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한국전쟁기 북한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를 중심으로 진행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미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에 소장된 한국전쟁기 미군이 북한으로부터 빼앗은 북한노획문서 안에는 다수의 북한신문자료들이 포함되어 있다. 북한신문자료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방대한 북한노획문서 안에 자료들이 산재해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 누구도 정확하게 그 분량, 내용, 전모를 파악하기 곤란했다. 2018~2021년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지원으로 이를 수집·정리·해제·데이터베이스화하는 연구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예비조사를 통해 자료의 대강을 파악한 후, 자료를 수집하면서 동시에 정리·해제·데이터베이스화하는 작업이 진행되었다. 형형한 안목으로 북한노획문서와 북한신문자료를 활용할 연구자들에게 일비(一臂)의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책을 펴내며 中
Contents
책을 펴내며
총론
제1부 연구편
한국전쟁기 미군이 노획한 ‘북한노획문서’의 구성과 특징 | 정병준
Ⅰ. 머리말
Ⅱ. 한반도에서 노획되어 일본에서 분류·정리된 북한노획문서
1. 북한노획문서의 목록·해설서·계층
2. 한국 최고 엘리트가 작성한 「북한노획문서 목록 및 간략해설」
Ⅲ. 북한노획문서(舊노획문서)의 시기적 범위와 내용
Ⅳ. 선별노획문서(新노획문서)의 공개와 특징
Ⅴ. 북한노획문서의 수집·간행 현황
Ⅵ. 맺음말
한국전쟁기 미군이 노획한 북한노획문서 중 북한신문자료의 유형과 특징 | 정병준
Ⅰ. 머리말
Ⅱ. 북한노획문서 중 북한신문자료의 조사 및 신문목록
Ⅲ. 북한노획문서 중 북한신문자료의 유형
1. 1945~1953년간 북한에서 간행된 신문류
1) 조선로동당 관련 신문 / 2) 인민위원회 관련 신문 / 3) 로동당·인민위원회 통합신문
4) 각 직종·부문 신문 / 5) 소련(군) 발행 신문
2. 1950~1951년 한국전쟁 북한점령기 남한에서 간행된 신문류
1) 조선로동당 관련 신문 / 2) 인민위원회 관련 신문 / 3) 빨치산 신문
3. 한국전쟁기 북한군 군사신문류
4. 기타 신문들
Ⅳ. 맺음말 : 북한노획문서 중 북한신문자료의 중요성과 특징
DMZ 접경지역과 북한의 전후 복구 | 한모니까
Ⅰ. 머리말
Ⅱ. 북한의 정전(停戰) 평가와 접경지역 인식
1. ‘기다리던 정전’과 ‘승리의 땅’
2. 정전 명령과 정전의 공고화
Ⅲ. 북한의 접경지역 정책과 전후 복구
1. 전시 ‘전선지구’(戰線地區) 정책과 지역 주민의 전선 원호
2. 전후 ‘비무장지대 분계선 인접 지역’ 복구
3. 사례 : 개성 덕암리와 철원 삭녕리의 전시 경험과 농업협동화
Ⅳ. 맺음말
선전의 폭탄과 ‘해방전사’: 한국전쟁기 북한의 심리전 수행방식과 인적 심리전 | 김선호
Ⅰ. 머리말
Ⅱ. 적군와해 조직사업과 포로를 통한 심리전
1. 북한의 포로정책과 심리전
2. 포로를 통한 심리전의 수행
Ⅲ. 적군와해 선전선동사업과 삐라·함화를 통한 심리전
1. 적군와해 삐라사업의 체계와 방법
2. 적군와해 함화사업의 방법과 대상
Ⅳ. 맺음말
미군노획문서로 읽는 해방 이후 북한 여성 수행성의 조건들과 ‘봉건성’ | 한봉석
Ⅰ. 머리말
Ⅱ. [강원로동신문], [강원인민보], [개성신문]과 여성 호명의 내용들
Ⅲ. 봉건성의 내용과 여성 수행성의 조건들
1. 두 종류의 ‘봉건성’
2. 남녀평등법 통과의 의의 및 한계
3. ‘공창제’ 폐지의 의미 : 현모양처 담론 구조의 파괴
4. 전후 수복지구와 ‘봉건성’ 해석의 후퇴
Ⅳ. 맺음말
조선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북한정치사를 전공했으며, 한국전쟁과 북한정치와 관련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대표논저로 『북한 국가의 형성과 소련』, 『Understanding North Korea: Indigenous Perspectives』(공저), 「해방 후 북한 반소반공운동의 실상」 등이 있다.
조선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북한정치사를 전공했으며, 한국전쟁과 북한정치와 관련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대표논저로 『북한 국가의 형성과 소련』, 『Understanding North Korea: Indigenous Perspectives』(공저), 「해방 후 북한 반소반공운동의 실상」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