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과 권력

한국 대학 100년의 역사
$20.52
SKU
979116080110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4/17 - Wed 04/2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4/14 - Wed 04/1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02/12
Pages/Weight/Size 153*226*30mm
ISBN 9791160801101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한국 현대사 최초의 대학사 연구서!
지성사·학술사의 출발점이자
대학의 미래를 읽기 위한 한국 대학의 역사


한국의 대학은 언제부터 시작되었으며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이 책은 한국 현대사 최초로 대학 형성되기 시작했던 식민지 시기부터 1990년대까지 대학권력-국가권력-시장권력이라는 키워드로 한국 대학의 역사를 보여준다. 현재 대학의 현실과 대학이 나아가야 할 미래를 설계하기 위해 대학사 100년을 돌아보며 한국 대학의 문제점과 해결점을 살펴본다. 에필로그에는 김영삼 정부 이후 신자유주의, 그리고 자본과 결탁한 대학의 현 상황을 돌아보며 어떻게 하면 ‘위기의 대학’에서 벗어날 수 있을지 그 대안을 모색한다.
Contents
프롤로그_대학사 연구의 출발점에서

1부 타율의 긴 그림자, 대학의 탄생
1장 식민권력이 만든 관학, 경성제국대학
대학 설립의 모색과 좌절 | 식민권력, 대학 설립에 나서다 | 조선제국대학에서 경성제국대학으로 | 제국대학과 식민지 대학 ‘사이’ | 전쟁의 도구가 된 대학 | 환영받지 못한 타자 | 경성제국대학 밖, 조선인을 위한 고등교육

2장 대학 재건과 개조의 권력, 미국
미군정, 미국식 대학 모델을 심다 | 사립대학 인가와 국립대학 설립 | 미국의 대학교육 원조 | ‘아메리칸 드림’의 실현, 미국 유학 | 미국화의 거점이 된 대학

2부 사학 주도 대학권력의 형성
1장 국가의 방관 속에 성장한 사립대학
고등교육 기회의 확대 | 전쟁 속 대학의 성장 | 대학을 세우자, 학생을 늘리자 | 정부 위의 사립대학 | 4·19 직후 학원 민주화운동

2장 사학 중심 대학권력의 탄생
대학교육을 재건한 사학 3인방 | 대학설립운동과 기업주의 | 대학교육의 이념, 반공 | 대학혁신론=사립대학 개혁론

3부 국가 주도 대학교육 시대의 개막
1장 근대화정책과 대학 근대화
근대화정책과 대학교육 | 대학 근대화의 방향 | 군사정부의 대학 정비 | 대학 운영 관리에 나선 국가 | 사립대학에 대한 통제와 지원 | 이공계 중심의 대학 근대화

2장 국가 주도형 대학 개혁, 실험대학
국립·지방·이공계 위주의 대학정원정책 | 국가가 주도하는 대학 개혁 | 타율적 개혁, 실험대학 | 실험대학이 남긴 것 | 서울대 종합화 10개년 계획과 실험대학 | 대학 자율화를 둘러싼 갈등

4부 시장권력에 포섭된 대학
1장 대학교육의 대중화와 대학 민주화
대학교육 대중화의 바람 | 대학원교육의 부침 | 대학 평가 시대의 도래 | 민주화의 길 | 대학 자율화의 바람 | 사학을 위한 정부

2장 대학교육 보편화와 시장주의적 대학 개혁
대학교육 보편화의 시대 | 5·31교육개혁과 대학 | 신자유주의 시대, 세계의 대학 개혁 | 평가에 따른 재정 선별 지원 | 시장권력의 진출, 시장 논리의 전면화 | 대학 위기 담론이 나아갈 길

에필로그_위기의 대학, 탈출구는 있는가
본문의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김정인
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한국 근대사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지금은 춘천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에서 예비 교사들에게 한국사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한국 근현대 민주주의 역사와 현대 대학사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민주주의를 향한 역사』, 『독립을 꿈꾸는 민주주의』, 『오늘과 마주한 3·1운동』, 『대학과 권력』, 『역사전쟁, 과거를 해석하는 싸움』 등이 있습니다. 초등학생들이 어려워하면서도 궁금해하는 역사를 어떻게 하면 즐겁게 공부할 수 있을까 고민하면서 이 책을 썼습니다.
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한국 근대사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지금은 춘천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에서 예비 교사들에게 한국사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한국 근현대 민주주의 역사와 현대 대학사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민주주의를 향한 역사』, 『독립을 꿈꾸는 민주주의』, 『오늘과 마주한 3·1운동』, 『대학과 권력』, 『역사전쟁, 과거를 해석하는 싸움』 등이 있습니다. 초등학생들이 어려워하면서도 궁금해하는 역사를 어떻게 하면 즐겁게 공부할 수 있을까 고민하면서 이 책을 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