북의 교육
제5장 희현당 철활자의 탄생 배경에 대한 연구 205
1. ‘희현당 철활자’에 대한 견해 205
2. 희현당 철활자와 옛 책의 종류 207
3. 희현당 철활자의 탄생 배경 221
4. 결론 237
제6장 완판본 출판에서 태인방각본의 역할 243
1. 방각본(坊刻本) 243
2. 방각본의 개념과 범위 244
3. 태인방각본의 종류와 그 특징 253
4. 태인방각본 출판의 시대적 배경 269
5. 결론 275
제4부 완판본과 전북의 정신
제7장 완판본 출판과 지역민의 의식세계 281
1. 전북과 전주 281
2. 士大夫들의 책과 의식세계 283
3. 四書三經 출판과 유교적 의식세계 291
4. 판매용 책에 나타난 의식세계 296
5. 종교 서적에 나타난 의식세계 308
6. 결론 313
제8장 완판사찰본과 전북의 문화사 319
1. 불경의 간행 319
2. 전북 완주 소양·용진·상관·장파면과 완판사찰본 321
3. 전북 완주 고산면과 완판사찰본 327
4. 전북 정읍 산내면과 용장사(龍藏寺) 340
5. 전북 김제와 사찰본 342
6. 전북 고창 문수사(文殊寺)와 선운사(禪雲寺) 344
7. 전북 전주와 사찰본 345
8. 결론 348
제5부 완판본의 간행과 기록
제9장 완판본에 나타난 간행 기록(刊記)의 특징 355
1. 간행기록(刊記)이란 무엇인가? 355
2. 완판본 간기의 특징 357
3. 완판본 옛 책별 간기의 특징 380
4. 중국, 일본 방각본 간기의 특징 393
5. 결론 398
제10장 완판본의 배지(표지 뒷면)에 나타난 인쇄의 특징 403
1. 배지(褙紙)란 무엇인가? 403
2. 『朱子書節要』의 褙紙를 통한 연대 추정 405
3. 배지에 나타난 태인본의 전주 출판의 특징 407
4. 완판 방각본 배지의 특징 414
5. 결론 432
색인 437
Author
이태영
전라북도 전주에서 태어남.
전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전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전라북도 문화재 위원.
전주완판본문화관 운영위원.
국립새만금간척박물관 자료수집관리위원회 위원.
전북대학교 박물관장 역임.
전주역사박물관 운영위원 역임.
전주시 기록물관리위원회 위원 역임.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심의위원 역임.
한국어지식대사전 편찬위원 역임.
국립한글박물관 개관준비위원 역임.
겨레말큰사전 편찬위원 역임.
국어문학회·한국언어문학회 회장 역임.
국어사학회 회장 역임.
전라북도 전주에서 태어남.
전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전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전라북도 문화재 위원.
전주완판본문화관 운영위원.
국립새만금간척박물관 자료수집관리위원회 위원.
전북대학교 박물관장 역임.
전주역사박물관 운영위원 역임.
전주시 기록물관리위원회 위원 역임.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심의위원 역임.
한국어지식대사전 편찬위원 역임.
국립한글박물관 개관준비위원 역임.
겨레말큰사전 편찬위원 역임.
국어문학회·한국언어문학회 회장 역임.
국어사학회 회장 역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