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의 박사학위 논문은 영남 지역에서 간행된 한글 문헌을 분석하여 음운사의 관점에서 연구한 것이었다. 공시적 방언 연구에서 통시적 방언 연구로 넘어간 것이다. 영남에서 나온 한글 문헌의 음운론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서울 등 타지에서 간행된 문헌의 언어와 비교했다. 박사학위 논문을 쓴 후에는 국어사 문헌 전반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고, 연구 대상이 자연스럽게 확대되어 갔다. 이러한 연구 과정에서 국어사와 방언사를 관련지어 고찰한 글을 여러 편 쓰게 되었다. 여기에 실린 글들은 저자가 발표했던 논문을 모은 것이다. 처음 발표한 논문에서 펼친 논지 전개는 손대지 않았으나 문장 표현이 어색한 곳은 표현을 다듬고 수정한 부분이 적지 않다.
Contents
제1부 경상방언의 현장 조사 연구
성조와 움라우트 · 19
―성주·금릉 지역어를 중심으로
1. 성조와 움라우트의 상관성 문제 19
2. 방언 자료 분석을 통한 검증 22
3. 요약 35
국어 성조의 문법적 식별 기능 · 37
1. 연구의 필요성 37
2. 중세국어와 경상방언에 나타난 성조의 기능 38
3. 연구의 의의 및 요약 58
상주 화북지역어의 음운론적 특징 · 61
1. 연구 대상 지역과 제보자 61
2. 음운 체계와 음운 현상 분석 63
3. 요약 85
낙동강 하구 을숙도 주변 지역의 식물 어휘 연구 · 87
1. 현지 조사와 제보자 87
2. 식물 어휘 분석 90
3. 식물 어휘의 다양성 확보를 위한 제언 116
지방지의 언어문화편 작성을 위한 새로운 모델 연구 · 119
1. 서론 119
2. 기존 지방지 방언편의 실태 분석 123
3. 새로운 언어문화편 작성을 위한 기본 방향 134
4. 새로운 언어문화편의 내용과 구성 139
5. 마무리-새로운 모델 개발을 기대함 145
경상방언의 모음체계와 모음중화 · 201
1. 연구의 목적과 방법 201
2. 공시적 모음체계의 차이와 통시적 설명 203
3. 마무리 221
경상방언의 형성과 분화 · 223
1. 한국어의 형성과 경상도 지역 223
2. 경상도의 성립과 경상방언의 형성 226
3. 방언차에 대한 인식과 문헌상의 기록 235
4. 성조에 의한 경상방언의 분화 240
5. 마무리 243
영남방언의 통시적 변천 · 245
1. 경상도의 형성과 영남방언권의 성립 247
2. 영남방언 관련 문헌에 대한 몇 가지 수정과 보완 249
3. 영남방언의 음운 변화-방언적 특징과 관련된 현상을 중심으로 256
4. 영남방언의 문법 형태 278
5. 영남방언의 어휘 292
6. 맺음말 309
영남 문헌어에 반영된 방언적 문법형태에 대하여 · 377
1. 방언형태사 연구의 필요성 377
2. 조사 378
3. 용언의 어미 388
4. 앞으로의 과제 408
영남 문헌어에 반영된 방언 어휘 연구 · 409
1. 서론 409
2. 영남 문헌어에 반영된 방언형 411
3. 마무리 435
영남 지역 국어사 자료의 연구 성과와 연구 방향 · 437
1. 영남 지역 국어사 자료의 현황 437
2. 영남 지역 한글 문헌에 대한 연구 성과 445
3. 연구의 방법과 방향 451
4. 마무리 480
제4부 평안방언과 현대 북한어의 언어 정체성 연구
평안방언의 ㄷ구개음화 미실현과 지역 정체성 형성의 상관성 · 483
―ㄷ구개음화 미실현의 원인에 대한 새로운 설명
1. 들어가기 483
2. 평안방언 자료 분석 484
3. ㄷ구개음화 미실현의 원인에 대한 설명 500
4. 결론 516
북한 문화어의 어두 ㄹ, ㄴ 규정을 통해서 본 언어 정체성 구축과 차별화 방식 연구 · 519
1. 서론 519
2. 선행 연구 523
3. 북한 문화어의 어두 ㄹ, ㄴ 실현 529
4. 정체성 구축과 언어적 차별화 548
5. 결론 및 전망 555
참고문헌 · 559 / 찾아보기 · 587
Author
백두현
1955년 경북 성주(星州) 연산 마을 출생. 경북대학교에서 대학과 대학원을 마치고 1990년 2월에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성대학교 부교수를 거쳐 현재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영남 문헌어의 음운사 연구』, 『석독구결의 문자체계와 기능』, 『현풍곽씨언간주해』, 『음식디미방주해』, 『한글문헌학』, 『현장 방언과 문헌 방언 연구』 등의 학술서와 『경상도 사투리의 말맛』, 『한글편지로 본 조선시대 선비의 삶』, 『한글편지에 담긴 사대부가 부부의 삶』 등의 교양서를 출간했다. 국어사와 훈민정음, 석독구결과 고대국어 자료, 한글 문헌과 어문생활사 등에 관련된 130여 편의 연구 논문을 발표하였다.
1955년 경북 성주(星州) 연산 마을 출생. 경북대학교에서 대학과 대학원을 마치고 1990년 2월에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성대학교 부교수를 거쳐 현재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영남 문헌어의 음운사 연구』, 『석독구결의 문자체계와 기능』, 『현풍곽씨언간주해』, 『음식디미방주해』, 『한글문헌학』, 『현장 방언과 문헌 방언 연구』 등의 학술서와 『경상도 사투리의 말맛』, 『한글편지로 본 조선시대 선비의 삶』, 『한글편지에 담긴 사대부가 부부의 삶』 등의 교양서를 출간했다. 국어사와 훈민정음, 석독구결과 고대국어 자료, 한글 문헌과 어문생활사 등에 관련된 130여 편의 연구 논문을 발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