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마주하는 법에 관한 흥미롭고 논쟁적인 주장을 펼친다.”
-조문영,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한국과 중국의 사람과 문화를 연결하는
‘지리적 중간물’ 김유익이 통찰한
반대하고 싶은 중국 연대하고 싶은 중국
혐중 정서가 만연한 가운데 한국과 중국의 관계는 악화일로를 걷고 있으며 많은 전문가가 수교 이후 단연 최악이라고 입을 모은다. 세계 각국이 중국과의 관계를 ‘디커플링(관계 단절)’이 아닌 ‘디리스킹(위험 완화)’ 방향으로 설정하는 추세지만 한국만은 글로벌 흐름과 정반대로 가고 있다. 그 영향으로 외교, 경제, 국방, 사회, 문화 등 다방면에서 절체절명의 위기를 맞게 되었다. 우리에게 한중 관계를 새롭게 읽을 수 있는 인사이트와 서로 윈윈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이 필요한 이유다.
이 책의 저자인 김유익은 중국에서 서로 다른 국적, 언어, 문화를 가진 사람과 지역을 연결해 주는 코디네이터로 활동 중이다. 서울시립대학교 하남석 교수는 기성세대와 청년 세대를 이어 주는 ‘역사적 중간물’ 루쉰처럼 김유익 또한 중국과 한국을 이어 주는 ‘지리적 중간물’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그는 단순한 매개자가 아니다. 중국의 문제의식으로 한국을 들여다보고, 다시 한국의 문제의식으로 중국을 들여다보며 두 나라가 지닌 여러 문제와 모순을 성찰하기 때문이다.
저자는 ‘연결 전문가’답게 중국에서 일상을 살면서, 동시에 한국과 부단히 접속하면서 마주한 인물, 매체, 사건을 다채롭게 엮고 인문학적 견문을 결합해 혐중을 통찰하고 청년과 세대, 대중문화, 농촌과 도시화, 법과 통치, 홍콩 시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다양한 쟁점을 다루었다.(조문영, 연세대학교 교수) 또 애국주의와 정치적 ‘중화 민족 만들기’, 허무한 강국몽, 검열과 탄압에 몰두하며 폐쇄적으로 변해 가는 중국 사회와 역사적 맥락, 그 속에서 중국 사람들이 가지는 복잡한 감정을 예민하게 포착했다.(박민희, 《한겨레》 논설위원) 추상적이고 왜곡된 거대 담론을 넘어 구체적인 중국과 그 속의 ‘생활 세계’를 만날 수 있도록 연결해 주는 저자의 코디네이팅은 중국과 중국인을 보다 제대로 알고 그들과의 공존의 미래를 준비하는 데 소중한 디딤돌이 될 것이다.
Contents
들어가는 글: 안에서 본 중국과 밖에서 본 중국
1부 생소한 중국, 생생한 중국인 이야기
문약한 송나라가 중국 최고의 ‘리즈 시절’로 꼽히는 이유
홍콩과 대만, 그 회색 지대에 대한 상상
암흑의 숲속에서 인드라망을 찾다: 《삼체》로 살펴보는 중국 SF 오디세이
성장과 리스크 관리를 아우르는 중국의 쌍순환 전략
한중일 제조업 장인들의 얽힘과 설킴의 역사
2부 추상적인 거악을 넘어 새로운 보편으로
네이션 스테이트, 하나의 중국이라는 도그마
대중문화에 대한 검열과 규제, 중국몽은 백일몽이 될 것인가
중국식 유교 관료 사회의 기원과 한계
제로 코비드 정책의 기쁨과 슬픔
중국, 법가와 법치 사이에서 갈팡질팡하다
3부 도그마 너머의 중국과 한국을 만나다
혐중 정서의 또 다른 기원, 르상티망 플러스
플랫폼으로서의 중국과 지속 가능한 한중 관계
방법으로서의 자기, 방법으로서의 K
한국과 중국, 서로 다른 ‘도덕과 정의’를 말하다
한중일, 서로에게 특별한 존재감과 거리감
4부 두려움과 부러움 사이에서 발견한 새로움
지금, 중화 민족을 이해해야 하는 이유
중국의 ‘민족’ 대신 ‘지역’과 ‘사람’을 만나자
남쪽으로 열린 새로운 차이나: 이상국 문학상 수상작이 그린 남방 해양 중국
동아시아 화합을 모색할 새로운 무대: 중국식 판타지 현환 작품 속 둥베이
나가는 글: 중국인의 ‘생활 세계’를 찾아서
참고문헌
Author
김유익
서울에서 태어나 다국적 기업의 금융 IT 컨설턴트로 일하며 서울, 홍콩, 베이징, 도쿄, 싱가포르 등 여러 대도시에서 거주했다. 2012년, 생태 농업 등 지속 가능한 라이프 스타일 활동가로 커리어를 전환해 일본의 자급자족생활센터와 서울의 하자센터에서 일했다. 이후 중국으로 건너가 상하이에서 청년들을 위한 생활 공동체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현재는 중국인 아내와 광저우 근교 마을에 살면서 서로 다른 국적, 언어, 문화를 가진 사람과 지역을 연결해 주는 코디네이터로 활동하고 있다.
중국 현지에서 경험하고 느끼고 깨달은 것들과 인문학적 견문을 결합해 『경향신문』에 정기 연재를 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매체와 SNS에 기고하고 있다. 공저로 『민간중국』 『자전거로 충분하다』 『세계는 왜 한국에 주목하는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적게 일하고 더 행복하기』 『주변의 상실』(공역)이 있다.
서울에서 태어나 다국적 기업의 금융 IT 컨설턴트로 일하며 서울, 홍콩, 베이징, 도쿄, 싱가포르 등 여러 대도시에서 거주했다. 2012년, 생태 농업 등 지속 가능한 라이프 스타일 활동가로 커리어를 전환해 일본의 자급자족생활센터와 서울의 하자센터에서 일했다. 이후 중국으로 건너가 상하이에서 청년들을 위한 생활 공동체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현재는 중국인 아내와 광저우 근교 마을에 살면서 서로 다른 국적, 언어, 문화를 가진 사람과 지역을 연결해 주는 코디네이터로 활동하고 있다.
중국 현지에서 경험하고 느끼고 깨달은 것들과 인문학적 견문을 결합해 『경향신문』에 정기 연재를 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매체와 SNS에 기고하고 있다. 공저로 『민간중국』 『자전거로 충분하다』 『세계는 왜 한국에 주목하는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적게 일하고 더 행복하기』 『주변의 상실』(공역)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