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주의, 전쟁, 군 위안부

$27.00
SKU
979116068090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7/05/20
Pages/Weight/Size 152*225*20mm
ISBN 9791160680904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2015년 12월 28일 한일 정부는 위안부 문제에 대해 합의를 이루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갑작스레 발표된 양국 정부 간의 이 합의는 그간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에 심혈을 기울이며 꾸준히 노력해왔던 많은 사람들이 바라던 바와 너무나 거리가 먼 것이었다. 피해 당사자들이 납득하지 못하는 합의의 내용은 큰 실망을 안겨주었다. 그리고 이 문제 해결에 미국이 깊이 관여한 것을 보면, 이 문제가 결코 지나간 과거의 역사가 아니라 현재를 사는 우리와 관련되는 문제라는 것도 확인된다. 이와 같이 위안부 문제를 시간과 공간 축의 큰 틀에서 보기 위해서는 식민주의와 전쟁, 군위안부라는 세 가지 코드를 중심으로 두어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과거와 현재의 담론 속에 가려져 있는 위안소의 존재 형태를 시대별, 지역별로 밝혀가면서 피해자의 인권을 회복할 수 있는 해결 방안을 찾아야 한다. 그런 학문적인 규명과 정의 정립을 위한 시민사회의 구축이 있어야만 궁극적인 해결과 화해가 이루어질 것이다.
Contents
[총론] 책 간행의 경위와 우리가 향하는 지평

1부 군위안부 제도의 역사적 규명 노력

01. 일본에서의 위안부 문제 연구 현황과 과제 |송연옥|
1. 들어가며
2. 위안부를 상기시켜온 일본 현대사
3. 위안부 문제 해결 운동이 걸어온 4반세기
4.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학문적 연구 성과와 과제

02. 일본군 위안소 제도와 조선인 군위안부에 대한 이해 및 한국 사회의 과제 |윤명숙|
1. 들어가며
2. 용어에 대해서
3.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인식의 문제
4. 구라하시 마사나오의 위안부 정의: ‘성노예형’과 ‘매춘부형’을 중심으로
5. 일본군에 의한 성폭력 유형
6. 일본군 위안소 제도 및 조선인 군위안부를 둘러싼 두 가지 쟁점
7. 나가며

03. 북한의 ‘위안부’ 문제와 일본의 식민주의 |김 영|
1. 한일 정부 ‘합의’를 둘러싼 또 하나의 목소리
2. 북한의 증언자가 나올 때까지
3. 남북 공동 운동
4. 전 ‘위안부’ 정옥순(鄭玉順) 할머니: 증언 듣기와 복합PTSD 치유

2부 계속되는 식민주의, 재탄생되는 군위안부

04. 내셔널리즘에서 식민주의로: 오키나와 A사인 제도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키쿠치 나츠노(菊地夏野)|
1. 들어가며
2. ‘위안부’ 문제 현황
3. ‘위안부’ 문제에 있어서의 페미니즘 부재(不在)
4. 페미니즘에 있어서의 ‘위안부’론
5. 중국과 한국의 내셔널리즘? 미국이라는 문제
6. 미군 섹슈얼리티sexuality 관리: ‘A사인 제도’
7. 자유의지와 강제, 미군과 일본군
8. 대안

05. 일본 식민주의와 친일파의 합작품, 한국군 위안소 제도 |김귀옥|
1. 들어가며
2. 역사 속의 한국군 위안부 제도
3. 한국군 위안부 제도를 만든 사람들
4. 일본군 위안부 제도를 통해서 본 한국군 위안부 제도
5. 맺음말: 한국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과제

3부 군위안부 문제의 새로운 양상

07. 일본에서의 요시미(吉見)재판과 지원운동 |가토 게이키(加藤圭木)|
1. 들어가면서
2. 요시미 재판이란 무엇인가?
3. 성노예 제도의 초점화(焦点化)
4. 성노예 제도라는 인식을 깊어지게 하다
5. 역사학회의 움직임
6. 공정한 판결을 요구하는 결의
7. 부당 판결 당일
8. 판결 내용과 부당성
9. 마치면서

08. 한국의 미군 위안부와 기지촌 여성들의 집단 손해배상소송 |김현선|
1. 미군 위안부 집단 손해배상소송의 배경과 역사
2. 미군 위안부 집단소송의 제기와 진행
3. 오늘도 법정으로 가는 미군 위안부들

4부 [제국의 위안부]의 비판적 독해와 역사적 진실을 찾아서

09. [제국의 위안부]에 대한 일본의 독해 |아키바야시 코즈에(秋林こずえ)|
1. 전시 성폭력과 국제사회
2. 미군 ‘위안부’와 식민지 지배
3. 전쟁·제국·식민지 지배?

10. 진실 없는 화해론, [국의 위안부] 비판하다 |강성현|
1. ‘박유하 사태’의 비판적 개입
2. ‘제국의 위안부’ 의미와 주장들
3. 쟁점들
4. 해결
4. ‘12·28 합의’의 파기를 시작으로

5부 역사갈등 해소를 위한 발걸음

11. 한일 역사갈등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현황과 과제 |안자코 유카(庵 由香)|
1. 머리말
1. 강제동원 문제에 대한 전후 일본 정부의 견해와 대응
2. 일본 정부의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인식과의 비교
3. ‘위안부’ 문제에 대한 최근 일본 국내의 반응
4. 나아가며

06. 한국 기지촌 성매매정책의 역사사회학, 1953~1995년: 냉전기 생명정치, 예외상태, 그리고 주권의 역설 |박정미|
1. 문제 제기
2. 용어, 선행 연구 검토와 이 논문의 문제 설정
3. 한국 기지촌 성매매정책의 역사
4. ‘예외상태’로서 기지촌 성매매정책: 냉전과 주권의 역설
5. 결론


[맺음말] 거짓 화해를 극복하고 참된 상생의 역사를 향하여
Author
송연옥,김귀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