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동아시아 사회에서 보이는 이주 관련 현상과 문제들 역시 국가성과 초국가성의 길항적 작용에서 발로하는 면이 강하다. ‘국가’는 제도적으로 명시되는 요소뿐 아니라 오랜 기간의 경험과 사고 속에 형성된 구성원의 인식과 의식을 포함한다. 동아시아 역내 국가 구성원 간의 상호인식은 물론, 한국의 ‘조선족’ 주민, 일본의 ‘자이니치(在日)’ 주민과 같이 오랜 기간 공존해온 이주자에 대한 포용과 배제를 둘러싼 갈등은 근현대의 역사적 경험에서 축적된 상호 관계와 인식에서 기인한다. 이 책은 오늘날 동아시아 사회에서 진행되고 있는 이주 관련 현상(現狀)의 맥락을 확인하고 논쟁과 갈등의 해결 방향을 찾아가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근현대 동아시아 사회와 이주의 관계를 짚어본다.
Contents
발간사
머리말 〈이주, 근현대 동아시아 사회와 관계를 보는 창〉
제1부 | 근대 동아시아의 이주와 사회 : 이민과 식민의 시대, 동아시아 사회의 확장
1. 근대 동북아시아의 역내 이주와 이주자의 구성
2. ?근대 동아시아 해역사회의 일본인 이주와 일본불교: 근대 일본 제국의 식민지 형성과정과 일본불교의 사회적 역할
3. 일제시기 조선인의 밀항 실태와 밀항선 도착지
4. ?경계, 침입, 그리고 배제: 1946년 콜레라 유행과 조선인 밀항자
5. ?항해하는 질병: 지중해, 흑해, 동아시아에서 발생한 콜레라와 영국 해군의 작전, 1848-1877
제2부 | 근현대 동아시아 이주의 역사적 맥락 : 이주의 시공간적 확장과 사회의 재구성
6. ?이민과 관광: 와카야마현 아메리카무라와 뿌리 찾기 관광
7. ?오사카 코리아타운과 서울 가리봉동: 두 에스닉타운 커뮤니티의 과거와 현재
8. 부산 사할린 영주귀국자의 이주와 가족
9. ?‘다민족 일본’의 고찰: 일본 외국인 주민의 역사와 경계문화의 가능성
10. 동아시아 무국적자와 복수국적자의 정체성
11. 동아시아의 난민 정책과 베트남난민 수용
제3부 | 현대 동아시아의 이주와 사회 : ‘새로운’ 이주, 변화하는 사회·공간·인식
12. ?한국인의 중국 이주와 사회변동: 1990년부터 2020년까지
13. ?중국의 국제결혼과 결혼이주 메커니즘: ‘동북형’ 국제결혼과 동아시아적 의미
14. 현대 중국의 새로운 도시화와 국내이주
15. 20세기 일본의 도시 이주와 대중식당업
16. ?또 하나의 이주자-선원과 한국 사회: ‘순직선원위령탑’을 둘러싼 지역사회 인식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