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출 저작선집

$42.12
SKU
979116068038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4/28 - Fri 05/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23 - Fri 04/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7/02/05
Pages/Weight/Size 188*257*30mm
ISBN 9791160680386
Categories 인문 > 인문/교양
Description
김일출은 연희전문학교를 졸업(1937)하고, 해방 후에는 서울대학 사학과 교수(1946~ 1950)로 재직하면서 한국 근대 학술의 성립, 근대 한국학의 정립에 기여하였다. 그는 해방 후 조의설·민영규·홍이섭 등 연희전문 출신들과 함께 ‘역사학회’를 창설하여 해방된 조선의 새로운 역사학의 구축에 진력하였고, 이상백·김기림과 함께 신문화연구소를 설립하여 시대 변화에 대응하는 학술 활동 곧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로 나누어지는 세계사의 흐름에 대한 지적 동향을 파악하는 신문화 운동을 전개하였다. 『美國의 極東政策』·『아메리카史槪說』·『소련의 신문화: 쏘비에트 민주주의』, 그리고 『신민주주의론』·『조선봉건 사회사』를 번역하고 소개하도록 한 것은 그러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또한 서울대학 사학과 교수로 재직할 때에는 중국근대사를 강의하였고, 동료 교수인 김성칠·김상기 교수와 동양사개설인 『신동양사』와 『이웃 나라의 생활』을 공저하고 제자 양성에 힘을 기울였다.

1950년 6·25전쟁 후, 김일출은 북한에서 고고학 및 민속학 연구사로 활약하면서 역사학뿐만 아니라 민속학으로 연구 영역을 넓히며 민족 문화 연구를 계속하였다. 그가 저술한 『조선민속탈놀이연구』는 탈놀이를 비롯한 우리 전통 연희에 대한 실증적 과학적 분석 연구로 낡은 실증주의를 넘어 민족 과학 차원의 분석적 연구를 평가되었다.

이 자료집을 통해 일제시대와 해방시기를 살면서 한국 사회가 당면한 과제 해결을 위해 활동한 역사학자, 한국학 연구자로서의 일면모를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당시의 학술계의 동향, 한국 근대 학술의 탄생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 김일출의 저작은 당시의 글을 그대로 영인하여야 하지만, 인쇄가 불분명한 것이 많고, 현대에 이해하기 어려운 표현이 더러 있었다. 이에 후학이나 관심있는 일반인을 위해 새로 조판을 하였으며, 문장도 오늘날의 맞춤법에 맞추어 부분적으로 다듬었다. 김일출의 저작 가운데 번역서 2책(『신민주주의론』·『조선봉건사회사』)과 최근에 영인 간행된 책(『조선민속탈놀이연구』)을 제외하였다. (책머리에 中)
Contents
책머리에
일러두기
김일출 연보

김일출의 학술활동과 역사연구 | 도현철
김일출 글 모음
김일출 관련 글 기록 출전

1. 조선학의 기본 방향
새 조선 민족 문화의 기본 과제
정치와 윤리
경제제도와 전통
고대조선과 대륙문화

2. 동양사 연구와 유교 사상
춘추회맹논고(春秋會盟論考)
공자의 윤리정치관-동양정치사상의 중심 이념
왕양명의 인간과 그 사상
『신동양사』(동지사, 1948)의 동양의 근세, 최근세
『중등 사회생활과, 이웃 나라의 생활』(동지사 1949)의 명대 이후

3. 북한에서의 고구려와 민속학 연구
우리나라에서의 민족적 문화의 형성시기에 관하여
고구려 [유국 900년]설에 관하여
진수의 [삼국지]와 그 고구려전의 사료적 가치
문화적인 농촌 건설을 위한 민속 유산의 계승을 위하여
조선 민속학의 발전을 위하여
농촌 근로자들의 새로운 문화와 풍습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농촌노동자들의 새로운 문화와 생활 풍습에 대하여

4. 잡저
역자 서문
역자의 말
서문
跋 故 李德星氏를 吊함

찾아보기

Author
도현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