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 of Print

기록과 기억을 통해 본 프랭크 스코필드

$56.70
SKU
9791160370430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Tue 05/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4/25 - Tue 04/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6/12/03
Pages/Weight/Size 188*257*35mm
ISBN 9791160370430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스코필드 박사 내한 100주년을 앞둔 2015년 다양한 선행 연구들에 기초하여 스코필드 박사와 관련된 포괄적인 학술연구서를 출간하였다. 이 책은 스코필드 박사가 평생 출간하기를 원했던, 3·1운동 현장을 목격한 내용을 정리한 “The Unquenchable Fire”를 비롯하여 세상에 처음 공개되는 자료를 한글과 영어로 담았다. 제일 마지막에 담긴 스코필드 박사 탄생 100주년에 공연된 데이비드 아치볼드의 뮤지컬 본문도 국내에 처음 번역, 소개되는 작품이다.
Contents
1부 스코필드의 생애 16
1. 어느 자유 쟁취가의 놀라운 여정: 베슬로로부터 한국까지 _저자 미상
2. 주요 선동가: 프랭크 스코필드 박사와 한국 독립운동
_존 프레스코트John F. Prescott, 바바라 리걸트Barbara Legault
3. 프랭크 스코필드 박사와 한국인의 민족의식
_도레사 모티모어Doretha E. Mortimore
4. 프랭크 윌리암 스코필드 박사: 몸과 마음으로 한국을 사랑한 서양인
_정운찬
*5. 헌신

2부 1916-1920 70
1. 스코필드 박사와 세브란스 의학교
1918년 한국 내 인플루엔자 유행의 양상과 연구 현황:
스코필드 박사의 논문을 중심으로_ 천명선, 양일석
2. 꺼지지 않는 불꽃
*꺼지지 않는 불꽃 제15장
3. 스코필드와 헨리 미
*자유를 위한 한국의 절규
4. 3·1운동과 제암리, 수촌리 학살
(1) 1919년 3월 1일, 삼일절에 무슨 일이 일어났었는가? (1966)
(2) 제암리 학살 보고서(1919)
(3) 수촌리 학살 보고서(1919. 7. 26)
5. 일제의 식민정책 비판
1) [서울 프레스]The Seoul Press
*(1) 국민 행복이 성공적인 정부의 참된 척도이다 (1919. 4. 1 3)
*(2) 한국에서 일본의 문제 (1919. 5. 10)
*(3) 과감한 개혁이 필요하다 (1919. 10)
(4) 서대문 형무소 방문기 (1919. 5. 11)-[서울 프레스]의 한 기 자
(5) 깊이 뿌리 박힌 부당한 의심 (1919. 5. 1 6)
2) [재팬 애드버타이저]The Japan Advertiser
*(1) 동화정책으로부터의 자유
(2) 한국에 대한 일본제국 조사위원회 (1919. 7. 1)
(3) 한국인의 마음을 발견하는 것 (1919. 8. 2)
(4) 한국에 대한 일본의 도전-불가능한 정책 (1919. 8. 26)
(5) 캐나다 또는 아일랜드 조사의 필요성 (1919. 8. 27)
(6) 한국에서의 고문: 미즈노 박사가 해결할 문제 (1919. 11. 29)
(7) 한국의 불안 때문에 비난받는 선교 (1919. 12. 10)
(8) 그릇된 한국 보고 (1919. 12. 28)
(9) 새로운 정권에 대한 비평적이고 건설적인 검토 (1920. 3. 12)
(10) 헌병제도의 폐지 (1920. 3. 13)
(11) 실패의 몇 가지 원인 (1920. 3. 14)
(12) 프랭크 헤론 스미스 목사에 대한 답변 (1920. 4. 10)
3) [글로브]The Globe
(1) 한국은 압제자의 멍에 아래 신음하고 있다 (1920. 7. 12)
(2) 한국의 미래: 하라 총리와의 인터뷰 (1920. 9. 4)
4) [뉴욕타임즈 커런트 히스토리]The New York Times Current History
한국에서 죄수들에 대한 고문 (1920. 1)
5) [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The Christian Science Monitor
한국 여성들은 ‘힘’을 가지고 있다 (1920. 6. 7)
6) [동아일보]
(1) 조선발전의 요결 (1920. 4. 1)
(2) 구십도난태심 (1920. 4. 1)
6. 선교 보고서
*(1) 선교본부가 스코필드에게 (1916. 12. 30)
*(2) 선교본부가 스코필드 이사짐 처리 관계자에게 (1917. 1. 8)
*(3) 선교본부가 스코필드 부인에게 (1918. 12. 3)
*(4) 선교본부가 스코필드 부인에게 (1919. 1. 11)
*(5) 선교본부가 스코필드 부인에게 (1919. 5. 8)
*(6) 선교본부가 스코필드에게 (1919. 8. 7)
*(7) 선교본부가 스코필드 부인에게 (1919. 8. 7)
*(8) 선교본부가 스코필드 부인에게 (1919. 8. 9)
*(9) 선교본부가 스코필드에게 (1919. 10. 25)
*(10) 선교본부가 스코필드에게 (1919. 12. 6)
*(11) 선교본부가 스코필드 부인에게 (1919. 12. 13)
*(12) 선교본부가 스코필드에게 (1919. 12. 23)
*(13) 선교본부가 스코필드에게 (1919. 12. 27)
*(14) 선교본부가 스코필드에게 (1920. 1. 22)
*(15) 스코필드 부인 주치의가 선교본부 어느 사람에게 (1922. 4. 21)


3부 1920-1958 216
1. 세계적인 수의학자 스코필드
*(1) 프랭크 스코필드-저서목록_머피와 헐랜트D. A. Murphy, T. J. Hulland
*(2) 온타리오 수의과대학의 뛰어난 학자_로빈 루이스Robin B. Lewis
2. 스코필드 수의학 논문
(1) 손상된 전동싸리: 출혈성 패혈증과 흑갈병으로 보이는 가축 질병의 원인(1924)
(2) 수입된 양에서의 스크래피 사례(1938)
(3) 돼지 위축성 비염의 병리학과 세균학(1950)
3. 한국 관계 활동
(1) 스코필드 박사가 암스트롱에게 보내는 편지
(2) 사랑하는 조선동포 [조선일보] (1926. 6. 27)
(3) 조선의 친구여 [동아일보] (1926. 9. 17; 9. 19)
(4) 나의 경애하는 조선의 형제여 [동아일보] (1927. 1. 5)
(5) 경애하는 조선 형제에게 [동아일보] (1931. 12. 26 )

4부 1958-1970 270
1. 한국 기고활동
1) 3·1운동 회고와 3·1정신
(1) 하나로 뭉친 독립만세 (1969. 2. 28; 3. 1)
(2) 의·용기·자유의 승리 (1960. 4. 28)
(3) 3·1운동은 한국정신의 상징 (1969. 3. 1)
(4) 병상의 3·1운동 ‘제34인’ 스코필드 박사 (1970. 3. 2)
2) 부정부패 비판
(1) 민심은 공포에 잠겨 있다 의사당 앞에 무장경관이라니 (1959. 3. 1)
(2) 내가 보는 한국혁명 (1961. 1. 8)
(3) 나는 이렇게 본다, 한국의 군사혁명 (1961. 6. 15)
(4) 3·15를 말하는 스코필드 박사 (1962. 3. 15)
(5) 뒤숭숭한 제2의 조국, 스코필드 박사 박 의장에 서한 (1963. 3. 23)
(6) 나도 한국의 분신, 할 말은 해야겠다 (1963. 9. 13)
(7) 내핍은 수범에서만 (1964.1 . 16)
(8) 투옥 당해야 마땅한 인물, 재벌 처사에 스코필드 박사 분개 (1964. 2. 25)
(9) 사건의 전모 밝혀야 (1964. 3. 3)
(10) 온통 분열의 와중 (1964. 12. 6)
(11) 한국에서의 불안 (1965. 11. 2)
(12) 정설과 역설과 허영, 서울대의 문제점 (1962. 12. 3)
(13) 한국교회 어제와 오늘 (1961. 3)
(14) 부정부패 근절에 대한 강한 책임감을 (1970. 4. 16)
3) 단상
(1) 선과 악 - 시대단상 1 (1967. 1. 24)
(2) 부활 - 시대단상 2 (1969. 4. 2)
(3) 과학을 넘어선 기독교 사상 - 시대단상 3 (1969. 8. 12)
(4) 무신론적 인문주의 - 시대단상 4 (1969. 9. 11)
(5) 추석과 진정한 의미의 감사 - 시대단상 5 (1969. 9. 26)
(6) 한 어린 아이와 예수의 죽음 - 시대단상 6 (1969. 11. 28)
(7) 정직은 번영에의 유일한 길이다 (1961. 4)
(8) 세상에서 가장 큰 힘 (1959. 3)
(9) 어렵고 기나긴 경주
2. 인물양성(고아원, 성경공부, 흥국학교)
*(1) 한국에서 온 추가 뉴스 1 - 존스 박사에게 보내는 편지(1960. 12. 5)
(2) 한국에서 온 추가 뉴스 2 - 학생들에게 보내는 편지(1960. 12. 8)
(3) 프랭크 스코필드 서한(고아원 건물 기금)(1966. 5.15)
*(4) 한국에서의 활동(1967. 5. 15)
(5) 나의 소중한 친구들에게(1969. 3. 20)
(6) 나의 사랑하는 친구들에게(1969. 5. 4)
*(7) 친애하는 페이즐리와 다른 후원자들께
*(8) 아주 소중한 사람들
*(9) 온타리오 수의과대학 모교 졸업식 축사(1962. 5. 17)

5부 스코필드 평가와 회고 344
1. 언론들의 평가
(1) 좋은 친구(1964. 4. 8)
(2) 3·1운동 때 마을을 지켜준 스 박사 위해 명복 비는 제암리
2. 국내인들의 회고
(1) 석호필 박사의 최후_백난영, 전택부 [기독교사상] (1970. 5)
(2) 이갑성이 말하는 스 박사_이갑성 [한국일보] (1960. 4. 14)
(3) 나의 은인이자, 스승인 스코필드 박사_이삼열
3. 해외인들의 회고
*(1) 고인의 약력: 프랭크 윌리암 스코필드 1889-1970_스미스D. L. T. Smith
*(2) 프랭크 스코필드 박사
* (3) 스코필드 박사에 관한 회고_그웬 노만Gwen R. P. Norman
*4. 스코필드, 잠 못 이루는 호랑이_데이비드 아치볼드David Archibald

미주 410
사진으로 본 프랭크 스코필드의 생애와 관련 행사 418
참고문헌 458
연보 486
Author
이항,김재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