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역사는 형제 살육의 역사이자 이웃과의 갈등과 전쟁의 기억으로 점철되어 있다. 나와 다른 개인 그리고 소속된 집단 외부의 대상과 끊임없이 대결하고 상쟁하는 가운데, 우리는 불구대천의 원수를 만들기도 하고 또 누군가의 원수가 된다. 그렇게 쌓인 적개심과 원한이 만들어낸 괴롭고 답답한 기억의 사슬에서 자유로운 사람은 하나도 없다. 연결이 심화되고 세계가 점점 더 가까워지고 있다고 하지만, 차별과 혐오로 인한 폭력과 전쟁에 관한 소식이 하루가 멀다 하고 전해진다. 분명 현실이 이럴진대 용서, 화해, 치유, 이해, 공존, 평화라는 가치는 과연 실현 가능한 것인가?
인간성 안에 작동하는 잔인한 공격성과 타자약탈적 악을 응시하면서 이런 질문에 대해 답을 찾으려 노력하는 학자들이 『용서와 화해 그리고 치유』라는 책을 세상에 내놓았다. 철학, 교육학, 역사학, 정치 사회학, 신학 등을 아우르는 다양한 학문 분야의 저자 13명이 이음사회문화연구원과 미래사회연구원을 중심으로 모여, “용서와 화해 그리고 치유”라는 주제에 대해 각 분야에서 진행되어온 논의를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실에서 우리가 적용할 수 있는 갈등의 보편적 해결 방법을 풀어놓은 결과물이다.
우선 이 책의 1부(“학문적으로 본 용서와 화해 그리고 치유”)에서는 철학, 심리학, 역사학, 정치 사회학, 법학의 관점에서 용서와 화해 개념 및 현실 사례를 다루고 치유에 이르기 위한 과정과 필요 요건 등을 면밀히 살핀다. 2부(“종교적으로 본 용서와 화해 그리고 치유”)에서는 불교와 기독교의 관점에서 용서와 화해를 다룬다. 각 저자들은 해당 종교의 관점에서 강조하는 “용서”와 “화해”의 가치를 바탕으로, 그것을 삶에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3부(“용서와 화해 그리고 치유의 역사”)에서는 미국의 인종 갈등과 혐오 문제, 독일의 과거사 극복, 한국의 위안부와 같이 용서와 화해를 통해 치유가 이루어진 역사적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현재에 필요한 지혜를 살피고 미래의 전망을 그린다. 4부(“현실의 갈등 그리고 용서와 화해”)에서는 한국사회의 분단, 재벌 범죄 및 젠더 이슈와 세대 이슈를 상세히 분석함으로써 대한민국이 직면한 구체적인 현안을 다룬다.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는 저자들은 독립적이면서도 유기적인 주제로 시공간을 넘나들며 용서, 화해, 치유를 모색해온 개인과 집단의 노력을 찬찬히 살핀다. 각 저자의 글을 하나씩 읽다 보면 용서와 화해 그리고 치유야말로 기독교인이 세상 학문 및 종교적 기반이 없는 시민들과 연대하여 사회적 진보와 선을 창출할 수 있는 주제임을 깨닫게 된다. 또한 갈등하는 적대적 쌍방을 화해시키려고 애쓴 이전 세대들의 노력의 흔적을 통해 기독교 복음의 핵심인 “용서와 화해”의 의미를 되새기게 됨으로써 “화평케 하는 하나님의 자녀들”이라는 소명에 다시금 눈뜨게 될 것이다. 더불어 사는 사회를 이루고자 하는 소망을 지닌 사람들, 용서와 화해라는 가치에 대한 믿음을 다짐으로써 일상의 삶에 평화의 씨앗을 뿌리길 원하는 사람들이라면 이 책을 통해 작은 희망의 불씨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편집자 서문
[제1부 학문적으로 본 용서와 화해 그리고 치유]
아킬레우스의 분노에서 아이히만 재판까지: 복수와 용서 개념의 지형도│오유석
용서를 통한 학교 폭력의 악순환 끊어내기: 체계적인 용서와 화해의 과정을 통한 치유와 외상 후 성장│오영희
과거의 부정적 집단 갈등 경험 다루기: 정치 사회학의 관점에서 보는 용서와 화해│김병로
세계 현대사 속 과거사 청산과 역사 화해의 노력들: 세계 과거사 청산의 역사│고재백
법과 용서: 법철학의 관점에서 본 법과 용서│오민용
[제2부 종교적으로 본 용서와 화해 그리고 치유]
불교 사상에 나타난 자비, 인욕, 용서: 용서의 개념으로 불교를 살펴본다│이병욱
“사랑하라. 그리고 행동하라”: 기독교의 용서·화해·치유│성신형
[제3부 용서와 화해 그리고 치유의 역사]
땅 40에이커와 노새 한 마리: 인종 간 화해를 둘러싼 미국 사회의 논쟁│진구섭
나치의 망령에서 벗어나기: 독일의 과거사 극복과 역사적 화해│최성철
한국과 일본 사이의 역사 갈등과 화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중심으로│정재정
[제4부 현실의 갈등 그리고 용서와 화해]
서로 인정하고 먼저 다가서기: 남과 북이 서로 화해하려면│이찬수
경제 분야의 용서와 화해: 재벌 범죄의 유전무죄 무전유죄 사례 분석│이창민
공존의 기예: 젠더와 세대를 다시 생각한다│김선기
저자 소개(가나다순)
책임 편집자 소개
Author
고재백,김병로,김선기,성신형,오민용,고재백,오유석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인디애나 주립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학 석사학위를, 럿거스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및 북한연구실장을 거쳐 아세아연합신학대 교수 및 북한연구소장, 중국연변과학기술대학 겸임교수, 국방부·국가정보원·KBS 자문위원 및 북한연구학회 제22대 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정책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Two Koreas in Development(1992), 『개성공단: 공간평화의 기획과 한반도형 통일프로젝트』(2015, 공저), 『분단 폭력』(2016, 공저), 『북한, 조선으로 다시 읽다』(2016), 『다시 통일을 꿈꾸다』(2017), 『탈사회주의 체제전환과 북한의 미래』(2018, 공저) 등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인디애나 주립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학 석사학위를, 럿거스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및 북한연구실장을 거쳐 아세아연합신학대 교수 및 북한연구소장, 중국연변과학기술대학 겸임교수, 국방부·국가정보원·KBS 자문위원 및 북한연구학회 제22대 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정책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Two Koreas in Development(1992), 『개성공단: 공간평화의 기획과 한반도형 통일프로젝트』(2015, 공저), 『분단 폭력』(2016, 공저), 『북한, 조선으로 다시 읽다』(2016), 『다시 통일을 꿈꾸다』(2017), 『탈사회주의 체제전환과 북한의 미래』(2018, 공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