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사과를 보면서 왜 ‘빨갛다’고 생각할까? 그 이유는 사과가 반사하는 빨간색 빛을 눈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보고 있는 것은 빛이다. 빛이 없으면 우리는 아무것도 볼 수 없다.
빛(전자기파)에는 우리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 외에도 전파·적외선·자외선·X선·감마선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빛은 물속에서 꺾이고 프리즘을 통과하면 여러 색으로 나뉘며, 물체를 데우고 정보를 전달하는 등 실로 독특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런 빛의 성질을 우리는 일상에서 끊임없이 접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먼저 빛의 굴절·분산·반사·간섭·산란 등 빛의 기본적인 성질을 알아본다. 그리고 우리에게 없어서는 안 될 존재이면서도 의외로 잘 알려지지 않은 빛의 신비한 성질과 그 정체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아본다. 책의 후반부에서는 광촉매, 블루레이, 광통신 등 빛의 응용 기술도 함께 소개한다.
Contents
빛과 색
2 태양의 빛은 많은 색으로 이루어져 있다!
4 모든 색은 단 3가지 색으로 만들어진다
6 눈 속에는 빨간색·초록색·파란색의 센서가 있다
8 빛의 색은 3색을 더하면 하얀색, 물감의 색은 3색을 더하면 검은색
10 색의 차이를 만드는 것은 무엇일까
빛의 성질
12 물로 들어간 빛은 왜 꺾일까?
14 안경을 쓰면 잘 보이는 까닭은?
16 무지개가 일곱 빛깔로 보이는 비밀
18 왜 거울에 자신의 모습이 보일까?
20 왜 사과는 빨간색으로, 잎사귀는 초록색으로 보일까?
22 왜 낮의 하늘은 파랗고 석양의 하늘은 붉을까?
24 비눗방울의 신기한 색은 어떻게 생길까?
26 빛은 좁은 틈 끝에서 퍼져 나간다
28 빛이 ‘파동’임을 어떻게 알았을까?
빛의 정체
30 가시광선과 자외선, 전파는 같은 무리
32 빛은 자연계에서 가장 ‘빠르다’
34 빛과 같은 속도를 지닌 ‘전자기파’는 무엇일까?
36 안테나는 어떻게 전파를 내보낼까?
38 전자레인지가 음식물을 데우는 원리는?
40 우리 몸에서 적외선이 나오고 있다
42 밤하늘에 빨간 별과 파란 별이 있는 이유는?
44 불꽃은 왜 여러 가지 색으로 빛날까?
46 전자는 ‘아래’ 궤도로 이동할 때 빛을 방출한다
48 투명한 물질은 다른 물질과 무엇이 다를까?
50 빛은 파동? 아니면 입자?
빛의 이용
52 식물은 빛을 이용해 영양분을 만든다
54 셀프 클리닝 효과를 내는 광촉매
56 에너지를 절약하는 LED 전구의 메커니즘은?
58 DVD나 블루레이에는 레이저광이 활약하고 있다
60 고속통신에 이용되는 광섬유는 어떻게 빛을 전달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