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등학교에서 한문과 국어를 함께 가르쳤던 저자는 한시와 현대시를 연결한 수업에서 낯선 표정을 짓던 아이들을 기억한다. 이런 경험은 이 책의 모토가 되었다. "한시나 현대시가 명칭만 서로 다를 뿐, 정서와 형상화의 측면에서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함께 느껴" 보고자 한 것이다.
“시는 창작 시기와 관계없이 오늘을 사는 우리들의 삶과 깊이 관련되어 있으며, 그런 시의 현재성이 과거의 문학 작품인 한시도 현재의 작품으로 만든다”는, 저자의 오랜 생각이 오롯이 담겨 있는 이 책 『한시, 세상을 탐하다』에는 두보, 이백, 원천석, 이색, 신사임당, 정약용 등의 한시와 김소월, 정지용, 윤동주, 김수영 등의 현대시가 저자의 일상적인 경험과 삶에 고스란히 스며들어 있다. 한시와 우리 현대시가 어떤 정서를 공감하며 어떻게 이어지고 있는가를 필자의 일상적인 경험과 삶을 통해 드러내고자 한 이 책에서 현대시를 읽고 공감하는 것처럼 한시도 함께 맛보는 재미를 느끼게 되길 기대한다.
Contents
머리말 시는 어디에서 와 어디로 가는 걸까?
‘먼 데서 이기고 온’ 봄을 기다리며
고향 잃은 사람들
가뭄
불러도 불러도 그리운 이름, 어머니
살아남은 자의 슬픔
시간을 걷는 길, 실크 로드
표절과 점화
꽃이 지고, 봄날은 간다
나는 너무 많이 먹으며 살아왔다
막막해서 아름다운 삶의 흔적, 국수
평화, 천천히 꾸준히 걸어갈 길
강이 되어 흐르다
그래도 삶은 계속된다
인용한 현대시, 노래
Author
최성수
강원도 횡성군 안흥면에서 태어났다. 초등학교 고학년 때 서울로 이사하여 줄곧 성북동에서 살았다. 중·고등학교에서 젊은 벗들과 놀고 배우며 지내다 2012년 퇴직하고 고향으로 귀촌했다. 교직에 있을 때 몇몇 한문 교사들과 힘 모아 ‘전국 한문 교사 모임’을 만들었다. 1987년 시 무크지 [민중시] 3집을 통해 시인으로 데뷔하여 시집 『장다리꽃 같은 우리 아이들』, 『작은 바람 하나로 시작된 우리 사랑은』, 『천 년 전 같은 하루』, 『꽃, 꽃잎』, 『물골, 그 집』등을 냈다. 한문 고전을 청소년들이 쉽게 만날 수 있게 해야 한다는 뜻으로 『노래는 흩어지고 꿈같은 이야기만 남아』(금오신화), 『세상이 나눈 인연 하늘이 이어주니』(최척전), 『고전 산문 다독다독』 등을 내기도 했다. 청소년을 위한 소설 『꽃비』, 『비에 젖은 종이비행기』, 『무지개 너머 1,230 마일』 등과 여행 이야기 『구름의 성, 운남』, 『일생에 한 번은 몽골을 만나라』를 냈다. 지금은 고향 산골짜기에서 얼치기 농사를 지으며 나물과 꽃과 바람을 벗삼아 흐르고 있다.
강원도 횡성군 안흥면에서 태어났다. 초등학교 고학년 때 서울로 이사하여 줄곧 성북동에서 살았다. 중·고등학교에서 젊은 벗들과 놀고 배우며 지내다 2012년 퇴직하고 고향으로 귀촌했다. 교직에 있을 때 몇몇 한문 교사들과 힘 모아 ‘전국 한문 교사 모임’을 만들었다. 1987년 시 무크지 [민중시] 3집을 통해 시인으로 데뷔하여 시집 『장다리꽃 같은 우리 아이들』, 『작은 바람 하나로 시작된 우리 사랑은』, 『천 년 전 같은 하루』, 『꽃, 꽃잎』, 『물골, 그 집』등을 냈다. 한문 고전을 청소년들이 쉽게 만날 수 있게 해야 한다는 뜻으로 『노래는 흩어지고 꿈같은 이야기만 남아』(금오신화), 『세상이 나눈 인연 하늘이 이어주니』(최척전), 『고전 산문 다독다독』 등을 내기도 했다. 청소년을 위한 소설 『꽃비』, 『비에 젖은 종이비행기』, 『무지개 너머 1,230 마일』 등과 여행 이야기 『구름의 성, 운남』, 『일생에 한 번은 몽골을 만나라』를 냈다. 지금은 고향 산골짜기에서 얼치기 농사를 지으며 나물과 꽃과 바람을 벗삼아 흐르고 있다.